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6회 3과목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6회 3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양중기 및 운반 장비 안전 기준


A. 양중기 (Lifting Equipment) 분류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양중기에 속하는 장비와 속하지 않는 장비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 양중기에 속하는 것: 호이스트, 이동식 크레인, 크레인, 곤돌라, 리프트 등

  • 양중기에 속하지 않는 것: 체인블록 (수동식), 지게차, 컨베이어 등


B. 옥외 주행 크레인 안전 조치

옥외에 설치된 주행 크레인의 이탈 방지 조치 기준입니다.

  • 이탈방지 조치 기준: 순간 풍속이 초당 30 [m]를 초과할 경우, 이탈 방지 장치를 작동시키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합니다.


C. 지게차의 안정도와 무게중심

지게차의 안정 조건은 하물에 의한 모멘트가 지게차 자체에 의한 안정 모멘트보다 작거나 같아야 합니다.

안정도 최소 조건 (공식):

하물 중량 / 지게차 중량 = 하물의 무게중심까지의 최단거리 / 지게차의 무게중심까지의 최단거리

예시 문제 풀이:

  • 하물 중량 200 [kgf], 지게차 중량 400 [kgf], 하물 중심 거리 1 [m]

  • 200 / 400 = X / 1

  • X = 0.5 [m]

  • 결론: 지게차가 안정되기 위한 앞바퀴에서 지게차의 무게중심까지의 최단거리는 최소 **0.5 [m]**를 초과해야 합니다.


D. 이동식 크레인 용어 정의

  • 파단하중 (Breaking Load): 줄걸이 용구(와이어로프 등) 1개가 외부 힘에 의해 절단(파단)에 이를 때까지의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E. 컨베이어 안전 조치 핵심

  • 역주행 방지 장치: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정전이나 전압 강하 등에 따른 화물 또는 운반구의 이탈 및 역주행을 방지하는 장치를 갖추어야 합니다. 다만, 무동력 또는 수평 상태로만 사용하여 위험 우려가 없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2. 기계 가공 및 프레스 안전


A. 응력 및 안전율 계산

재료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허용응력과 실제사용응력의 계산입니다.

1. 허용응력 (Allowable Stress):

허용응력 = 재료의 강도 / 안전율

2. 실제사용응력 (Working Stress):

실제사용응력 = 압축하중 / 단면적

예시 문제 풀이:

  • 허용응력: 500 [kg/cm²] / 5 = 100 [kg/cm²]

  • 실제사용응력: 4,000 [kg] / (6 x 10) [cm²] ≒ 66.7 [kg/cm²]

  • 실제사용응력은 허용응력의 몇 [%]: (66.7 / 100) x 100% = 66.7%


B. 기계 운동 형태에 따른 위험점

  • 끼임점 (Nip Point, Entrapment Point): 두 개의 회전체 사이에 물리거나, 회전 운동을 하는 부분과 고정 부분 사이에 물리면서 발생하는 위험점입니다. (예: 롤러와 롤러 사이, 롤러와 몸체 사이)


C. 프레스 광전자식 방호장치의 설치 거리

프레스 작업에서 광축의 최소 설치 거리 (Ds)를 계산하는 공식입니다.

광축의 최소 설치 거리 (Ds) 공식:

Ds [mm] = 1.6 x (T1 + T2)
  • T1: 광선 감지 후 급정지 기구 작동 시까지의 시간 [ms]

  • T2: 급정지 기구 작동 직후부터 프레스 정지 시까지의 시간 [ms]

예시 문제 풀이:

  • T1 = 30 [ms], T2 = 20 [ms]

  • Ds = 1.6 x (30 + 20) = 1.6 x 50 = 80 [mm]


D. 기계설비 안전의 분류 (구조적 안전화)

기계의 안전화 중 기계 자체의 결함을 제거하는 구조적 안전화에 속하지 않는 항목을 구분해야 합니다.

  • 구조적 안전화에 속하는 것: 가공결함, 재료의 결함, 설계상의 결함

  • 구조적 안전화에 속하지 않는 것: 방호장치의 작동결함 (이는 외형의 안전화에 해당)


E. 가드 (Guard)의 설치 조건

기계 설비 방호를 위한 가드는 안전을 위해 임의 조정이 불가능해야 합니다.

  • 틀린 조건: 개구부(틈새)의 간격은 임의로 조정이 가능할 것 (-> 임의로 조정할 수 없게 해야 합니다.)



3. 작업별 안전 수칙 및 용어 정리


A. 산업용 로봇 안전 지침

로봇 작동 범위 내 교시 등의 작업 시 수립해야 하는 지침입니다.

  • 필수 지침 사항: 로봇의 조작 방법 및 순서, 작업 중 매니퓰레이터의 속도, 2명 이상 작업 시 신호 방법, 이상 발견 시 조치 등

  • 지침에 해당하지 않는 것: 로봇 구성품의 설계 및 조립 방법 (이는 제작 단계의 문제)


B. 선반 작업 안전 사항

  • 운전 중 백기어 (Back Gear) 사용 금지

  • 작업 중 면장갑 착용 금지

  • 방진구 사용 기준: 공작물의 길이가 직경의 12배 이상일 때 반드시 방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C. 셰이퍼 작업 위험 요인

  • 셰이퍼 위험 요인: 가공 칩 비산, 램 (Ram) 말단부 충돌, 바이트 (Bite)의 이탈

  • 셰이퍼와 거리가 먼 것: 척-핸들 (Chuck-Handle) 이탈 (이는 드릴 작업의 위험 요인)


D. 공기압축기 작업 시작 전 점검 사항

  • 필수 점검 사항: 공기저장 압력용기 외관, 드레인 밸브, 압력방출장치 기능, 언로드 밸브 기능, 윤활유 상태, 회전부 덮개 등

  • 필수 점검 사항이 아닌 것: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이는 공통적인 점검 사항)


E. 피복아크용접 결함 용어

  • 크레이터 (Crater): 아크를 끊을 때 용융 부위가 그대로 응고되어 움푹 패인 부분의 결함.

    • (참고) 용착 금속 속에 남아있는 가스로 인해 생긴 구멍은 **기공 (Porosity)**입니다.


F. 금형 운반 안전 수칙

  • 아이볼트 사용: 금형을 안전하게 취급하기 위해 아이볼트를 사용할 때는 숄더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관통 아이볼트: 관통 아이볼트가 사용될 때는 조립이 쉽도록 구멍 틈새가 최소화되도록 해야 합니다. (틈새를 크게 하면 이탈 위험)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