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조경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조경 계획 및 설계


1.1. 색채론 및 디자인 요소

  • 색의 3속성: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 대비는 3속성이 아닙니다.

  • 색채 혼합 원리 (빛): 빛의 3원색(빨강, 초록, 파랑)을 모두 혼합하면 흰색이 되는 현상을 **가법혼색(가산혼법)**이라고 합니다.

  • 배색 기법: 벽돌 건축물의 햇빛 비추는 부분과 그늘진 부분처럼, 동일한 색상의 톤을 조절하여 배치하는 방법을 톤 온 톤(Tone on Tone) 배색이라고 합니다.

  • 선의 종류: 곡선은 자유롭고, 우아하며, 섬세하고, 여성적인 느낌을 주는 선입니다.

  • 도면의 종류: 투시도는 완성된 상태를 입체적인 그림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2차원의 평면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1.2. 조경 계획 및 역사

  • 조경 계획 과정 (기본계획): 기본계획에는 토지이용계획, 교통동선계획, 시설물 배치계획, 식재계획, 하부구조계획 등이 포함됩니다. 실시설계는 기본계획 이후의 단계입니다.

  • 서원 조경의 특징 (한국): 서원에 식재하는 수목은 관상을 목적으로 하기보다 유교적 상징이나 교훈적 의미를 갖는 수목(예: 은행나무)을 식재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 일본 정원 양식: 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바위, 왕모래, 나무만으로 조성하는 양식 중, 나무조차 사용하지 않는 가장 발달된 형태를 평정고산수양식이라고 합니다.

  • 사찰 가람 배치:

    • 쌍탑형 가람 배치: 경주 감은사

    • 1탑 3금당식: 경주 분황사

    • 1탑 1금당식: 부여 정림사

  • 중국 원림: 원명원은 옹정제가 제위 전 하사받은 별장으로, 서양에 중국식 정원을 조성하게 된 계기를 마련한 곳입니다.

  • 이집트 조경: 이집트 하(下)대의 상징식물은 파피루스입니다. (상대는 연꽃)



2. 조경 시설물 및 재료


2.1. 시설물의 종류와 특성

  • 휴게 시설물: 퍼걸러(그늘시렁), 평상, 야외탁자 등이 있습니다. **도섭지(발물놀이터)**는 수경시설물로 분류됩니다.

  • 시설물의 사용 연수 (참고):

    • 철재 퍼걸러: 약 20년 (40년은 부적합)

    • 철재 시소: 10년

    • 목재 벤치: 7년

    • 원로의 모래자갈 포장: 10년

  • 벤치 좌면 재료: 4계절 가장 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가 적고 촉감이 좋은 재료는 목재입니다.


2.2. 조경 재료의 종류 및 성질

  • 목재의 성질:

    • 장점: 재질이 부드럽고 촉감이 좋음. 무게가 가볍고 중량에 비해 압축·인장 강도가 높음.

    • 단점: 함수율(수분)의 변화에 따라 변형이 잘 됨. 부위에 따라 재질이 고르지 못함.

    • 함유 수분: 세포벽 사이의 자유수와 세포벽 안에 갇힌 결합수로 구분됩니다.

  • 목재 공극률 공식: 공극률(%) = [1 - (전건비중 / 진비중)] × 100 

  • 목재 접착: 접착 시 압착 방법에는 냉압법, 열압법 등이 있습니다. 도포법은 방부제 처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

  • 석재 (화성암): 마그마가 냉각하여 굳어진 암석으로, 화강암, 안산암, 현무암, 섬록암 등이 포함됩니다.

  • 플라스틱 (열가소성 수지): 성형 후 열이나 용제를 가하면 소성변형하고 냉각하면 고결하는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가 해당합니다.

  • 시멘트: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는 단기간에 높은 강도를 내며, 조기 강도를 요하는 긴급 공사나 겨울철 공사에 적합합니다.

  • 금속재 부식 환경: 온도가 높을수록, 습도가 높을수록 부식 속도는 빨라집니다. 자외선이 많은 도심지는 유기 도막의 열화를 일으켜 부식 속도가 증가합니다.



3. 조경 식물 및 생태


3.1. 식물 분류 및 특징

  • 식물의 형태 분류: 교목, 관목, 덩굴성 수목(만경목)은 나무 고유의 모양에 따른 분류입니다. 상록수, 낙엽수는 잎의 생태에 따른 분류입니다.

  • 가로수 적합 수종: 벚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메타세콰이어, 플라타너스 등이 적합합니다.

  • 산울타리 수종: 편백, 무궁화, 쥐똥나무 등이 적합합니다. 단풍나무는 주로 경관 장식용으로 사용됩니다.

  • 모감주나무: 낙엽활엽소교목이며, 잎은 호생하고 기수 1회 우상복엽입니다. 내염성이 강해 바닷가 식재에 적합합니다.

  • 개잎갈나무 (히말라야시다): 상록성이며, 높이 30~50m까지 자랍니다.

