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기농업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작물 생리 및 재배 기술 핵심
1.1. 종자 및 생육 환경
종자의 활력 검사 (테트라졸륨 검사)
테트라졸륨 용액에 종자를 담갔을 때 씨눈(배) 부분에 붉은색이 나타나면 활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배유종자 (씨눈 부분에만 색깔이 나타남): 옥수수, 벼, 보리
무배유종자: 콩 (배유가 없어 전체에 고루 나타나지 않음)
광 환경 (야간조파)
야간조파(빛을 쪼여 개화를 촉진하는 것)에 가장 효과가 큰 광의 파장은 650 nm 부근의 적색광입니다.
온도와 작물 생육
생육 기간이 긴 작물일수록 더 많은 적산온도를 필요로 합니다.
발아 및 뿌리 생장에는 지온의 영향이, 잎과 줄기 생장에는 기온의 영향이 큽니다.
춘화처리: 가을보리, 가을밀 등 월동작물은 0~5ºC의 저온에서 40~60일 정도 처리하면 꽃눈이 생깁니다.
일장감응에 따른 분류 (일장 유형)
LL식물 (장일 식물): 시금치, 봄보리
SS식물 (단일 식물): 코스모스, 나팔꽃, 콩(만생종)
SL식물 (중간 식물): 앵초, 시네라리아, 딸기
요수량 (증산 계수)
작물의 건물 1 g을 생산하는 데 소비된 수분량을 말합니다.
요수량이 작은 작물이 가뭄에 강합니다.
증산능률은 요수량의 역수 개념입니다. (건물량 / 증산수분량)
1.2. 재해 및 피해
작물의 수해 (침수 피해)
수온이 높은 것이 낮은 것에 비하여 피해가 심합니다. (호흡 촉진)
정체수가 흐르는 물(유수)보다 피해가 심합니다.
벼는 분얼초기보다 출수기에 침수에 약합니다.
침수에 강한 작물: 화본과 목초, 옥수수
도복 피해
도복(작물이 쓰러짐)은 동화물질의 전류 저해, 등숙 불량, 광합성 감퇴 등의 피해를 유발합니다.
도복 시 상처에 의한 상해호흡으로 저장양분의 소모가 많아집니다.
1.3. 작물의 분류 및 번식
구황작물: 척박한 땅이나 불량한 기후 조건에서도 가꿀 수 있는 작물 (조, 피, 감자, 옥수수 등).
경영면에 따른 분류: 환금작물, 자급작물, 경제작물, 동반작물
원예작물의 근채류: 뿌리를 식용하는 채소 (고구마, 우엉, 연근, 당근, 무 등).
번식 기관:
괴경: 감자 (줄기의 변태)
인경: 마늘 (비늘잎의 변태)
괴근: 고구마 (뿌리의 변태)
엽삽 (잎꽂이): 베고니아, 바이올렛
벼의 수확 적기 (만생종): 출수 후 50~55일 (조생종은 40~45일)
인과류: 꽃턱이 발달하여 과육부를 형성한 과일 (배, 사과, 비파).
2. 토양 과학 및 비료
2.1. 비료 계산 (요소)
요소 비료량 계산
필요 유효질소량: 10 kg
요소의 흡수율: 83 % (0.83)
요소의 질소함유량: 46 % (0.46)
[비료량 계산 공식] 비료량 (kg) = 필요 유효질소량 (kg) / (흡수율 * 요소의 질소함유량)
[계산 과정] 10 / (0.83 * 0.46) = 약 26.2 kg
2.2. 토양 물리 및 구조
토양의 색: 유기물을 많이 함유하고 부식화가 클수록 토양의 색은 흑색이 짙어집니다.
흡습계수 (pF 4.5): 상대습도 98%의 공기 중에서 건조 토양이 흡수하는 수분 상태를 말합니다.
토양의 입자 밀도: 일반적인 토양의 평균 입자 밀도는 2.65 mg/m³ 입니다.
용적밀도 측정 이유: 용적밀도는 토양의 전체 용적으로 건조 무게를 나눈 값으로, 토양의 구조 발달 정도를 알기 위해 측정합니다.
토양 구조 (토괴):
판상구조: 접시 모양이거나 수평 배열의 토괴로, 모재의 특성을 간직하거나 인위적 요인으로 만들어집니다.
괴상구조: 불규칙한 6면체로, 배수와 통기성이 양호한 심층토에서 발달합니다.
입단구조: 통기성과 통수성을 증대시키고, 토양 침식을 억제하며,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을 증대시킵니다.
입단화 저해: Na (나트륨) 이온은 토양 입자들을 분산시켜 입단화를 저해합니다.
토양 침식 (바람):
약동 (0.1~0.5 mm): 짧은 거리를 구르거나 튀어 이동하며 풍식 이동의 50~90%를 차지합니다.
부유: 가는 모래 크기 이하의 작은 입자가 공중에 떠서 이동합니다.
포행 (1.0 mm 이상): 큰 입자가 토양 표면을 구르거나 미끄러져 이동합니다.
