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자동차 기초 이론 및 공학


온도 및 역학

  • 섭씨 온도 (Celsius Temperature): 물의 빙점(0℃)과 증기점(100℃) 사이를 100등분한 온도.

  • 열역학 제1법칙 (First Law of Thermodynamics): 에너지 보존 법칙. 에너지는 형태가 변할 뿐 새로 만들어지거나 없어지지 않는다.


조향 및 제동 시스템

  • 캐스터 각 (Caster Angle) 설명:

    • 차량의 앞바퀴 조향축(킹핀 축)이 수직선으로부터 앞뒤로 기울어진 각도입니다.

    • 정(Positive) 캐스터: 조향축 상부가 뒤로 기울어져 있으며, 직진 안정성과 조향 핸들의 복원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 페이드 현상 (Fade Phenomenon): 긴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를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드럼과 슈가 과열되어 브레이크 마찰 계수가 급격히 저하되고 제동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현상.

  • 제동등 (Brake Light):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브레이크가 작동되었음을 후방 운전자에게 알리는 등.

  • 전조등 (Headlight) - 실드 빔형 (Sealed Beam Type): 렌즈, 반사경, 전구를 일체로 만들어 사용 수명이 다하면 전체를 교체하는 방식입니다.


제도 (Drafting)

  • 현척 (Actual Scale, 1:1): 실물과 같은 크기로 도면을 표시하는 척도.



2. 차체 구조 및 재료


차체 구조 및 부품

  • 모노코크 보디 (Monocoque Body) 특징 (장단점):

    • 장점: 단독 프레임이 없어 차량 중량이 가볍고, 구조상 바닥면이 낮아 실내 공간이 넓습니다. 휘고, 굽고 비틀림에 강하며 충격 흡수 효과가 높습니다.

    • 단점: 서스펜션을 보디가 직접 지지하여 소음 및 진동의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 리어 보디 (Rear Body) 부품: 트렁크 리드 (Trunk Lid)가 대표적입니다.

  • 프런트 보디 패널에 속하지 않는 것: 쿼터 패널 (Quarter Panel)은 측면 또는 후방 패널에 속합니다.

  • 범퍼 (Bumper): 차량 충돌 시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여 차체를 보호하고, 외형의 미적 부분을 완성하는 부품입니다.

  • 임팩트 바 (Impact Bar): 차체 측면 충돌 시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어 내부에 설치하는 보강재입니다.

  • 라디에이터 서포트 (Radiator Support) 설명:

    • 차량의 엔진룸 가장 전면에 위치하여 라디에이터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패널입니다.

    • 주로 프런트 크로스 멤버와 연결되어 전면부 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구조 부품입니다.


재료 및 열처리

  • 열경화성 수지 (Thermosetting Resin): 페놀수지, 멜라민수지, 규소수지 등이 있으며, 폴리에틸렌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입니다.

  • 냉간 압연 강판 (Cold Rolled Steel) 표기: SCP (Hot Rolled Steel은 SHP).

  • 황동 (Brass): 구리(Cu)와 아연(Zn)의 합금입니다. 청동은 구리와 주석(Sn)의 합금입니다.

  • 열처리 방법: 담금질, 뜨임, 불림, 풀림이 있으며, **단조(Forging)**는 가공 방법입니다.

    • 저온 뜨임 적정 온도: 150℃ (경도는 유지하고 내부 응력 제거).

  • 열간가공과 냉간가공 구분 기준 온도: 재결정 온도입니다.

  • 금속의 기계적 성질: 인성(Toughness, 질긴 성질), 강도, 경도 등이 있습니다.

  • 공구강의 구비 조건: 강인성과 내충격성이 커야 합니다. (약하면 틀린 설명)



3. 차체 수리 및 판금/도장


용접 (Welding)

  • 용접 홈 형상 - I형 홈: 판 두께가 가장 얇은 판(6mm 이하)의 용접에 적용됩니다.

  • 스폿 용접 시 중요 사항 (준비): 용접하려는 판의 두께, 형상, 표면 상태가 중요합니다. 용접 시간은 실제 작동 시 변수입니다.

  • 용입 불량 (Incomplete Penetration) 원인: 용접 전류가 낮을 때 발생합니다.

  • 너깃 (Nugget): 점용접에서 접합면 일부가 녹아 바둑알 모양의 단면으로 된 부분입니다.

  • 아세틸렌 압력: 충격, 가열 등으로 폭발할 수 있는 압력은 1.5 kgf/cm²입니다.

