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크레인 구조 및 부품 기준
1.1. 크레인 구조 및 성능
거더의 허용 굽힘량: 스팬의 1/800 이하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정격하중 매달았을 경우)
주행 휠베이스: 스팬 길이의 1/7 이상이어야 합니다.
주행 레일 높이 편차: 기준면으로부터 최대 ± 10mm 이내여야 합니다.
횡행 차륜 정지용 스토퍼 높이: 차륜 지름의 1/4 이상이어야 합니다.
완충장치 종류 (버퍼): 스프링, 고무, 나무, 유압식 버퍼가 사용됩니다. (강철 버퍼 스토퍼는 해당 안 됨)
크래브(Crab) 급정지 영향 요소: 와이어로프, 크래브 자체, 횡행 차륜에 영향을 주며, 주행 차륜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지진 하중 기준: 옥외 단독 설치 크레인에 한하여 크레인 자중(권상 하물 제외)의 **15%**에 상당하는 수평 하중을 고려해야 합니다.
1.2. 훅 및 와이어로프
훅 개구부 벌어짐 한도: 원래 치수의 **5%**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와이어로프 드럼 감김 여유: 훅이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했을 때, 드럼에는 클램프 고정이 되지 않은 로프가 최소 2회 이상 감겨 있어야 합니다.
와이어로프 드럼 고정: 와이어로프를 드럼에 설치할 때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고정구)**를 사용합니다.
와이어로프 구성 표기: 6 x Fi(24) + IWRC B종 20mm
6: 스트랜드 수
24: 소선(와이어)의 수
B종: 소선의 인장강도
20mm: 와이어로프의 직경
소선 수와 강도: 같은 굵기라도 소선이 가늘고 수가 많을수록 유연성이 좋고 더 강합니다.
와이어로프 심강의 목적: 충격하중 흡수, 부식 방지, 소선 간 마찰에 의한 마모 방지, 스트랜드 위치 올바르게 유지 (충격하중 분산은 해당 안 됨)
슬링 각도 계산 (두 줄 걸이): 한 줄에 걸리는 하중 = (부하물의 하중 / 로프의 수) x (1 / cos(로프의 각도 / 2))
예: 1,000kgf 짐을 90°로 걸 때: 1000/2 x 1/cos(45°) ≈ 707kgf
링크 체인 폐기 기준: 연결된 5개의 링크를 측정하여 연신율이 제조 당시 길이의 5% 이내여야 합니다.
2. 전기 및 제어 장치
2.1. 전기 기초 및 전동기
교류 저압 기준: 1,000V 이하 (직류 1,500V 이하)
절연저항 기준 (전동기):
200V: 0.2MΩ 이상
440V: 0.4MΩ 이상
3,300V: 3MΩ 이상
150V 초과 300V 이하인 경우: 0.2MΩ 이상
전동기 토크(Torque): 전동기의 회전력 (기동 토크, 시동 토크)
전동기 극수 계산: 동기속도 (Ns) = (120 x 주파수 (f)) / 극수 (P)
예: Ns = 900rpm, f = 60Hz 일 때: P = (120 x 60) / 900 = 8극
2.2. 제어 및 브레이크
유니버셜 제어기 (만능식): 하나의 제어기로 주행과 횡행, 또는 주권과 보권 등 두 동작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제어기입니다.
전자 브레이크 과열 원인: 가동 철심이 완전히 부착되지 않을 때, 규정 전압 초과 시, 전선의 부분 단락 시, 드럼과 브레이크슈의 틈새 부족 시 (틈새 과다는 원인이 아님)
직류 전동기 속도 제어용 브레이크: 다이나믹 브레이크
권상 장치 속도 제어용 브레이크: 와류 브레이크 (주행/횡행에는 설치하지 않음)
3상 유도전동기 2차 저항기 역할: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2차 회로에 부착되어 저항량을 조정함으로써 속도를 변속하는 역할을 합니다.
퓨즈: 회로에 직렬로 연결하여 과대 전류를 차단합니다.
아크 발생 위치 (잦은 곳): 집전장치의 접촉면, 전동기 정류자, 전자접촉기 등 (저항기는 비교적 거리가 뭅니다)
전동기 발열 원인: 부하가 클 때, 사용 빈도가 높을 때, 저항기가 부적당할 때, 전원 전압이 너무 높거나 낮을 때 (전압강하가 없을 때는 원인이 아님)
3. 안전 및 작업 수칙
3.1. 안전 장치 및 점검
권과방지장치 종류: 중추식, 나사식(스크루식), 캠식 (컴비네이션식은 해당 안 됨)
리미트 스위치 역할: 주행, 횡행, 권상 등에서 과행(운전 한계선 초과)을 방지합니다.
작업 전 점검 사항 (운전자):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 횡행 레일의 상태
와이어로프의 상태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
(틀린 것: 정격 용량보다 높은 회전으로 모터 구동)
감전 위험 장소 안전 사항: 충전전로 이설, 방호구 설치, 감전 방지 방책 설치. 작업감시인은 반드시 두어야 합니다.
3.2. 운전 및 조작 수칙
주행 속도 기준 (작업 바닥면 조작 시): 화물과 운전자가 함께 이동하는 크레인의 주행 속도는 분당 45m 이하여야 합니다.
권하 작업 속도: 하물을 적당한 높이까지 내린 후 천천히 내립니다.
화물 권상 시: 화물이 지면에서 약 20cm 떨어진 후에 일단 정지시켜 중심 및 밸런스를 확인합니다.
화물 운반 주의사항: 규정 중량을 초과하면 안 됩니다. 사람이나 기계 위를 통과시키지 않아야 합니다.
줄걸이 용구 분리: 크레인으로 줄걸이용 와이어로프를 잡아당겨 분리해서는 안 됩니다. 손으로 분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작업 종료 후 조치: 각 제어기는 OFF로 하고, 보호관의 스위치도 OFF로 해야 합니다.
3.3. 수신호 및 안전 일반
수신호 (아래로 내리기): 팔을 아래로 뻗고 집게손가락을 아래로 향해서 수평원을 그립니다.
수신호 (이상 발생): 운전자가 경보기를 울리거나 한쪽 손의 주먹을 다른 손의 손바닥으로 2~3회 두드리는 것입니다.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위 (사고 원인): 안전 조치의 불이행 (물적 위험상태, 작업장 환경 불량 등은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
소화재: D급 화재(금속 화재: 금속나트륨, 금속칼륨 등)의 소화재는 건조사가 적합합니다.
가스 용기 도색: 산소 가스 용기의 도색은 녹색입니다. (아세틸렌: 황색, 수소: 주황색 등)
작업장 안전 관리: 소화기 근처에 물건을 적재해서는 안 되며, 공장 바닥에 폐유를 뿌려서는 안 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