  • 복수초: 여러해살이풀(다년생 초본)이며, 꽃색은 황색입니다. 실생 개체는 파종 후 3년 이상 경과해야 개화합니다.

  • 붉은 열매 수종: 피라칸다, 낙상홍 등. (쥐똥나무는 흑색, 칠엽수는 황색, 매실나무는 녹색)

  • 수생 식물 (습원 식물): 갈대, 물억새, 부들, 생이가래, 고랭이, 미나리 등이 있습니다. 부처손구절초는 건조한 바위나 들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


3.2. 토양 및 생육 환경

  • 토양 공극: 토양 입자 사이의 틈(공극)의 크기는 입자가 클수록 커지므로, 사토(모래)에서 가장 큽니다. (단, 총 공극량은 점토 함량이 많을수록 큽니다.)

  • 표토 (Topsoil): 오랜 기간 자연작용으로 만들어진 중요한 자산이며, 미생물 및 뿌리가 활발히 활동하고, 우수의 배수능력이 있습니다.

  • 인공 지반 식재 최소 토심 (인공토양 사용 시):

    • 잔디, 초본류: 10cm

    • 소관목: 20cm

    • 대관목: 30cm

    • 천근성 교목: 40cm

    • 심근성 교목: 60cm


3.3. 병해충 및 방제

  • 대기 오염 피해 특징: 잎이 탈색되고, 갈변, 흑변하는 등의 특징을 보이는 대기 오염 물질은 주로 **아황산가스(SO2)**입니다.

  • 빗자루병: 대추나무에 발생하는 전신병으로,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전염되며 가지에 잔가지가 많이 생겨 빗자루 모양으로 변형됩니다.

  • 미국흰불나방: 연 2회 발생하며, 고치를 만들어 그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합니다. (성충 월동이 아님)

  • 식물병의 '코흐의 원칙': 병원균을 증명하는 4가지 원칙 중, 미생물을 분리하여 배지에서 순수 배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배양이 되지 않아야 한다는 설명은 틀립니다.)

  • 해충 방제법:

    • 기계적 방제: 경운법, 유살법(유아등, 미끼), 소살법(태워 죽이는 방법) 등.

    • 물리적 방제: 방사선 이용법, 고온/저온 처리 등.



4. 조경 시공 및 유지관리


4.1. 시공 일반 및 측량

  • 경사도 (비례식): 일반적으로 수직높이 : 수평거리를 나타냅니다. (예: 1:2는 수직 1, 수평 2를 의미합니다.)

    • 45도 경사는 1 : 1 (100%)입니다.

    • 25% 경사는 1 : 4 (수직 1, 수평 4)입니다.

  • 등고선의 성질: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절벽이나 동굴 지형을 제외하고는 교차하거나 만나지 않습니다.

  • 평판 측량의 3요소: **정준(수평 맞추기), 구심(중심 맞추기), 표정(방향 맞추기)**입니다. **수직 맞추기(수준)**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표준 시방서 기재 사항: 공사 수행에 필요한 세부 사항을 명시하며, 사용 재료의 종류 등이 포함됩니다. (공사량, 입찰 방법 등은 제외)


4.2. 적산 및 수량 산출

  • 벽돌 소요량 (1.5B 두께): 1m²당 약 224장이 소요됩니다. (할증률 무시 시)

    • 10m² 시공 시: 224장/m² × 10m² = 2,240장

  • 수목 수량 산출: 식재 면적을 한 주당 식재 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 식재 면적: 2m × 50m = 100m²

    • 한 주당 식재 면적 (W0.5 기준): 0.5m × 0.5m = 0.25m²/주

    • 총 수량: 100m² / 0.25m²/주 = 400주

  • 농약 희석액 계산 (펜니트로티온 유제 45% -> 0.05%): 필요한 물의 양(cc) = 원액량 × (원액농도 / 희석농도 – 1) × 원액비중 

  • 지주목 미설치 감하는 품셈: 수목 인력 식재 후 지주목을 세우지 않을 경우, 인력품의 **10%**를 감합니다.


4.3. 유지관리

  • 멀칭 (Mulching) 효과: 표토 유실 방지, 잡초 발생 최소화, 수분 증발 감소, 토양 입단화 촉진, 유익한 토양 미생물 생장 촉진 등. (미생물 생장을 억제한다는 설명은 틀립니다.)

  • 잔디 관리 (버티컬 모잉/슬라이싱): 칼로 토양을 베어 잔디의 포복경 및 지하경을 잘라주는 작업으로, 슬라이싱에 해당합니다. (스파이킹은 구멍을 뚫는 통기 작업)

  • 화관목 전정 시기: 진달래, 철쭉 등 꽃이 피는 나무는 개화가 끝난 직후에 전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 제초제 사용 주의 사항: 효과와 안전성 때문에 다른 농약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을 지양해야 합니다. 반드시 적용 대상에 표시된 식물에만 사용하고, 비나 눈이 올 때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