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자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종자의 발아, 휴면 및 수명
발아 필수 조건과 물질
발아 필수 3대 조건: 수분, 산소, 온도.
발아 촉진 물질: 지베렐린, 시토키닌, 에틸렌.
발아 억제 물질: ABA (Absisic Acid), 코마틴, 파라소브산, 암모니아, 사이안화수소, 불포화산.
수중 발아 우수 종자: 벼, 상추, 당근, 셀러리, 피튜니아 등. (물속에서 발아하지 못하는 종자는 콩, 밀, 고추, 알팔파 등)
최저 발아 온도: 시금치, 상추, 셀러리 등은 저온(5°C 이하)에서도 잘 발아함.
휴면 및 발아 과정
자발적 휴면: 씨눈 미숙, 종피 경화, 발아억제물질 존재 등 종자 내부의 원인.
타발적 휴면: 수분, 온도, 광 등 외부 환경이 부적합한 경우.
휴면 타파 (저온 처리) 시 변화: 효소의 활력 증가, 삼투압 증가, 불용성 물질이 가용성 물질로 변화.
발아 시작 단계: 종자의 수분 흡수 3단계 중 중간 단계에서 발아가 시작됨.
종자의 수명 및 저장
종자의 수명 분류 (암기 필수):
단명종자: 파, 양파, 옥수수, 상추, 당근, 고추, 팬지.
상명종자: 벼, 배추, 무, 시금치, 호박, 밀, 보리.
장명종자: 클로버, 토마토, 가지, 수박, 나팔꽃.
수명에 가장 큰 영향 요소: 습도와 온도. (저온, 저습 저장)
저장 시작 시 발아율이 높고 1,000립중이 무거울수록 수명이 길다.
고온 다습 환경은 종자의 수명을 급격히 단축시킨다.
저장용 흡습제: 염화칼슘, 실리카겔, 생석회.
CA 저장 (Controlled Atmosphere): 이산화탄소(CO2) 농도 증가, 산소(O2) 농도 감소, 저온에서 호흡을 억제하는 저장 방법.
2. 작물 육종 및 유전
육종의 기본 원리
육종 기술 3단계: 변이의 탐구와 창성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신종의 증식과 보급.
멘델의 유전법칙: 지배의 법칙(우열), 분리의 법칙, 독립의 법칙. (연관의 법칙은 멘델 법칙에 속하지 않음)
여교배 (Back Cross) 표기: (A x B) x A.
씨 없는 수박: 3배체의 배수성을 이용한 것 (4배체 x 2배체 --> 3배체).
형질과 유전력
질적 형질: 형질 구별이 분명, 소수의 주동 유전자가 지배, 유전력이 높음.
양적 형질: 계량 및 계측 가능, 연속 변이, 여러 미동 유전자가 지배, 유전력이 낮음.
자식성 집단 특징: 동형접합성이 높고, 원치 않는 우성유전자를 쉽게 도태시킬 수 있음.
웅성불임성 이용: 세포질·핵 유전형 웅성불임성을 이용하여 일대 잡종 종자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작물은 고추.
3. 작물의 생리 및 재배 관리
채종 및 품종 관리
채종 적기: 채소류는 갈숙기, 화곡류는 황숙기.
품종 특성 유지 방법: 영양번식에 의한 보존재배, 격리재배, 원원종재배.
채종포 격리 거리 (교잡 방지):
매우 김 (약 1,000m): 무, 배추, 양파, 시금치 등 타식성 작물.
김 (약 500m): 고추.
짧음 (약 300m): 토마토.
배추과 일대잡종 목적: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균일성과 잡종강세 이용.
배추 원원종 증식 수분: 자가불화합성 억제를 위한 꽃봉오리 뇌수분.
환경 적응
단일성 작물: 낮의 길이가 12시간 이하일 때 꽃눈 분화 촉진 (벼, 콩).
장일성 작물: 낮의 길이가 12시간 이상일 때 꽃눈 분화 촉진 (보리, 밀, 시금치).
화아분화 필수 조건: 배추, 무, 양파는 일정 기간 저온(0~10°C)에 부딪혀야 함.
씨감자 고랭지 재배 이유: 진딧물 발생이 적어 바이러스병 방지에 유리.
재배 및 물질 특성
벼 배유의 최외층: 호분층 (발아 시 전분 용해 효소 생성).
벼가 가장 많이 흡수하는 성분: 규산 (규산식물).
이어짓기 피해가 작은 작물: 벼, 맥류, 조, 수수 등.
요수량이 큰 작물: 오이, 호박 등 채소류.
양배추 채종량 증대 시기: 질소 추비는 추대기에 알맞음.
과실 저장력: 건조지에서 생산된 과실이 습지보다 저장력이 강하며, 질소질 비료를 적게 준 과실이 저장력이 강함.
4. 병해충 및 잡초 관리
저장 종자 가해 해충: 쌀바구미, 화랑곡나방.
벼 줄기 속 가해 해충: 이화명나방. (벼물바구미는 잎을 가해)
벼 도열병 발생 억제 요인: 규산질 비료의 시용. (질소 과다, 저온 다습, 일조 부족은 발생 원인)
논에서 발생하는 잡초: 알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돌피, 매자기, 올방개.
화본과 잡초: 둑새풀, 돌피, 바랭이, 강아지풀.
잡초의 이점: 작물이 경작되지 않은 토양에서 토양 침식 방지.
해충 방제법:
물리적 방제법: 채종포장에 유아등을 설치하여 해충을 유살하는 것. (초단파, 광선, 온·습도 이용 등)
5. 농업 일반 및 분류
GMO: 유전적으로 변형된 식물 품종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벼 볍씨 선별: 소금물에 담그는 것은 충실한 종자를 고르기 위해서 (비중에 의한 선별).
화훼 식물 (덩이뿌리): 달리아, 작약(함박꽃), 라넌큘러스, 글로리오사.
기호 작물: 차나무, 담배, 커피, 카카오, 사탕수수 등.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