  • 레이저 용접 특징: 모재의 열변형이 거의 없고, 이종 금속 용접이 가능하며, 비접촉식으로 미세하고 정밀한 용접이 가능합니다.

  • 프로젝션 용접 (Projection Welding): 플로어 보디 조립이나 엔진룸 등에 스터드 볼트 또는 너트를 용접하는 데 사용됩니다.


차체 수정 및 측정

  • 데이텀 라인 (Datum Line): 수직 높이 측정을 위해 설정한 기본 가상축으로, 높이에 대한 차체의 기준선입니다.

  • 차체 손상 수정 순서 (객실부 손상 시): 차체의 손상이 객실 부위까지 이어지면, 최초로 손상된 전·후면 멤버를 수정하기 전에 중앙부 수정을 가장 먼저 해야 합니다.

  • 트램 트래킹 게이지 (Tram Tracking Gauge) 측정 불가 항목: 센터 라인 (Center Line)은 측정할 수 없습니다. (로어암 니백, 상하 굽음, 개구부 점검 가능).

  • 센터링 게이지 설치: 게이지는 반드시 파손 부위에 집중적으로 거는 것이 아니라, **기준 참조점(파손이 없는 부위)**에 먼저 설치해야 합니다.


판금 및 가공

  • 판재 절단 작업: 주로 판금 가위를 사용합니다.

  • 외부 패널 변형 확인 방법: 육안 확인, 손으로 만져보기, 줄로 연마해 표면 상태 보기 등으로 확인하며, 가스 용접기로 예열해 보는 것은 변형 확인 방법이 아닙니다.

  • 블랭킹 (Blanking) 작업과 반대: **펀칭 (Punching)**입니다.

    • 블랭킹: 다이 구멍 속으로 떨어지는 부분이 제품.

    • 펀칭: 잘린 부분이 스크랩이 되고 외부에 남는 것이 제품.

  • 리벳 구멍 다듬질: 균열 방지를 위해 다듬질하는 작업을 **리밍 작업 (Reaming)**이라고 합니다.


도장 및 마감

  • 도료 성분 - 용제 (Solvent): 그 자신은 도막이 되지 못하나, 도료 중의 수지를 용해하여 도막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입니다.

  • 도막 건조 방법 - 열 건조법: 도장물을 가열하여 도막의 산화 중합을 촉진시켜 단시간에 부착력이 좋은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 최종 상도 도막 연마 광택기: **폴리셔 (Polisher)**를 사용합니다.



4. 안전 관리 및 공구


안전 및 보건

  • 엔진 오일 압력 경고등 색상: 적색 (위험 및 경고 표시).

  • 연소의 3요소: 가연물, 산소(공기), 점화원입니다. 은 소화 물질입니다.

  • 재해 발생 직접 원인: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입니다.

  • 안전 표지 색채: 노란색은 충돌, 추락 등 주의 표시입니다. (적색: 위험/금지, 청색: 지시/구급, 녹색: 안전/비상구)

  • 소화 작업 (유류 화재): 유류 화재 시 표면에 물을 부으면 화재가 확산되므로, 물 대신 포말 소화기 등을 사용해야 합니다.

  • 인화성 물질: 가솔린, 알코올, 시너 등이 있습니다.

  • 도장 부스 준수 사항: 도장 부스실은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하지 않고, 작업 중에는 밀폐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 사고율 - 도수율 (Frequency Rate): (재해 건수 / 연 근로시간 수) × 1,000,000


공구 사용 및 보호구

  • 보호구 불필요 작업: 측정 작업은 보호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 연마용 공구가 아닌 것: **에어 치즐 (Air Chisel)**은 공기 압축기를 이용한 절단 공구입니다.

  • 드릴 작업 시 칩 제거: 회전을 중지시킨 후 솔로 제거해야 안전합니다.

  • 정 작업 시 주의 사항: 자르기 시작할 때와 끝날 무렵에는 조심스럽게 쳐야 하며, 세게 치면 안 됩니다.

  • 렌치 사용 금지: 스패너의 자루가 짧다고 긴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공구가 파손되거나 미끄러져 위험합니다.

  • 안전 보호구 착용 오류: 드릴 작업 시 장갑을 끼고 작업하는 것은 장갑이 회전하는 드릴에 말려들어가 부상을 유발할 수 있어 잘못된 행동입니다. 드릴 작업 시 장갑은 착용하지 않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