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보전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설비보전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설비관리 및 보전 (MP/PM/TPM)


1.1. 설비관리 기본 개념

  • 보전예방(MP, Maintenance Prevention): 고장이 없고 보전이 불필요한 설비를 설계 및 제작하기 위한 설비관리 방법.

  • 설비종합효율 공식: 시간 가동률 x 성능 가동률 x 양품률.

  • 설비의 유효 가동률: 시간 가동률 x 속도 가동률.

  • 정미가동시간: 기계를 가동하여 직접 생산하는 시간.

  • 설비관리 시스템 구성요소: 처리 기구 (설비, 기계장치), 투입 (원료), 산출 (제품).


1.2. 보전 표준 및 분석

  • 설비보전표준: 설비의 열화를 측정, 열화 진행 방지 및 회복을 위한 제 조건의 표준을 명시하는 표준.

  • PM 분석 (Physical Maintenance Analysis): 설비의 물리적 성질과 메커니즘을 이해하여 만성화된 설비나 시스템의 불합리한 현상을 원리 및 원칙에 따라 해석하는 기법.

  • 자주보전의 전개 단계 (순서): 초기 청소 -> 발생원인 및 곤란 개소 대책 -> 청소 및 급유 기준 작성과 실시 -> 총점검 -> 자주점검.


1.3. 조직 및 관리

  • 지역보전 단점: 보전원의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이 잘 행해지지 않는다. (훈련 향상은 집중 보전의 장점이다.)

  • 품질개선 활동 도구: 파레토차트, 관리도, 특성요인도. (간트차트는 프로젝트 일정 관리 도구로, 분석 도구가 아니다.)

  • 정비계획 수립 시 주의사항: 증산 체제 시에도 정비계획을 무기한 연기해서는 안 되며, 생산계획을 파악하여 정비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2. 기계제도 및 측정


2.1. 기계제도

  • 정투상법: 대상물의 좌표면이 투상면에 평행하여 물체의 형상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투상법.

  • 조합에 의한 단면도: 절단면을 여러 개 설치하여 얻은 단면들을 하나의 도면에 조합하여 나타낸 단면도.

  • 아주 굵은 실선 용도: 얇은 부분의 단선 도시를 명시하는 데 사용.

  • 용접부 도시법: 설명선은 기선, 화살, 꼬리로 구성되며, 기선은 반드시 있어야 한다.

  • 스프링 도시법: 스프링 재료의 중심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굵은 1점쇄선은 틀린 설명)

  • 필렛용접 (Fillet Weld): 두 부재가 직각, 예각, 또는 둔각으로 만나는 모서리나 겹치기 이음 등에 삼각형 단면이 되도록 용접하는 것.


2.2. 측정

  • 한계 측정: 조작이 간단하고 경험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다량의 제품을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

  • 버니어캘리퍼스 주의사항: 정압장치가 없으므로 측정 시 무리한 힘을 주지 않아야 한다. (측정력에 제한이 있다.)



3. 기계요소 및 유지보수


3.1. 윤활 및 재료

  • 첨가제 분류: 산화방지제는 윤활유 보호제에 속한다. (표면보호제가 아님)

  • 냉각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 열용융형 접착제.


3.2. 체결 및 동력전달

  • 홈붙이 너트: 너트의 풀림 방지를 위해 분할핀을 꽂을 수 있게 홈이 있는 특수 너트.

  • 고속용 체인: 사일런트체인 (롤러체인보다 소음이 작고 가격이 비쌈).

  • 고속정밀 회전축 커플링 (축 지름 20mm 이상): 플랜지 커플링.

  • 기어의 치면 열화: 습동 마모, 소성항복, 용착, 표면의 피로, 이면의 간섭 등이 있으며, 과부하 절손은 열화가 아니다.

  • 백래시 필요 이유: 기어의 제작 오차 여유, 부하에 의한 기어 변형 여유, 윤활유막 형성 등을 위함.


3.3. 베어링 및 볼트

  • 베어링 열박음 가열 온도: 약 100℃ (120℃ 이상 가열 시 베어링 자체의 경도 저하가 발생).

