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종균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버섯종균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재배 환경 및 생리 조건


1.1. 온도, 습도 및 광 조건

  • 팽이버섯 원균 보존 온도: 약 4ºC (냉장 보관).

  • 팽이버섯 자실체 생육 환경: 광선이 필요하지 않은 어두운 상태.

  • 팽이버섯 발이실 최적 환경: 온도 13~16ºC, 습도 90% 이상.

  • 표고/느타리 균사 배양 pH: pH 5~6 (약산성).

  • 느타리 균사 고온 장애: 36도C 이상에서 생장 중지.

  • 표고 자실체 최적 공중 습도: 80~90%.

  • 영지버섯 생육 환경: 광조사, 고온처리, 환기, 가습이 필수. 저온처리는 해당 없음.

  • 양송이 광도 영향: 버섯 발생 시 광도의 영향이 가장 적은 버섯.

  • 양송이 퇴비 후발효 중 먹물버섯 발생: 퇴비 온도가 50도C 이상을 넘지 못할 때 (주로 40~50ºC 범위).


1.2. 버섯 생리 일반

  • 버섯 분류: 대부분의 식용버섯은 담자균류에 속합니다.

  • 수확 후 생리: 수확 후에도 호흡에 관여하는 효소 시스템이 정지되지 않고 계속 작용하며, 젖산, 초산 및 휘발성 유기산 생성, 포자 방출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우량 균주 조건: 다수성, 고품질성, 내재해성이며, 이병성 (병에 쉽게 걸리는 성질)은 부적합합니다.

  • 영지 수확 적기: 갓 뒷면의 색이 황색일 때.



2. 종균 제조 및 살균 기준


2.1. 살균 및 소독

  • 고압살균 조건 (121ºC): 압력 1.1~1.2 kgf/cm²

  • 종균 생산 시설 최소 용량: 1회 살균 기준 살균기의 최소 용량은 600병 이상.

  • 배지 살균 방법: 감자추출배지(PDA) 등은 고압증기살균이 적합.

  • 접종실 소독 약제: 70% 알코올, 0.1% 승홍수, 4% 석탄산 등을 사용. 0.1% 탄산칼슘은 사용하지 않음.


2.2. 배지 재료 및 관리

  • 산도 조절 첨가제: 배지 조제 시 산도 조절용으로 탄산석회를 사용합니다.

  • 느타리 톱밥종균 수분 함량: 약 65%.

  • 양송이 밀 곡립종균 수분 함량: 45~50%.

  • 톱밥배지 살균 시점: 입병작업 완료 후 배지 변질을 막기 위해 즉시 살균 처리해야 합니다.

  • 곡립종균 관리: 배양 중 흔들어 주기 작업을 통해 균덩이 형성을 방지하고 균을 고르게 활착시킵니다.

  • 표고 톱밥배지 미강 첨가량: 20%가 적당합니다.



3. 버섯별 재배 기술 및 수종


3.1. 표고버섯 (Lentinula edodes) 재배

  • 부적당 수종: 오동나무.

  • 적정 원목 크기: 직경 10~15cm.

  • 접종 최적 시기: 노지 재배 시 3~4월 (3월 중순 ~ 4월 중순 이전).

  • 접종 후 작업: 균사 활착을 위해 먼저 임시 눕혀두기를 실시합니다.

  • 균 배양 시설: 비가림시설은 원목재배 시 필요하며, 톱밥재배 시에는 살균실, 무균실, 배양실이 필수입니다.


3.2. 느타리버섯 (Pleurotus ostreatus) 재배

  • 부적당 수종: 낙엽송 (침엽수). 포플러나무 등의 활엽수가 적당합니다.

  • 적정 원목 굵기: 15cm 내외.

  • 볏짚 야외 발효: 고온, 호기성 발효가 되도록 하며, 상부가 60ºC일 때 뒤집기를 합니다.


3.3. 양송이 (Agaricus bisporus) 및 기타 버섯

  • 양송이 종균 종류: 주로 곡립종균을 사용합니다.

  • 뽕나무버섯균: 목재부후균으로 균사속을 형성하여 천마와 접촉하여 공생 관계를 유지합니다.

  • 노루궁뎅이버섯 주재료: 참나무가 가장 양호합니다.

  • 만가닥버섯 배지 재료: 느티나무, 버드나무, 오리나무 등이 적절합니다.



4. 병해충 및 재배 실패 원인


4.1. 주요 질병

  • 양송이 특이 질병: 마이코곤병이 주로 양송이에서 발생합니다.

  • 세균성 갈반병 (느타리): 결로 현상이 많이 일어나는 재배사에서 잘 발생합니다.

  • 푸른곰팡이병 발생 원인: 배지나 복토가 산성일 때 (알칼리성이 아님), 재배사 온도가 높을 때, 후발효가 부적당할 때.

  • 치마버섯 (표고): 원목의 수분 함량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성해균입니다.

  • 검은단추버섯 (표고): 고온건조기 (5~10월경)의 직사광선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4.2. 주요 해충

  • 건표고 가해 해충: 곡식좀나방 (주름살에 산란, 유충이 내부 식해).

  • 버섯파리 유충 특징 (세시드): 유충이 2mm 정도로 작고 황색이나 오렌지색을 띠며, 유태생식합니다.

  • 털두꺼비하늘소 피해 시기: 유충 시기에 원목에 피해를 입힙니다.


4.3. 재배 실패 증상

  • 느타리 환기 불량 증상: 대가 길어지고, 갓이 발달되지 않으며, 수확이 지연됩니다.

  • 양송이 곡립종균 균덩이 형성 원인: 배양실 온도가 높을 때, 곡립배지의 산도가 높을 때, 곡립배지의 수분 함량이 높을 때, 흔들기를 자주하지 않을 때.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