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농작업 기계 및 트랙터 운전 지식


1. 트랙터 작동 및 관리

  • 운전 중 점검: 오일 압력계, 냉각수 온도계, 회전 및 속도계 등을 살펴야 합니다. 특히 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주의해야 합니다.

  • 급정지 요령: 안전을 위해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동시에 밟아야 합니다.

  • 작업기 부착/분리: 안전을 위해 반드시 엔진(기관)을 정지한 상태에서 실시해야 합니다.

  • 견인 부하 제어: 플라우(쟁기) 작업 시 견인 부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는 견인제어 장치입니다.

  • 로터리 조정: 작업기의 좌우 흔들림(약 2.0 ~ 2.5 cm)을 조정하는 것은 체크 체인입니다.

  • 로터리 후진: 작업 중 후진 시에는 안전을 위해 반드시 로터리의 동력을 끊은 상태에서 해야 합니다.

  • 견인계수: 바퀴형 트랙터의 견인계수는 건조한 아스팔트에서 가장 큽니다.


2. 이앙기 및 수확 기계 (베일러, 콤바인)

  • 이앙기 장기 보관: 연료탱크 및 기화기의 잔존 연료는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 (명년도를 위해 그대로 두면 안 됩니다.)

  • 이앙기 기능: 바퀴가 지나간 자국을 없애고 흙 표면을 평탄하게 해주는 것은 플로트입니다.

  • 주수 조절: 이앙기에서 평당 주수(모의 개수) 조절은 주간거리 조절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선회 시: 이앙기 작업 중 선회할 때에는 독립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회전을 돕습니다.

  • 베일러: 끌어올려진 건초를 베일 체임버로 이송하는 것은 오거입니다.

  • 콤바인 시동: 시동 시 예취 및 탈곡 클러치 레버는 **끊김 위치(중립)**로 두어야 합니다.


3. 방제 및 기타 작업기

  • 압력 유지: 동력분무기에서 약액을 일정하게 분사되게 유지해 주는 것은 공기실입니다.

  • 살분무기 조정: 다공호스(파이더 더스터) 사용 시 분제 배출을 고르게 하려면 엔진의 속도를 낮춥니다.

  • 관리기 작업: 다목적 관리기의 작업 중 후진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것은 휴립피복기 작업입니다.

  • 경운기 쟁기: 동력 경운기용 쟁기는 좌우로 약 15도 정도 움직일 수 있도록 조절합니다.

  • 건조 및 함수율: 곡물은 건조용 공기의 평형함수율 이상으로는 건조할 수 없습니다.



II. 농업 전기 및 공학 기초


1. 전기 기초 이론 및 부품

  • 전류의 작용: 발열 작용, 자기 작용, 화학 작용이 3대 작용이며, 기계 작용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 전기 저항: 전선의 전기 저항은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합니다. (단면적이 증가하면 저항은 감소합니다.)

  • 도전율 순서 (높은 순): 은 -> 구리 -> 금 -> 철

  • 절연 저항: 절연물의 전기 저항은 가하는 전압과 흐르는 전류의 비를 나타내며 절연저항이라고 합니다.

  • 콘덴서: 콘덴서(축전기)는 금속박지, 운모, 파라핀 등으로 구성됩니다.

  • 반자성체: 금, 은, 동, 아연, 수은, 탄소 등이 속합니다.


2. 점화 및 충전 장치

  • 점화 코일: 일명 유도 코일이라고 불립니다.

  • 1차 회로 순서: 축전지 -> 스위치 -> 1차 코일 -> 콘덴서 -> 단속기 순으로 연결됩니다.

  • 전해액 비중: 납축전지 전해액의 비중은 온도 1도 C당 0.0007씩 변화합니다.

  • 전조등 조도 부족: 굵은 배선 사용은 조도를 높이는 요인이며, 조도 부족 원인으로는 접지 불량, 축전지 방전, 전구 열화 등이 있습니다.

  • 그로울러 시험기: 코일의 단락, 단선, 접지 시험은 가능하나, 코일의 저항은 측정할 수 없습니다.


3. 전력 및 슬립 계산

  • 전력 P (와트) 공식: P = E x I 또는 P = E² / R 또는 P = I² x R.

    • 전류 I (암페어)가 일정할 때, P는 저항 R (옴)에 비례합니다.

  • 유도전동기 슬립 s (%):

    • 동기속도 Ns = [120 ×주파수(Hz)]/극수

      • 참고: Ns는 동기속도(Synchronous speed), N은 실제 회전수(Actual speed)를 나타냅니다.

    • 슬립 s = [(Ns - N) / Ns)] x 100 % (N: 실제 회전수, rpm)

    • 예시: 60Hz, 6극, N=1,080rpm 일 때, Ns = 1,200rpm이므로, 슬립은 [(1,200 - 1,080)/ 1,200)] × 100 = 10% 입니다.



III. 안전 관리 및 유지보수


1. 안전 관리 및 통계

  • 안전 조직: 대규모 기업에 가장 적합한 조직은 직계 · 참모식 조직입니다.

  • 도수율 공식: (재해발생건수 / 연 근로시간수) x 1,000,000

  • 연소 위험성: 인화점, 발화점, 착화 온도가 낮을수록 위험성이 크고, 연소 범위가 넓을수록 위험성이 큽니다.

  • 점화원 (아닌 것): 기화열, 용해열, 흡착열은 점화원이 될 수 없습니다. (정전기, 전기 불꽃 등은 점화원입니다.)

  • 재해 직접 원인: 기계공구 결함은 불안전 상태(물적 원인)이며, 인적 불안전 행위가 아닙니다.


2. 작업 안전 수칙

  • 작업장 정리: 작업장 바닥은 미끄러질 위험이 없도록 기름을 칠한 걸레로 닦지 않습니다.

  • 보호구 착용: 보호장갑, 보안경, 방호용 앞치마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작업은 용접 작업입니다.

  • 분진 방지: 호흡기를 통해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진마스크를 착용합니다.

  • 경운기 안전: 급경사지에서 조향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고 핸들만으로 운전하며, 경사지 이동 시 도중에 변속 조작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 연삭 숫돌 안전: 회전 중 파괴 위험 방지를 위해 복개장치를 설치합니다.

  • 컨베이어 안전: 운반 속도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작해서는 안 됩니다.

  • 소음 단위: 소음의 단위는 dB (데시벨)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