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정비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농기계정비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전기 시스템 및 계측 기본 (Electrical Systems)

농기계의 전기 장치는 기관의 시동, 점화, 각종 조명 및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필수 요소입니다.


1.1. 회로시험기 사용법과 전기 공식

  • 단선 점검 (Continuity Test): 전구나 전선의 단선 여부를 판단할 때, 회로시험기(멀티미터)의 다이얼은 저항 (옴, Ω) 위치에 놓고 점검해야 합니다.

  • 영점 조정 (Zero Adjustment): 저항 측정 전, 사전에 무부하 상태에서 프로브를 서로 접촉시켜 **0 [Ω]**을 지시하도록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 전기 에너지 (Work): 전기 에너지는 전력(P)과 시간(t)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 공식: W = V * I * t (단위: J 또는 W·s)

    • 예제: 1.5V의 전위차, 3A의 전류가 1시간(3,600초) 동안 흐를 경우: 1.5 * 3 * 3,600 = 16,200 [J] 입니다.

  • 전력과 전류: 전력(P)은 전압(V)과 전류(I)의 곱입니다.

    • 공식: I = P / V

    • 예제: 12V 전지에 15W 전구를 연결했을 때 전류: 15W / 12V = 1.25 [A] 입니다.

  • 전기 저항 (Resistance):

    • 저항은 길이(L)에 비례하고 단면적(A)에 반비례합니다.

    • 전선의 길이를 $A$배, 단면적을 $B$배로 하면 저항은 (A/B) 배가 됩니다.

    • 고유 저항: 물질의 재질에 따라 고유한 값을 갖는 저항값을 고유 저항이라고 합니다.


1.2. 축전지 및 관련 장치

  • 납축전지 (Lead-Acid Battery):

    • 완전 충전 시 20°C에서 전해액 비중은 1.260 ~ 1.280이 적정합니다.

    • 충전된 전지의 양극은 PbO2 (이산화납), 음극은 Pb (납) 입니다.

    • 축전지 용량 산정 요소에는 방전전류, 방전시간, 부하 특성, 보수율 등이 포함됩니다.

  • 헤드라이트의 3요소: 필라멘트, 반사경, 렌즈로 구성됩니다.

  • 기동 전동기 (Starter Motor) 시험: 누설 시험은 콘덴서에 적합하며, 기동 전동기 시험에는 회전력 시험, 저항 시험, 무부하 시험 등이 있습니다.



2. 기관 및 연료 시스템 (Engine and Fuel Systems)

농기계의 심장인 기관은 효율적인 동력 발생을 위해 정확한 정비가 요구됩니다.


2.1. 기관의 작동 및 성능

  • 피스톤 평균 속도:

    • 공식: Vp = 2 * S * N / 60 (S: 행정 [m], N: 회전수 [rpm])

    • 예제: 행정 80[mm] (0.080m), 1,600[rpm] 일 때: 2 * 0.080 * 1600 / 60 은 약 4.27 [m/s] 입니다.

  • 직류 직권 전동기 (DC Series Motor): 기동 회전력이 매우 크며, 회전 속도의 변화가 비교적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압축비: 압축비를 높게 하면 열효율은 좋아지지만, 너무 높으면 가솔린 기관에서는 노킹 (Knocking)이 발생하는 원인이 됩니다.

  • 이상 폭발 (Abnormal Explosion): 가솔린 기관에서 이상 폭발의 원인은 점화 시기가 빠르거나 밸브 작동이 불량할 때 발생합니다. 연료 분사 노즐 성능 저하는 디젤 기관과 관련이 깊습니다.


2.2. 점화 및 연료 관리

  • 점화 시기 조정: 점화 시기를 조정하기 전에 단속기 접점 간극을 먼저 조정해야 합니다. 이후 단속기를 회전시켜 시기를 조정합니다.

  • 디젤 연료 착화 촉진제: 디젤 연료의 착화를 돕는 촉매제로는 질산 에틸, 초산 에틸, 아초산 아밀 등이 있으며, 글리세린은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엔진 오일 교환: 엔진 오일은 오염물을 잘 배출시키기 위해 엔진이 따뜻한 상태에서 교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항상 같은 제품과 규정량을 주입해야 합니다.

  • 겨울철 장기 보관 (연료):

    • 가솔린 기관: 연료를 모두 배출시켜 변질을 막습니다.

