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도저운전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디젤 엔진 및 연료 장치 핵심 정리
1.1. 엔진 성능 및 구성 요소
터보차저의 역할: 디젤 엔진에 공기를 압축하여 강제로 밀어 넣어 연소 효율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입니다.
고압 분사 담당: 연료 분사펌프는 고압으로 연료를 분사 노즐에 전달하여 효율적인 연소를 가능하게 합니다.
팬벨트 장력: 팬벨트의 장력이 너무 강하면 발전기(교류 발전기)의 베어링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가솔린 엔진 부품: **기화기(캬브레터)**는 가솔린 엔진의 연료 장치 부품이며, 디젤 엔진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1.2. 연료 순환 및 점검
연료 순환 순서 (필수 암기): 연료탱크 → 연료공급펌프 → 연료필터 → 분사펌프 → 분사노즐
시동 전 점검 사항: 냉각수, 연료, 유압유의 양은 시동 전에 점검하지만, 엔진오일의 온도는 시동 후에 확인하는 사항입니다.
1.3. 냉각 및 전기 시스템
엔진 과열 원인 (물 가득 참): 방열기에 물이 가득 차 있어도 엔진이 과열된다면, 라디에이터 팬이 고장나 냉각수 순환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발전기(교류 발전기) 기능: 엔진 작동 중 필요한 전기를 생성하여 전기 부품에 공급하고, 축전지를 재충전합니다.
전기 히터 목적: 주로 저온에서 엔진 예열 및 내부 공간 난방을 위해 사용됩니다.
2. 유압 및 동력 전달/주행 장치
2.1. 유압 시스템
조향 장치 고장 예방: 조향 시스템의 부품 손상을 막기 위해 정기적인 유압유 교체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제동 시스템 점검: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핵심은 유압유의 수준 및 상태를 점검하는 것입니다.
체크 밸브(Check Valve) 기능: 유압유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만 허용하여 역류를 방지합니다.
유압 모터 용량: 유압 모터의 용량은 입구 압력(kgf/cm²)당 토크로 나타냅니다.
GPM 의미: GPM (Gallons Per Minute)은 유압 계통 내에서 이동되는 오일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컨트롤 밸브 역할: 스풀 형식의 밸브를 사용하여 오일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블리드 오프 회로: 유압실린더의 속도 제어를 위해 유량제어 밸브를 실린더와 병렬로 설치하는 회로입니다. (직렬 아님)
여과기 분류: 흡입 여과기는 관로용 여과기(라인, 압력, 리턴 여과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2.2. 동력 전달 및 주행 장치
클러치판 위치: 클러치판은 변속기 입력축의 스플라인에 끼워져 있습니다.
충격 완화 장치: 트랙 장치에서 트랙과 아이들러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리코일 스프링을 설치합니다.
주행 시 주의: 요철이 심한 곳은 신속히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엔진 회전수를 낮추고 천천히 정속 주행해야 합니다.
경사면 작업: 안전을 위해 가능한 한 경사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작업해야 합니다.
3. 건설기계 관리 법규 및 제도
3.1. 등록 및 검사
등록 주체: 건설기계의 소유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등록해야 합니다.
형식 승인: 건설기계의 형식 승인은 국토교통부장관이 합니다.
수시 검사: 성능 불량이나 사고가 잦은 건설기계의 안전성을 점검하기 위해 수시검사를 실시합니다.
운전 중량 산정: 건설기계 운전 중량 산정 시 조종사 1명의 체중은 65 kg을 적용합니다.
검사 대행기관: 국내 유일의 건설기계 정기 검사 대행기관은 대한건설기계 안전관리원입니다.
3.2. 면허 및 의무
조종사 면허 교육: 지정된 기술교육원의 교육 과정을 이수해야 면허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책임보험 목적: 건설기계 등록 시 사고 발생 시 피해자에 대한 보상 보장을 위한 주요 목적입니다.
불법 개조 벌금: 불법 개조된 건설기계를 운행한 경우 최소 100만 원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무상 정비 기간: 형식 승인을 얻거나 신고한 자는 판매일로부터 12개월 동안 무상으로 정비해 주어야 합니다.
정비 후 미인수: 장기간 건설기계를 찾아가지 않으면 보관 및 관리에 드는 비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3.3. 대형 건설기계 기준
특별표지판 부착 대상 (아닌 것): 길이가 16 m인 건설기계 (기준은 16.7 m 초과)
특별표지판 부착 기준: 너비 2.5 m 초과, 길이 16.7 m 초과, 높이 4.0 m 초과, 총중량 40 ton 초과 등
경고 표지판 위치: 조종사가 쉽게 볼 수 있도록 조종실 내부에 부착합니다.
4. 작업 안전 및 환경 관리
4.1. 작업 안전
가장 중요한 안전 조치: 적절한 개인 보호장비 착용은 불도저 운전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안전 조치입니다.
시야 확보 어려움: 불도저 운전 시 블레이드의 크기와 위치가 시야 확보를 어렵게 하는 주된 원인입니다.
작업 중 주의: 작업 중에는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해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벨트/풀리 안전: 벨트를 걸거나 벗길 때는 반드시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해야 합니다.
4.2. 공구 사용 및 관리
스패너 사용: 스패너로 볼트를 죄거나 풀 때는 항상 앞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주어야 안전합니다.
공구 보관: 사용한 공구는 면 걸레로 깨끗이 닦아서 공구상자나 보관함에 정리합니다.
4.3. 화재 및 응급처치
화재 분류:
A급 화재: 일반 화재
B급 화재: 유류 화재
C급 화재: 전기 화재
D급 화재: 금속 화재
응급처치 (화학물질): 알칼리 또는 산성 세척유가 눈에 들어갔을 경우 우선 수돗물로 씻어낸 후 병원으로 후송합니다.
4.4. 환경 보호 및 표시
환경 보호 수칙: 작업 후 토지를 원래 상태로 복구하는 것은 환경 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조치입니다.
라인 마크: 청색 원형 마크는 상수도 배관 매설 표시입니다. 도시가스 배관 표시는 직경 9 cm 정도의 동합금 또는 황동 주물로 되어 있습니다.
안전보건표지 색채: 노란색은 위험이 아닌 경고에 대한 용도의 색채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