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정비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농기계정비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전기 및 전자 장치 핵심 정리

농기계 정비에 있어 전기의 기초 이론과 부품별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직류 전동기, 축전지, 발전기 및 회로 계산 문제는 빠지지 않고 출제됩니다.


1.1. 전기 기초 및 전동기 특성

  • 단상 유도전동기 출력: 전압 x 전류 x 역률 x 효율 (P = V x I x 역률 x 효율)

  • 직류 직권 전동기:

    • 특성: 기동 토크가 매우 크지만, 무부하 운전 시 속도가 무한대로 상승하여 위험합니다. 따라서 무부하 운전은 불가능합니다.

    • 전기에너지의 기계에너지 변환 장치: 전동기(모터)

  • 전력과 전력량:

    • 전력의 단위는 **[W]**입니다.

    • **전력량의 단위는 [Wh] 또는 [kWh]**를 사용합니다.

  • 옴의 법칙 및 소비 전력 계산:

    • 전류 I = V/R.

    • 소비 전력 P = V² / R 또는 P = V x I. (예: 100V, 500W 전열기의 저항은 R = 100² / 500 = 20옴(Ω) 이며, 90V 사용 시 소비 전력은 P = 90² / 20 = 405W입니다.)

  • 합성 저항:

    • 직렬 회로: 전체 저항은 각 저항의 합입니다. R합 = R1 + R2 + ...

    • 병렬 회로: 전체 저항의 역수는 각 저항 역수의 합입니다. (예: 동일 저항 3개를 병렬 연결하면 1/3배가 됩니다.)


1.2. 축전지 및 발전기

  • 축전지 용량: 극판의 표면적에 비례합니다.

  • 납축전지 화학 반응:

    • 충전 시: 황산납(PbSO4) + 물(2H2O) + 황산납(PbSO4) <- 산화납(PbO2) + 황산(2H2SO4) + 납(Pb)

      • (참고: 충전 시 황산납과 물이 산화납, 황산, 납으로 변환됩니다. 방전 시에는 반대 방향 -> 입니다.)

  • 축전지 분리 순서:

    1. **접지 터미널 (-극)**을 먼저 풉니다.

    2. 절연된 케이블 (+극)을 나중에 풉니다.

  • AC 발전기 정류: 트랙터용 3상 AC 발전기의 전파정류에 사용되는 다이오드의 수는 6개입니다.


1.3. 측정 및 점검

  • 직류 전류 측정:

    • 측정 방법: 회로에 직렬 접속합니다.

    • 측정 렌지: 측정 전류의 크기에 따라 측정 렌지를 반드시 변경해야 합니다.

  • 점화 플러그 시험: 기밀시험, 불꽃시험, 절연시험이 있으며, 용량시험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2. 기관 및 차체 정비

트랙터와 경운기의 주요 동력 전달 장치, 현가 장치, 유압 제어 방식은 정비 기능사 시험의 핵심입니다.


2.1. 동력 전달 및 기관

  • 피스톤 핀 연결 방식:

    • 반부동식 (Semi-Floating): 핀을 커넥팅 로드 소단부에 볼트로 고정합니다.

  • 커넥팅 로드 대단부 베어링 간극: 간극이 너무 크면 엔진 소음이 심해집니다.

  • 압축 압력 측정: 측정값 / 규정값 x 100 (예: 33.6 / 48 x 100 = 70%)

  • 밸브 스프링 점검: 자유고 및 직각도는 규정값의 3% 이상 줄어들면 교환해야 합니다.

  • 유압 조절 밸브: 스프링 장력을 세게 하면 설정 유압은 높아집니다.

  • 디젤 기관 공기 빼기 순서: 연료 공급 펌프 -> 연료 여과기 -> 분사 펌프 (연료 탱크의 드레인 플러그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2.2. 트랙터 및 경운기 주요 장치

  • 조향 기어비: 핸들 회전 각도 / 피트먼 암 각도 (예: 360도 / 30도 = 12:1 )

  • 조향 장치 (앞바퀴):

    • 캠버 (Camber): 앞바퀴를 앞에서 볼 때 아래쪽이 안쪽으로 기울어진 각도 (조종성 및 안정성 확보).

