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안전 및 도장 장비 관리
필수 안전 용구: 싱글 액션 샌더 등 구도막 제거 작업 시 가장 중요한 안전 용구는 보호안경 및 방진 마스크입니다.
유기용제: 탄소를 함유하고 다른 물질을 용해시키며 휘발하기 쉬운 물질입니다.
스프레이 건 세척 유해 물질: 세척 작업 중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아미드 등의 유해 물질이 발생합니다.
압축 공기 목적: 좋은 품질의 도막 형성, 에어 공구 성능 유지 및 수명 연장에 기여합니다.
작업 환경: 샌딩 작업은 분진 포집이 가능한 샌딩 룸에서 실시해야 안전합니다.
에어 샌더 회전수: 일반적인 회전수는 4000~8000rpm입니다.
강제 건조 장점: 건조 경화가 빠르고, 도막 성능이 향상되며, 작업 효율이 좋습니다. (세팅 타임이 필요 없는 것은 아닙니다.)
2. 하지 작업 및 중도 공정 (구도막, 퍼티, 프라이머)
박리제(리무버) 도포: 스프레이 건이 아닌 붓을 사용하여 도포해야 합니다.
샌드 브라스트 부적합: 퍼티 적층의 연마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퍼티 연마는 평활성 확보를 위해 핸드 블록을 사용해야 합니다.
맨 철판 방청 도료: 방청 기능을 위해 도장하는 도료는 워시 프라이머입니다.
도료 부착성/내식성 향상 화학약품: 도장면 표면처리에 사용하는 약품은 인산아연입니다.
중도용 도료: 프라이머-서페이서는 중도용 도료에 해당하며, 워시 프라이머 등은 하도용 도료입니다.
중도 도료 요구 성질: 방청성, 부착성, 내치핑성은 요구되나, 연마 후 후속 도장이 이루어지므로 광택성은 필요 없습니다.
프라이머-서페이서 도장 위치 (아닌 것): 베이스 코트 위에는 도장하지 않습니다. (베이스 코트 위에는 클리어 코트가 도장됩니다.)
일반적 퍼티 종류: 자동차 보수 도장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퍼티는 폴리에스테르 퍼티입니다.
두꺼운 퍼티 문제: 연마 및 작업성이 나빠지며, 부풀음, 핀홀, 균열, 부착력 저하 등을 유발합니다.
초벌 퍼티 연마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초벌 퍼티 연마지로 가장 적합한 것은 #80입니다.
3. 마스킹 및 색채/조색 이론
마스킹 목적 (아닌 것): 프라이머-서페이서 도막 두께 조정은 마스킹의 주 목적이 아닙니다.
트림 마스킹 테이프: 차량 앞/뒷면 유리의 고무 몰딩(트림 피니싱 몰딩)에 적합한 마스킹 테이프입니다.
마스킹 장치: 마스킹 페이퍼와 테이프를 모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는 **마스킹 페이퍼 편리(디스펜서)**입니다.
응급 치료센터 색상: 안전표시에 사용되는 색상은 녹색입니다.
가장 눈에 잘 띄는 배색: 보색 대비가 가장 큰 빨강 - 청록 배색입니다.
먼셀 주요 5원색: 빨강, 노랑, 녹색, 파랑, 보라입니다.
비투과성 조색제 사용 색상: 솔리드 칼라 조색 시 비투과성(불투명) 조색제를 사용합니다.
조색제 투입 원칙: 지정 색과의 비교 시 수정할 조색제를 한꺼번에 모두 넣지 않고 미량씩 첨가해야 합니다.
4. 도장 기법 및 결함
메탈릭 색상 비교 시기: 투명(클리어 코트) 건조 후가 가장 적합합니다.
3코트 펄 건조 불충분: 정면톤과 측면톤의 변화가 심해집니다. (펄 베이스가 컬러 베이스에 침투)
도막 평활성 첨가제: 도막의 평활성을 좋게 해주는 첨가제는 레벨링제입니다.
솔리드 2액형 상도 두께: 적당한 건조 도막 두께는 **40~50㎛**입니다.
3C1B 도장 순서: 칼라베이스 - 펄 베이스 - 클리어 순서입니다.
하절기 베이스 코트: 온도가 높을 때는 건조를 늦추는 지건용 시너를 사용하여 도장합니다.
메탈릭 도료 여과지: 규격은 **220 메시(meshs)**가 옳습니다.
스프레이 건 토출량 증가: 도막이 두꺼워져 건조가 늦어집니다.
숨김 도장 (블렌딩): 메탈릭이나 펄 도장 시 주위 패널과 약간 겹치도록 도장하여 색상 차이를 최소화하는 도장 방법입니다.
블렌딩 시 거친 연마지 사용: 도료 용제에 의한 **주름 현상(Wrinkling)**이 발생됩니다.
블렌딩 유의 사항: 도료의 분출량을 많게 하는 것은 얇은 도막 형성을 방해하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도장 작업 중 발생하는 결함: 메탈릭 얼룩은 도장 작업 중에 발생하며, 황변, 크랙, 녹 발생 등은 건조 후 발생합니다.
물자국 (Water Spot): 보수 도장 후 비를 맞고 세차 시 원형에 가까운 반점이 생기는 결함입니다.
백악화 (Chalking): 열, 빛, 물 등에 의해 수지가 노화되어 안료가 표면에 노출되는 현상입니다.
5. 플라스틱 부품 도장
플라스틱 재질: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유리섬유에 침투시켜 적층한 소재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입니다.
탈지 이유: 표면에 존재하는 이형제를 제거하여 박리 현상 및 크레터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범퍼 균열 원인: **유연성을 부여하는 첨가제(가소제)**를 넣지 않아 충격에 도막이 깨지는 것입니다.
건조 온도: 플라스틱 도장 시 건조 온도는 80℃ 이하에서 실시해야 변형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플라스틱 특징: 플라스틱은 유기용제에 침식되거나 변형될 수 있습니다.
6. 기타
광택 작업 공정 (아닌 것): 페더 엣지(Feather Edge) 공정은 하도(퍼티 전후) 공정이며, 광택 작업의 4단계(컬러 샌딩, 컴파운딩, 폴리싱 등)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