    • 디젤 기관: 연료탱크를 가득 채워 공기와 수분 유입으로 인한 연료 여과기의 물 생성을 방지합니다.



3. 차체 및 동력 전달 장치 (Chassis and Power Train)

농업 기계는 주행, 동력 전달, 작업 장치 부착을 위해 복잡한 동력 전달 시스템을 갖습니다.


3.1. 동력 전달 및 변속 장치

  • 바퀴형 트랙터 동력 전달 순서:

    • 엔진 → 주클러치 → 주행변속장치 → 최종감속장치 (차동장치 포함) → 차축

  • 동기 물림식 기어 변속기 (Synchronized Transmission): 기어가 물릴 때 원추형 마찰 클러치로 회전 속도를 일치시킨 후 기어를 맞물리게 하여, 변속이 쉽고 소음이 없으며 고속 회전 중에도 변속이 가능합니다.

  • 차동 고정 장치 (Differential Lock): 습지나 견인력이 떨어지는 쟁기 작업 중 한쪽 바퀴가 슬립할 때 사용합니다. 일반 도로에서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동력 경운기 클러치 유격:

    • 주클러치 레버의 유격이 너무 작으면 마찰관의 마모가 심해집니다.

    • 조향 클러치 레버의 적정 유격은 1 ~ 2 [mm] 입니다.

  • 경운기 차축 고정 볼트: 왼쪽 차축 고정 볼트는 풀림 방지를 위해 왼나사를 사용합니다.


3.2. 유압 및 작업기 (Hydraulic and Implements)

  • 유압 펌프: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에 압력을 가해 고압의 유체 흐름을 형성시키는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 쟁기 조정: 트랙터에 2련 쟁기를 부착하고 지면에서 전련이 들렸을 때, 상부 링크를 짧게 조정하여 수평을 맞춥니다.

  • 트랙터 디스크 브레이크: 대부분 습식 브레이크를 장착하며, 이는 무논 작업 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 트랙터 3점 히치 카테고리: 동력취출축 출력 51 [kW]는 카테고리 Ⅱ에 해당합니다.

  • 파종기: 조파기는 종자 파종과 시비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열풍 건조 과정: 건조 → 순환 → 템퍼링 순으로 진행됩니다.



4. 농업 기계 정비 및 안전 관리 (Safety and Maintenance)

정비 작업 시 안전은 최우선 사항입니다. 작업장 안전 기준과 공구 사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4.1. 정비 및 취급

  • 동력 분무기 이상: 여수에서 기포가 나오는 원인은 스트레이너가 약액 위에 떠 있거나, 흡입 호스가 꼬이거나 패킹이 손상되었을 때 등 공기 흡입과 관련됩니다.

  • 콤바인: 급치와 수망의 간극이 넓어지면 미탈곡으로 인한 손실이 증가합니다.

  • 벼 보행 이앙기: 플로트를 표준 위치보다 높게 하면 식부는 깊어집니다. 식부본수는 묘 탱크 전판을 아래로 내릴 때 많아집니다.

  • 크랭크 핀 오일 간극: 간극이 너무 작으면 엔진 작동 시 열팽창에 의해 소결 (Sintering)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4.2. 작업 안전 및 환경

  • 공구 정리 정돈: 사용 후에는 반드시 지정된 공구 상자에 보관해야 합니다.

  • 전기 드릴 작업: 작업이 끝날 때까지 처음과 같은 힘으로 작업하지 않고, 구멍을 맨 처음 뚫을 때는 작은 힘으로 천천히 뚫어야 안전합니다.

  • 그라인더 작업: 이동식 그라인더를 고정식으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 작업 시 보호안경 착용, 안전 커버 유지, 숫돌 균열 확인은 필수입니다.

  • 운반 기계 안전: 운반 기계의 규정 용량을 초과하여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작업 환경 조도:

    • 초정밀 작업: 750 [lx] 이상

    • 정밀 작업: 300 [lx] 이상

    • 보통 작업: 150 [lx] 이상

  • 안전 관리 조직: 안전 관리의 기본 조직은 직계형, 참모형, 직계 · 참모형 (복합형)으로 구분됩니다. 연대식 조직은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5단계: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소 → 개인적인 결함 →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 → 사고 → 재해 순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