  • 변속기:

    • 기어식 변속기 종류: 미끄럼 물림식, 상시 물림식, 동기 물림식. (토크 컨버터식은 유압식입니다.)

  • 동력 경운기:

    • 엔진 동력 전달: 클러치까지 V벨트를 사용합니다.

    • 주 클러치 유격: 1.0 - 2.0mm

    • 브레이크 형식: 주로 내부확장식 브레이크를 사용합니다.

  • 클러치 사용: 반클러치 (Half-Clutch) 사용은 클러치판 마모를 유발하므로 자제해야 합니다.

  • PTO 축: 트랙터의 동력 취출축은 주로 스플라인 축을 사용합니다.

  • 차동 잠금 장치: 습지 등 토양의 추진력이 약한 농경지에서 사용합니다.


2.3. 유압 및 작업기 제어

  • 유압 조절 레버:

    • 위치 제어 (Position Control): 작업기의 위치(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주로 로터리 작업에 사용)

    • 견인력 제어 (Draft Control): 작업기의 부하(견인력)를 감지하여 깊이를 조절합니다. (주로 쟁기 작업에 사용)

  • 쟁기 작업 조정: 경사지나 얕은 작업 시 테일 피스의 끝을 낮춥니다.

  • 수도 이앙기: 평당 주수 조절은 주간거리 (포기 사이 거리) 조절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콤바인 예취 칼날 간격: 0.1 - 0.5mm가 가장 적당합니다.



3. 농작업 안전 및 관리

안전 수칙은 작업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사고 예방과 보호구 사용에 대한 내용을 숙지해야 합니다.


3.1. 농기계 안전 운전 및 정비 수칙

  • 농기계 사용: 항상 완전한 상태의 기계를 사용합니다. (작업 전후 점검/정비 필수)

  • 경사지 운전: 경사지를 오르내릴 때 도중에 기어 변속을 절대 하지 말아야 합니다.

  • 농약 살포: 농약 살포 시 바람을 등지고 (뒤로하고) 작업하여 농약이 몸에 닿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 운반 작업 적재:

    • 규정 중량 이상은 적재하지 않습니다.

    • 무거운 것을 밑에 두고, 가벼운 것을 위에 놓아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3.2. 공구 사용 및 보호구

  • 해머 작업 안전: 해머 작업 시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장갑을 끼지 않습니다.

  • 그라인더 안전 수칙:

    • 숫돌차 교환 전 외관 점검 및 균열 검사는 필수입니다.

    • 숫돌차와 받침대 간격은 3mm 이하로 조정합니다.

    • 숫돌 교환 후 3분 이상 시운전합니다.

    • 시동 전 보안경을 반드시 착용합니다.

  • 방진 안경 착용 작업: 선반, 목공 기계, 밀링 작업 시 착용. (용접 작업은 용접 마스크/보안면 사용)

  • 보호구 관리: 보호구는 공동 사용으로 질병 감염 우려가 있는 경우 개인 전용 보호구를 지급해야 합니다.


3.3. 재해 및 보관 관리

  • 재해 원인 분류:

    • 직접 원인: 불안전 상태(물적), 불안전 행동(인적), 천재지변.

    • 간접 원인: 교육적, 기술적, 관리적 원인.

  • 사고 종류:

    • 협착 현상: 사람이 물건에 끼워지거나 말려드는 상태. (미끄러짐에 의한 넘어짐은 전도)

  • 농기계 장기 보관:

    • 사용 후 세척 및 기름칠합니다.

    • 보관 장소는 건조한 곳을 선택합니다.

    • 공기 타이어 공기압은 평소보다 높게 (규정 압력보다 높게) 한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