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위험물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위험물 류별 특성 및 취급 방법

위험물은 6가지 류별로 구분되며, 각 류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1류 위험물: 산화성 고체 (산소 공급원)

  • 성질: 자신은 불연성이지만, 가열·충격·마찰에 의해 산소를 방출하여 다른 물질의 연소를 돕습니다.

  • 대표 물질: 과망가니즈산칼륨 (KMnO4), 염소산나트륨 (NaClO3), 과염소산칼륨 (KClO4), 염소화아이소시아눌산.

  • 취급 및 소화:

    • 과망가니즈산칼륨은 황산과 격렬히 반응하므로 혼용을 피하고, 화재 시 물로 냉각 소화합니다.

    • 염소산나트륨은 산과 반응 시 유독성 이산화염소 (ClO2) 가스를 발생합니다.


제2류 위험물: 가연성 고체

  • 대표 물질: 황화인, 적린, 유황. 이들의 지정수량은 100kg입니다.

  • 황화인 연소 생성물: 삼황화인 (P4S3)이 연소하면 오산화인 (P2O5)과 이산화황 (SO2)이 생성됩니다.

    • 반응식 (텍스트 기반): P4S3 + 8O2 → 2P2O5 + 3SO2


제3류 위험물: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 대표 물질: 칼슘 (지정수량 50kg), 수소화나트륨 (NaH), 금속 칼륨/나트륨.

  • 금수성 물질 소화: 물과의 접촉을 엄격히 금지하며, 소화약제로 탄산수소염류 분말소화설비 (제4종 분말)나 마른모래, 팽창질석 등을 사용합니다.

  • 저장: 금속 칼륨/나트륨은 등유, 유동파라핀, 경유 등 비활성 액체 속에 저장합니다. 에틸알코올은 적당하지 않습니다.

  • 알킬알루미늄 운반: 운반용기 내용적의 90% 이하 수납, 50도C에서 5% 이상의 공간 용적 유지.


제4류 위험물: 인화성 액체

  • 특징: 물보다 비중이 작은 경우가 많아 물에 뜹니다. 증기 비중은 대부분 1보다 커서 바닥에 깔립니다.

  • 인화점: 액체의 온도가 올라가 가연성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가 점화원에 의해 불이 붙는 최저 온도입니다.

  • 주요 인화점 및 비중:

    • 경유의 인화점은 41도C 이상으로 상온 이상입니다.

    • 가솔린의 폭발범위는 **1.2% ~ 7.6%**로 가장 출제 빈도가 높습니다.

    • 메탄올과 에탄올은 비중이 1보다 작고 물에 잘 녹으나, 증기 비중 (메탄올 약 1.1, 에탄올 약 1.6)은 서로 다릅니다.


제5류 위험물: 자기반응성 물질

  • 성질: 자체 산소 공급 능력을 가지고 있어 연소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 대표 물질: 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TNT), 나이트로화합물 (지정수량 200kg).

  • 취급 및 소화:

    • 나이트로셀룰로스: 건조하면 위험하므로 물이나 알코올로 습윤시켜 저장합니다.

    • 유기과산화물: 제2류 및 제4류 위험물과 혼재 운반이 가능하며, 운반 시 "화기엄금", "충격주의"를 표기합니다.

    • 소화: 자체 산소 공급으로 인해 물분무 소화설비를 이용한 냉각 소화가 적응성이 높습니다.



2. 화재 및 소화의 원리, 설비 기준

소화 이론

  • 질식 소화: 산소 농도를 15% 이하로 낮추어 소화하는 방법입니다. 제4류 위험물(인화성 액체)의 소화에 적합합니다.

  • 착화 온도: 압력이 높을 때 착화 온도는 낮아집니다 (불이 더 잘 붙음).

  • 점화 에너지:

    • 물리적 변화: 압축열, 마찰열.

    • 화학적 에너지: 분해열, 산화열, 연소열, 중합열.

  • 화재 현상: 플래시오버(Flash Over)는 실내 전체 화염 확산 현상으로, 유류 저장 탱크 화재 현상 (보일오버, 슬롭오버, BLEVE)과는 구분됩니다.

  • D급 화재: 나트륨 화재 등 금속 화재를 말합니다.


소화 설비

  • 분말 소화약제: 가압용 가스로 주로 질소 (N2) 를 사용합니다.

    • 제1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은 탄산수소나트륨 (NaHCO3)입니다.

  • 비상 전원: 옥내 소화전 설비 등 소화 설비의 비상 전원은 45분 이상 작동해야 합니다.



3. 위험물 시설 및 안전 관리 법규

저장소 및 취급소

  • 지하 탱크 저장소:

    • 탱크 윗부분은 지면에서 0.6m 이상 아래에 있어야 합니다.

    • 탱크 전용실 벽 두께는 0.3m 이상입니다.

    • 탱크 전용실 뚜껑은 두께 0.3m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로 설치합니다.

  • 판매 취급소: 지정수량의 40배 이하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입니다.

  • 비상 조치: 주유 취급소 2층 휴게음식점 등에서 부지 밖으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유도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안전 관리

  • 자체 소방대: 지정수량이 30만 배인 경우 화학 소방차 3대가 필요하며, 포수용액을 방사하는 화학소방차는 전체 대수의 2/3 이상 (2대 이상) 을 두어야 합니다.

  • 운송 규정: 고속도로 340km 이상 또는 일반도로 200km 이상 운송 시 2명 이상의 운전자가 필요합니다.

  • 행정 처분 사유: 안전 교육을 받지 않은 것은 허가 취소 또는 사용 정지 사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4. 위험물 관련 중요 계산 공식


1) 지정수량 배수 합산

지정수량의 배수 합은 각 위험물의 저장/취급 수량을 해당 위험물의 지정수량으로 나눈 값들의 총합입니다.

  • 계산 공식:

    지정수량의 배수 합 = (취급 수량 A / 지정수량 A) + (취급 수량 B / 지정수량 B) + ...
    
  • 예시: 경유(지정수량 1,000 L) 2,000 L, 글리세린(지정수량 4,000 L) 2,000 L

    (2,000 L / 1,000 L) + (2,000 L / 4,000 L) = 2.0 + 0.5 = 2.5 배
    


2) 기체의 부피 및 밀도

  • 표준 상태 몰 부피: 기체 1몰(mol)은 22.4 L의 부피를 차지합니다.

  • 몰 수 계산:

    몰 수 = 질량 (g) / 분자량 (g/mol)
    
  • 기체 밀도 계산 (이상 기체 방정식 응용):

    밀도 (rho) = (압력 (P) x 분자량 (M)) / (기체 상수 (R) x 절대 온도 (T))
    
    • 절대 온도 (T): 273 + 온도(ºC)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