2.3. 토양 화학 및 성분
양이온 교환 용량 (CEC):
단위 무게 당 가장 많은 양의 음전하를 함유한 광물은 몬모릴로나이트 (montmorillonite) 입니다. (CEC 60~150 cmol/kg)
염기포화도 계산
양이온 교환용량: 10 cmol/kg
염기 이온 합 (Ca + Mg + K): 4.0 + 1.5 + 0.5 = 6.0 cmol/kg
[염기포화도 계산 공식] 염기포화도 (%) = (염기 이온 합 / 양이온 교환용량 (CEC)) * 100
[계산 과정] (6.0 / 10) * 100 = 60 %
규산 함량: 이산화규소의 함량이 많은 산성암은 석영반암, 유문암, 화강암 등이 있으며, 현무암은 염기성암에 속합니다.
토양 오염:
수은 오염은 미나마타병을 유발합니다.
카드뮴 오염은 이타이 이타이병을 유발합니다.
간척지 토양 특성:
염분 농도가 매우 높습니다.
비전도도가 매우 높고, 알칼리성 토양입니다.
2.4. 토양 미생물 및 유기물
균근 (Mycorrhizae) 역할: 식물 뿌리와 공생하며 식물체에게 철, 인산, 몰리브덴 등의 흡수를 증가시킵니다.
토양 내 세균: 유기물의 분해자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유익 작용과 유해 작용을 모두 수행하는 복잡한 대사 작용에 관여합니다.
건토효과: 습지 토양을 건조시킨 후 담수 보온처리하면 유기태 질소의 무기화가 촉진되어 암모니아화학작용이 촉진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질소 순환 작용:
질산화 작용: 암모니아태 질소가 질산태 질소로 산화되는 작용.
질산환원 작용: 질산이 암모니아로 환원되는 작용. (두 작용은 반대 관계)
유기물의 분해 저항성: 미생물 분해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부식의 기본 골격이 되는 것은 리그닌 (Lignin) 입니다.
탄질비 (C/N율): 탄수화물과 질소의 비율을 의미하며, 유기물의 분해 속도와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C/N율이 높으면 분해 지연)
아미노산 및 단백질 구성 성분: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 황(S) 등. 엽록소 형성 및 녹색 발현에 질소가 필수적입니다.
3. 유기농업 원리 및 실무
3.1. 유기농업 기술 및 관리
농경의 발상지: 산간부, 해안지대, 큰 강의 유역 (내륙지대는 거리가 멈).
이랑 만들기
휴립구파법: 이랑을 세우고 낮은 골(고랑)에 파종하는 방식.
휴립휴파법: 이랑을 세우고 이랑에 파종하는 방식.
고구마는 높은 이랑 재배가 유리합니다.
건조지나 한해를 받기 쉬운 작물은 평이랑이 유리합니다.
멀칭 (Mulching) 이용성
보온 효과가 크므로 생육이 빨라져 조식 재배에 널리 이용됩니다.
토양 침식 방지, 토양 수분 증발 억제로 한해 경감, 동해 경감 효과가 있습니다.
답전윤환 효과: 토지를 논 상태와 밭 상태로 바꾸어 재배하는 것으로, 지력 증강, 기지 회피, 잡초 감소, 벼 수량 증가 효과가 있습니다. (공간의 효율적 이용과는 거리가 멈).
제초 (제초제):
2,4-D (이사디)는 옥신 계통의 화합물로 선택성 제초제입니다. (벼에 피해 없이 잡초만 제거)
유기농업의 토양 비옥도 유지 증대 방법:
녹비 및 피복작물 재배, 작물 윤작 및 간작, 가축의 순환적 방목.
과도한 경운 작업은 입단 구조를 파괴하고 비옥도를 저하시키므로 지양해야 합니다.
3.2. 유기농업 및 축산 기준
유기축산물 사료 공급: 전체 사료의 100%를 유기사료로 급여해야 합니다. (항생제 사용, GMO 사료 공급, 공장식 밀식 사육은 금지됨).
유기배합사료 (식물성 단백질류): 들깻묵, 아마박
식물성 곡물류: 밀, 수수, 호밀, 귀리, 옥수수, 보리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자재 (보조 사료): 아밀라아제, 활성탄, 벤토나이트 등은 사용 가능하나, 요소 (비단백태 질소화합물)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병해충 방제 방법 (환경 오염 위험):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환경을 오염시켜 농산물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는 방제 방법은 화학적 방제입니다.
무농약 인증 생산물의 병해충 관리 순서:
예방 및 회피
경종적, 생물학적, 물리적 방제
유기농업자재 사용 (최후 수단)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용어: 유전자변형 농산물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가소화양분 총량으로, 영양소 소화율을 기준으로 한 영양소 표시법입니다.
3.3. 기타 중요 개념
지렁이의 역할: 유기물 분해, 토양을 부드럽게 함, 통기성 증대, 뿌리의 발육 강화 (저해하지 않음).
총 용수량 계산 (mm):
엽면증산량 480 mm, 수면증발량 400 mm, 지하침투량 500 mm, 유효우량 375 mm
총 용수량 (mm) = (엽면증산량 + 수면증발량 + 지하침투량) - 유효우량
계산: (480 + 400 + 500) - 375 = 1005 mm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