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보일러의 종류 및 특징


1. 보일러 형식별 특징

  • 주철제 보일러: 주로 저압용에 적합하며, 섹션(Section) 증감으로 용량 조절이 가능하고, 분해/조립/운반이 용이합니다.

  • 노통연관식 보일러: 증발속도가 비교적 빨라 스케일 부착이 쉬운 편입니다.

  • 관류 보일러 (Once-Through Boiler): 초고압 보일러에 적합하고, 기동시간이 짧으며 관 배치를 자유로이 할 수 있습니다.


2. 보일러 보존 방법 (휴지 시)

  • 건조 보존 (장기 보존: 6개월 이상): 완전 건조 후 흡습제 또는 질소가스를 넣고 밀폐 보존합니다.

  • 만수 보존 (단기 보존: 3개월 이내): 보일러수에 약제를 첨가하여 동 내부를 완전히 충만시켜 밀폐합니다.



II. 연소 및 버너


1. 연소 과정 및 현상

  • 프리퍼지 (Pre-purge): 점화 전에 댐퍼를 열고 노내 가연성 가스를 송풍기로 취출시켜 환기하는 과정입니다. 자동점화 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실화: 연소실에서 연소가 급히 중단되는 현상입니다.

  • 고온 부식 유발 성분: 연료 속의 바나듐 (V) 성분.


2. 버너 및 장치

  • 회전식 버너 (Royal Type Burner): 고속 회전하는 분무컵의 원심력을 이용해 연료를 비산, 무화시킵니다.

  • 오일 프리히터 (Oil Preheater): 연료의 점도를 낮추어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완전 연소를 돕습니다.

  • 가스 버너 (외부 혼합식): 센터파이어형, 링형, 멀티 스폿형.

  • 화염 검출기 (스택 스위치): 화염의 발열 현상을 이용합니다.

  • 연소 배기가스 분석 목적: 궁극적으로 최적 연소 효율을 도모하기 위함입니다.



III. 보일러 부속 장치 및 안전


1. 안전 장치 및 압력 기준

  • 압력 설정 순서 (낮은 것 → 높은 것):

    압력 조절기 < 압력 제한기 < 안전 밸브

  • 압력계 사이펀관 안지름: 동관 기준 6.5mm 이상으로 합니다.

  • 안전관리 최우선 사항: 안전 저수위 이하로 감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2. 급수 및 보조 장치

  • 3요소식 급수 제어 검출 요소: 수위, 증기 유량, 급수 유량 (증기 압력은 해당되지 않음).

  • 급수 펌프 구비 조건: 고속 회전에 지장이 없을 것.

  • 증기 축열기 (Steam Accumulator): 저부하 시 잉여 증기를 저장하고 과부하 시 방출합니다.

  • 수트 블로어 작업 시기: 보일러 부하가 가장 가벼운 시기에 실시합니다.

  • 계속사용검사 성능시험 측정 주기:10분마다 실시합니다.


3. 운전 및 송기

  • 운전 정지 순서: 연료 정지 → 공기 정지 → 급수 정지 → 증기 밸브 차단 → 드레인 밸브 염 → 댐퍼 닫음.

  • 증기 송기 후: 주 증기 밸브를 서서히 열고, 드레인 밸브는 닫아야 합니다.



IV. 난방 및 급탕


1. 증기 난방

  • 단관식 난방: 증기와 응축수가 동일 관을 흘러 수격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소규모 난방에 사용됩니다.

  • 환수 주관:

    • 건식 환수: 보일러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며, 증기 트랩이 필수입니다.

    • 습식 환수: 보일러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며, 드레인 밸브를 설치합니다.


2. 온수 난방 및 급탕

  • 복사 난방 (온수식): 주로 매립관에 온수를 통과시켜 난방하는 방식입니다.

  • 개방식 팽창탱크 주의사항: 팽창관은 탱크 바닥면보다 25mm 이상 높게 연결해야 합니다.

  • 중앙식 급탕법: 대규모 건축물에 적합하며, 연료비가 싼 연료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3. 계산 공식

  • 보일러 마력 (HP):

    HP = 상당 증발량 / 15.65

  • 증발 계수:

    증발 계수 = (증기 엔탈피 - 급수 엔탈피) / 539

  • 보일러 효율 (η):

    보일러 효율 (η) = [실제 증발량 x (증기 엔탈피 - 급수 엔탈피)] / (매시 연료 소비량 x 연료 저위 발열량) x 100

  • 방열 면적 (m2, 온수):

    방열 면적 (m2) = 난방 부하 (kcal/h) / 450 (kcal/m2h)

  • 온수 순환량 (kg/h):

    온수 순환량 (kg/h) = 열량 (kcal/h) / [온수의 비열 x (송수 온도 - 환수 온도)]

  • 방열기 쪽수:

    방열기 쪽수 = 난방 부하 / (표준 방열량 x 1 쪽당 방열 면적)

    (소수점이 나올 경우 상위 수 취함)



V. 에너지 관련 법규

  • 저탄소의 정의: 화석 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청정 에너지 사용 확대 및 온실가스를 적정 수준 이하로 줄이는 것.

  • 목표 에너지 원단위: 건축물의 단위 면적당 에너지 사용 목표량을 의미합니다.

  • 에너지이용합리화법 교육 대상자: 에너지 관리자, 시공업의 기술 인력, 검사 대상 기기 관리자. (효율 관리 기자재 제조자는 아님.)

  • 에너지기술 개발 투자 권고 대상: 에너지 공급자, 제조업자, 에너지 관련 공공기관. (대규모 에너지 사용자는 아님.)

  • 에너지 공단 위탁 업무가 아닌 것: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 수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소관)

  • 에너지 사용 계획 이행계획 포함 사항: 이행 주체, 이행 방법, 이행 시기. (이행 장소와 사유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