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 6회 5과목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굴착 및 지반 안전 기준
1.1 지반 계측기기의 종류 및 측정 대상
Strain Gauge (스트레인 게이지): 흙막이 가시설 버팀대(Strut)의 변형 측정
Water Level Meter (지하수위계): 지반 내 지하수위의 변화 측정
Piezometer (간극수압계): 지중의 간극수압 측정
Load Cell (하중계): 흙막이 배면에 작용하는 측압 또는 어스앵커의 인장력 측정
1.2 흙의 기본 공식 및 현상
공극비 (e) 계산 공식 포화도 x 공극비 = 흙 입자의 비중 x 함수비
공극비 = (비중 x 함수비) / 포화도
예시: 포화도 80%, 함수비 28%, 비중 2.7일 때 공극비 = (2.7 x 0.28) / 0.8 = 0.945
보일링 (Boiling) 현상
발생 조건: 지하수위가 높은 모래지반 굴착 시 발생.
현상: 아랫부분 토사가 수압을 받아 굴착부로 밀려나와 흙막이 지지력 저하를 유발.
대책: 웰포인트 공법 등으로 공사기간 중 지하 수면을 낮추어야 함.
1.3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 및 붕괴 요인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 (수직거리 : 수평거리)
보통 흙 (건지): 1:0.5 ~ 1:1
보통 흙 (습지): 1:1 ~ 1:1.5
토석 붕괴의 요인
내적 요인: 토석의 강도 저하
외적 요인: 사면 및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 증가, 절토 및 성토 높이 증가,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하중 증가
2. 가설 및 양중 장비 안전
2.1 비계 및 작업발판 설치 기준
강관 비계기둥 보강 기준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워야 함.
예시: 최고 높이 45m인 경우, 지상으로부터 45 - 31 = 14m까지 보강.
낙하물 방지망 설치 기준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는 2m 이상이어야 함.
달비계 작업발판 폭 기준
작업발판의 폭은 40cm 이상으로 하고 틈새가 없도록 할 것.
2.2 파이프 서포트 및 이동식 사다리
파이프 서포트 사용 기준
파이프 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 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이동식 사다리 준수 기준
길이가 6m 를 초과해서는 안 됨.
다리의 벌림은 벽 높이의 1/4 정도가 적당.
벽면 상부로부터 최소한 60cm 이상의 연장길이가 있어야 함.
2.3 와이어로프 및 인양 작업
와이어로프 안전율 공식 안전율 = (로프의 가닥수 x 한 가닥의 파단강도) / 안전하중
예시: 안전율 6, 안전하중 10ton, 파단강도 4ton일 때 로프의 가닥수 = (6 x 10) / 4 = 15가닥
철골보 인양작업 시 준수사항
인양용 와이어로프의 체결지점은 수평부재의 1/3 지점을 기준으로 함.
인양용 와이어로프의 매달기 각도는 양변 60도를 기준으로 함.
흔들리거나 선회하지 않도록 유도 로프로 유도해야 함.
3. 구조물 및 공법 안전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응력
전단력은 일반적으로 중앙부보다 **단부(지지점)**에서 크게 작용함.
휨응력은 일반적으로 슬래브의 중앙부에서 크게 작용함.
중앙부 하부에는 인장응력, 단부 하부에는 압축응력 발생.
합판 거푸집의 특성
장점: 중량이 가볍고, 외기 온도의 영향이 적으며, 녹이 슬지 않아 보관이 쉽고, 보수가 간단함.
터널 지보공 점검사항
부재의 긴압 정도.
부재의 손상 · 변형 · 부식 · 변위 · 탈락의 유무 및 상태.
기둥침하의 유무 및 상태.
4. 안전관리 행정 및 법규 기준
4.1 안전관리자 선임 기준 (건설업)
공사금액 800억 원 미만: 안전관리자 최소 1명 이상
공사금액 800억 원 이상: 안전관리자 최소 2명 이상
4.2 유해 · 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공사 (주요 항목)
지상 높이가 31m 이상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깊이 10m 이상인 굴착공사
터널 건설공사
최대 지간길이 50m 이상인 교량의 건설, 개조 또는 해체 공사
4.3 건설공사관리의 주요 기능
주요 기능: 안전관리, 공정관리, 품질관리, 원가관리, 환경관리, 기상관리
재고관리는 건설공사관리의 주요 기능으로 보지 않음.
4.4 고소작업대 사용 시 준수사항 (규칙)
작업자가 안전모 · 안전대 등의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할 것.
관계자가 아닌 사람이 작업구역 내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작업을 지휘하는 자를 선임하여 그 자의 지휘 하에 작업을 실시할 것.
전로에 근접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감시자를 배치하는 등 감전사고 방지 조치를 할 것.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