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6회 4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전기설비 위험 방지 기술
1. 감전 재해 및 인체 보호
감전사고의 사망 주요 경로
호흡기능 마비: 전류가 뇌의 호흡중추부로 흘러 발생
질식: 전류가 흉부에 흘러 흉부 근육이 수축하여 발생
심실세동: 전류가 심장부로 흘러 혈액 순환 기능 장애 초래 (가장 주된 사망 원인)
주의사항: 전류가 인체 저항으로 발생한 줄열(Joule Heat)에 의한 화상은 사망의 주된 메커니즘이 아닌 부차적인 손상으로 간주됩니다.
허용 접촉 전압 기준 (KEC/KOSHA)
일반 건조한 장소: 교류 50V 이하, 직류 60V 이하
물에 젖거나 도전성이 높은 장소 (욕실 등): 교류 25V 이하, 직류 60V 이하
인체 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 (RCD/GFCI) 설치 기준
일반 저압 기계/기구: 정격 감도전류 30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
욕조, 샤워시설 등 인체가 물에 젖는 장소: 정격 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
2. 전압 구분 및 접지 규정
전압의 구분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저압 (Low Voltage, LV): 교류 1kV 이하, 직류 1.5kV 이하
고압 (High Voltage, HV): 교류 1kV 초과 7kV 이하, 직류 1.5kV 초과 7kV 이하
특고압 (Extra High Voltage, EHV): 교류, 직류 모두 7kV를 초과하는 전압
접지공사 생략 가능 조건
30V 이하의 기계 · 기구를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이중 절연구조로 되어 있는 기계 · 기구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적용)를 시설하는 경우.
적당한 절연대를 설치하는 경우.
물기 없는 장소에 설치하며, 정격 감도전류 30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용 기계 · 기구 울타리 설치 기준
울타리의 높이와 울타리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의 합이 최소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사용전압 35kV 이하: 합계 5m 이상
사용전압 35kV 초과 160kV 이하: 합계 6m 이상
3. 정전기 및 과전류 안전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접촉 면적 및 압력
물체의 표면 상태
물질의 특성 및 대전 서열
분리 속도 및 분리력
완화 시간
영향을 주지 않는 요인: 물체의 질량
절연전선의 과전류에 의한 연소 단계별 전류 밀도 (단위: A/mm²)
인화단계: 40 ~ 43
착화단계: 43 ~ 60
발화단계: 60 ~ 120
용단단계: 120 이상
II. 화학설비 및 화재 폭발 방지
1. 화학설비 및 위험물 관리
화학설비의 정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화학 물질을 취급하거나 제조하는 설비 그 자체입니다.
예시: 응축기, 냉각기, 가열기, 증발기 등 열교환기류, 반응기, 증류탑 등
화학설비의 부속설비 (화학설비에 해당하지 않음)
분진처리설비 (사이클론, 백필터 등)
자동제어 관련 설비 (온도, 압력, 유량 지시/기록 설비)
비상조치 관련 설비 (안전밸브, 긴급차단 밸브 등)
부식성 염기류 기준
농도가 40% 이상인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그밖에 이와 동등 이상의 부식성을 가지는 염기류
마그네슘 (금속성 위험물) 저장 및 취급
산화제와 접촉을 피하고, 고온의 물이나 과열 수증기와 격렬히 반응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화재 발생 시: 물, 이산화탄소 소화기 사용을 금지합니다. (마그네슘은 물, CO2와 반응함)
소화 방법: 건조사, 팽창질석, 팽창진주암 등 금속화재용 소화기 (D급 소화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용해아세틸렌 가스집합용접장치 배관
배관 및 부속기구에는 구리나 구리 함유량이 70% 이상인 합금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70% 이상 구리는 아세틸렌과 반응하여 폭발성 아세틸라이드 형성 우려)
2. 화재 및 소화 기술
연소의 4요소
가연물 (탈 물질)
산소 공급원 (조연성 가스, 산화제 등)
점화원 (열 에너지)
연쇄반응 (화재의 지속)
가연성, 조연성, 불연성 가스 구분
가연성 가스: 일산화탄소 (CO), 프로판, 메탄, 수소 등
조연성 가스 (산소 공급원): 산소 (O2), 오존 (O3), 산화제 등
불연성 가스 (소화 효과): 이산화탄소 (CO2), 질소 (N2), 아르곤 (Ar) 등
CO2 소화약제의 특징
장점: 전기에 대해 부도체이며, 자체 증기압이 높아 방사가 가능합니다. 액화하여 보관 가능합니다.
특징: 기체 팽창률 및 기화 잠열이 크기 때문에 소화 효과가 좋습니다. (단점이 아님)
3. 연소 이론
벤젠 (C6H6)의 이론혼합비 (화학양론 조성)
반응식: C6H6 + 7.5 O2 -> 6 CO2 + 3 H2O
이론 산소량: 7.5 volume
공기 중 산소 비율: 약 21%
이론혼합비 (Cs) 계산: Cs = (100 * [연료 몰수]) / ([연료 몰수] + [이론 공기 몰수]) Cs = (100 * 1) / (1 + 7.5 * (100 / 21)) 약 2.72 vol%
III. 산업안전보건법령 주요 규정
1. 유해 · 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설치 · 이전 등)
제출 대상 (주요 설비)
용해로, 건조설비, 화학설비, 특정 유해 위험 물질 취급 설비
가스집합용접장치 등 10종의 설비
제출 제외 대상 (주요 예시)
공기압축기, 전기용접장치 등 (일반적인 동력 설비 및 소형 장치)
2. 공정안전보고서 (PSM) - 공정안전자료 (PSI) 세부 내용
공정안전자료에 포함할 세부 내용
유해 · 위험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유해 · 위험설비의 목록 및 사양
유해 · 위험설비의 운전방법을 알 수 있는 공정도면 (PFD/P&ID)
각종 건물 · 설비의 배치도
취급 · 저장하고 있는 유해 · 위험물질의 종류 및 수량
주의 (다른 PSM 항목):
안전운전지침서: 안전운전계획에 해당
비상조치계획에 따른 교육계획: 비상조치계획에 해당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도급사업 시 안전보건 관리에 해당
3. 위험물 건조 설비 설치 기준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 · 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1m³ 이상인 건조설비의 건조실은 독립된 단층 건축물로 해야 합니다 (단, 건축물이 내화구조가 아니며 최상층 설치가 아닌 경우).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