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승강기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승강기 법규 및 검사 기준


1.1 자체점검 주기 및 항목

승강기 자체점검 항목 중 점검 주기가 가장 긴 것은 **안전표시 (기계류 공간 등의 안전표시)**로, 6개월에 1회입니다.

나머지 주요 항목은 보통 3개월에 1회 점검합니다.

  • 승강로 조명의 점등상태 및 조도 (3개월에 1회, 측정 점검)

  • 감속기 윤활유의 유량 및 노후상태 (3개월에 1회, 육안 점검)

  • 주개폐기 설치 및 작동상태 (3개월에 1회, 육안 점검)

✅ 자체점검 항목이 아닌 것: 기계실의 면적은 자체점검 항목이 아닙니다. 안전 운행에 직결되는 브레이크, 와이어로프, 과부하 방지 장치 등이 주요 점검 대상입니다.


1.2 에스컬레이터 및 비상용 승강기 규격

  • 에스컬레이터 공칭 속도

    • 경사도 30도 이하: 0.75 m/s 이하

    • 경사도 30도 초과, 35도 이하: 0.5 m/s 이하

  • 비상용 엘리베이터 기준

    • 운행 속도: 1 m/s 이상

    • 정전 시 예비 전원: 2시간 이상 가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1.3 카 및 승강로 관련 규격

  • 카 비상등 조도 및 전원

    • 5 Lux (lx) 이상의 조도1시간 동안 공급할 수 있는 비상 전원 장치가 있어야 합니다.

  • 카 천장 비상구출문

    • 유효 개구부 크기는 0.4 m x 0.5 m 이상이어야 합니다.

  • 카문과 승강장문 문턱 사이의 수평 거리

    • 35 mm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 기계실 유효 높이

    • 작업 구역에서 유효 높이는 2.1 m 이상이어야 합니다.



2. 전기 및 제어 기초


2.1 직류회로의 합성 저항 및 콘덴서

직류회로의 합성 저항 (R)

  • 직렬 연결: 전체 저항은 각 저항의 합과 같습니다. (Rt = R1 + R2 + R3 + ...)

  • 병렬 연결: 전체 저항의 역수는 각 저항의 역수의 합과 같습니다. (1/Rt = 1/R1 + 1/R2 + 1/R3 + ...)

콘덴서의 합성 정전용량 (C)

콘덴서는 저항과는 반대로 합성됩니다.

  • 직렬 연결: 합성 정전용량의 역수는 각 정전용량의 역수의 합과 같습니다. (저항의 병렬 연결 공식과 동일) (1/Ct = 1/C1 + 1/C2 + 1/C3 + ...)

  • 병렬 연결: 전체 정전용량은 각 정전용량의 합과 같습니다. (저항의 직렬 연결 공식과 동일) (Ct = C1 + C2 + C3 + ...)


2.2 전동기 및 제어 방식

  • 동기 속도와 극수: 교류 전동기의 회전수는 주파수와 극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 극수 (P) = (120 x 주파수) / 회전수

    • 예: 60 Hz, 1,200 rpm일 경우, 극수 = (120 x 60) / 1,200 = 6극

  • 3상 유도 전동기 역상 제동 (Plugging): 운전 중 **2선 (상회전)**의 접속을 바꾸어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제동하는 방식입니다.

  • VVVF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유도 전동기의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변환시켜 속도를 제어합니다. 효율이 좋고 저속부터 고속까지 폭넓은 영역의 엘리베이터에 적용 가능합니다.

  • 전동기 요구 특성: 엘리베이터 전동기는 저진동, 저소음 특성을 지녀야 합니다.


2.3 반도체 및 제어 회로

  • N형 반도체: 공유 결합 시 과잉 전자를 발생시켜 전기 전도를 하는 불순물 반도체입니다.

  • GTO (Gate Turn-Off Thyristor):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로, 음의 게이트 전류 펄스에 의해 턴오프가 가능합니다.

  • 되먹임 제어 (Feedback Control): 제어계에는 반드시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 전동기 정역회로의 안전: 기기 보호와 조작자의 안전을 위해 인터로크회로를 필수적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동시에 정방향과 역방향 회로 동작 방지)



3. 기계 일반 및 유압 승강기


3.1 와이어로프 및 트랙션

  • 와이어로프의 구성 요소: 소선, 스트랜드, 심, 심강으로 구성되며, **킹크 (Kink)**는 로프의 손상(결함) 형태입니다.