  • 볼트의 고착 방지법: 유성 페인트를 칠하거나, 산화 연분을 기계유로 반죽한 적색 페인트를 도포하여 나사의 틈새에 부식성 물질 침투를 방지한다.

  • 밸브 플랜지 볼트 조임: 개스킷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며 조여야 한다. (시계 방향 순서 조임은 누설의 원인).


3.4. 진동 및 정비

  • 밸런싱 작업: 임펠러 진동 발생 시 시편을 붙여 진동을 교정하는 작업.



4. 유체기계 및 유공압


4.1. 펌프 및 밸브

  • 양정을 높이는 방법: 다단펌프를 사용한다. (임펠러가 직렬로 연결되어 압력이 더해짐).

  • 글로브 밸브 특징: 압력 강하가 크고 (유체 저항이 크다), 구조가 간단하다. (개폐가 빠르다는 설명은 틀리다).

  • 송풍기 풍량 부족 원인: V벨트의 장력이 너무 느슨할 때, 회전수 저하, 임펠러 이물질, 덕트 저항 증대.

  • 전동기 미기동 원인: 단선, 전기 기기류 고장, 운전조작 잘못. (전원 전압의 변동은 고르지 못한 회전의 원인이다).


4.2. 유공압 기본 원리 및 기기

  • 파스칼의 원리: 유압장치에서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낼 수 있는 원리.

  • 공기압 실린더 호칭 (KS B 6373 FA 50 B 100): 'FA'는 지지형식을 뜻한다.

  • 유닛 포위선 기호: 2개 이상의 기능을 갖는 유닛을 나타낼 때는 1점쇄선을 사용한다.

  • 솔레노이드 밸브 미작동 원인: 코일의 소손, 너무 낮은 전압, 아마추어의 고착. (실링시트의 마모는 누설의 원인이다).

  • 에어 하이드로 실린더 특징: 부하 변동 발생 시에도 작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 유압 모터 (토크효율 75~85%, 최저회전수 150rpm): 기어 모터 (정밀 서보 기구에는 부적합).

  • 램형 실린더: 작동 형식에 따라 분류했을 때 단동 실린더에 속한다.

  •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실린더 내부에 또 하나의 실린더를 내장하여 긴 스트로크를 얻을 때 사용.

  • 고압우선형 밸브 (Priority Valve): 메인 회로의 압력이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 나머지 유량을 다른 회로로 보내는 방식으로, 일부 기능을 우선적으로 작동시킬 때 사용한다.

  • 단락에 의한 무부하회로 (Unloading Circuit): 펌프 토출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압력 제어 밸브가 작동하여 펌프의 토출 유량을 탱크로 곧바로 보내 펌프를 무부하 상태로 운전하는 회로. (에너지 절약, 발열 억제 효과)

  • 증강 회로: 탠덤 실린더를 사용하여 높지 않은 압력으로 강력한 압축력을 얻는 회로.


4.3. 작동유 및 문제 현상

  • 항유화성: 유압 작동유에서 오일과 물의 분리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냄.

  • 캐비테이션 (Cavitation): 작동유 압력이 국부적으로 낮아져 용해공기가 기포로 되고, 이 기포가 급격한 압력 상승에 의해 액체 통로의 표면을 때려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

  • 공압 시스템 설계 (윤활기): 윤활기는 공기량에 대해 압력 강하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좋다.



5. 산업 안전 및 환경

  • 컨베이어 역회전 방지 장치 (기계식): 래칫식, 롤러식, 밴드식, 웜기어. (플렉시블 커플링은 역회전 방지 장치가 아니다.)

  • 폭발성 물질 취급 시: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해야 하며, 충격이나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하인리히 재해 발생 5단계 중 3단계: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 (1단계: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소, 2단계: 개인적 결함, 4단계: 사고, 5단계: 상해/재해)

  • 화재 등급 및 소화방법:

    • A급(일반화재): 냉각소화

    • B급(유류화재): 질식소화

    • C급(전기화재): 질식소화

    • D급(금속화재): 피복소화

  • 경영자의 자세 (바람직하지 않은 것): 생산성을 고려하여 재해예방활동을 탄력적으로 실시하는 것 (안전은 생산과 분리될 수 없는 최우선 가치).

  • 화학물질 취급 장소 경고 색채: 빨간색.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