  • 로프 꼬임 방법: 승객용 엘리베이터에서는 일반적으로 보통 Z꼬임 방식이 주로 사용됩니다.

  • 트랙션 능력: 권상기 도르래와 로프 간의 마찰력을 말합니다.

    • 와이어로프의 권부각이 클수록 마찰력이 커져 미끄러지기 어렵습니다.

    • 가속도가 클수록, 마찰계수가 작을수록, 장력비가 트랙션 능력에 근접할수록 미끄러지기 쉽습니다.


2:1 로핑 (Roping) 방법

2:1 로핑은 카와 균형추에 연결된 로프를 권상기 도르래에 2번 감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 작동 원리: 로프가 움직이는 거리가 카가 움직이는 거리의 2배가 되도록 중간에 도르래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특징:

    1. 권상기 도르래의 회전 속도는 2배가 되는 대신, 토크는 1/2만 필요합니다.

    2. 카의 속도는 권상기 회전 속도의 1/2이 되므로, 고속 승강기에는 부적합합니다.

    3. 주로 저속, 중저층 엘리베이터에 사용됩니다.


3.2 균형추, 완충기 및 안전율

  • 균형추의 중량 계산: 균형추의 중량 = 카 자체하중 + (정격 하중 L x 오버밸런스율 F)

    • L: 정격 하중 (Rated Load)

    • F: 오버밸런스율 (Overbalance Factor, 보통 0.4 ~ 0.5 사용)

  • 유입 완충기 (에너지 분산형):

    • 완충 작용은 실린더 내의 기름이 좁은 오리피스 틈새를 통과하며 생기는 유체 저항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 최대 적용 중량카 자체 중량 + 적재 하중으로 합니다.

    • 행정 거리는 정격 속도의 **115 %**로 충돌할 때 평균 감속도 1.0gn 이하로 정지하기에 충분해야 합니다.

  • 안전율: 안전율 = 인장강도 / 허용응력


3.3 유압식 엘리베이터

블리드 오프 (Bleed Off) 유압 회로

이 회로는 정확한 속도 제어가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량 조절 방식: 유량 제어 밸브가 주 회로에서 분기된 바이패스 회로에 삽입되어, 펌프에서 토출된 작동유의 일부를 탱크로 돌려보내는 방식입니다.

  2. 부하 및 점성 영향: 유입되는 유량이 아닌 버려지는 유량을 조절하므로, 부하 변동이나 작동유의 점성 변화가 최종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3. 정밀 제어 한계: 외부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낮아 정밀한 속도 제어가 어렵습니다.



4. 안전 및 기타


4.1 안전 관리 및 사고 방지

  • 안전 사고 발생 요인: 직접적인 원인은 불안전한 상태와 행동이 가장 높습니다.

  • 안전대 용도:

    • 1종: U자걸이 전용

    • 2종: 1개걸이 전용 (추락 방지)

  • 안전 색채:

    • 노랑: 경고, 주의 (위험 예지)

    • 녹색: 안내, 구급

    • 파랑: 지시

  • 재해 발생 형태: 정지되어 있는 물체에 부딪치는 것은 충돌입니다.

  • 화재 시 조치: 빌딩 내에서 화재 발생 시 절대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대피해서는 안 되며, 계단을 이용해야 합니다.


4.2 주요 안전 장치

  • 리밋 스위치: 카가 최상층 및 최하층을 지나쳐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를 감속 제어하여 정지시키는 장치입니다.

  • 도어 클로저: 승강장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 모든 제약이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문을 닫게 하여 2차 재해를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 개문출발 방지 장치 (UDE): 승강장 문이 잠기지 않거나 카 문이 닫히지 않은 상태로 카가 승강장에서 벗어나는 결함(개문 출발)을 방지하거나 카를 정지시킵니다.

  • 과속조절기 (조속기): 카의 과속 시 작동하며, 스위치 및 캐치는 작동 후 자동 복귀되지 않습니다 (수동 복귀 필요).

    • 플라이 볼형 조속기: 링크 기구에 매달린 구형의 진자에 작용하는 원심력으로 작동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