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자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작물 생식 및 분류
1. 화기의 구조
암술의 구성: 암술머리(주두), 암술대(화주), 씨방(자방)
수술의 구성: 꽃밥(약), 꽃실(화사)
2. 과수 및 작물 분류
핵과류 (核果類): 복숭아, 자두, 살구, 앵두 (중과피 발달)
인과류 (仁果類): 사과, 배, 비파 (꽃받침 발달)
식용 부위:
덩이뿌리 (괴근): 고구마, 마, 달리아
덩이줄기 (괴경): 감자
버팀뿌리 (기근): 옥수수
수정 방식:
자가수정 작물: 토마토, 가지, 완두, 벼, 밀 (자기 꽃가루받이)
타가수정 작물: 옥수수, 무, 양배추, 시금치 (다른 개체의 꽃가루받이)
이용 부위:
열매 채소 (이용 부위가 열매): 오이, 호박, 토마토, 가지, 수박
종자 채소 (이용 부위가 종자): 동부, 콩, 완두
II. 종자 생리 및 휴면
1. 발아 관련 개념
발아 (종자 검사상): 정상 생육이 가능한 묘가 출현하는 것
발아시 (發芽始): 발아한 것이 처음 나타난 날
발아기 (發芽期): 전체 종자의 50%가 발아한 날
후숙 (後熟): 종자가 모주로부터 떨어진 후 휴면 상태로 차츰 분화하며 완전한 종자로 성숙하는 현상
2. 종자 퇴화 및 수명
종자 퇴화 원인: 저장 양분의 고갈, 유해 물질의 축적 (호흡 저하로 인한 노화 물질), 효소의 분해와 불합성
종자 수명:
장명종자 (오래 보관 가능): 오이, 수박, 박, 무, 가지, 토마토, 잠두
단명종자 (짧게 보관 가능): 파, 당근, 양파, 벼, 보리
3. 종자 휴면
자발 휴면 (1차 휴면): 종자 자체의 내부적 구조나 성상이 원인 (경실, 종피의 산소 흡수 저해, 배의 미숙, 억제 물질 존재)
타발 휴면 (2차 휴면): 온도, 수분, 산소 등 환경 조건의 부적당으로 유도되는 휴면
발아에 관여하는 외적 요인: 수분, 산소, 온도
III. 육종 및 채종 체계
1. 교배 및 육종 방법
여교배 (戾交配, Backcross): (A x B) x A
특징: 원하는 형질을 한 두 가지만 도입하고자 할 때 사용하며, 만족할 만한 반복친이 있어야 성공적이다.
잡종강세 발현도 (F1): 단교잡종 > 복교잡종 > 3계교잡종 > 합성품종
옥수수에서 잡종강세가 가장 큰 것은 단교잡종이다.
1개체 1계통법 단점: 유전력이 낮은 형질이나 다수 인자가 관여하는 형질의 개체 선발에 비효과적이다.
2. 웅성불임성 및 채종
웅성불임성 (雄性不稔性): 화분을 형성하지 못하거나 제대로 발육하지 못하여 수정 능력이 없는 상태. (암술 기능은 정상)
세포질적 웅성불임성 이용 채종 단점: 채종 체계가 복잡하고, 내냉성이 떨어지며, 종자 채종량이 적다.
제웅 불필요 작물 (자연 교잡 이용): 배추, 양배추, 양파, 고추 (충매), 시금치 (풍매).
채종 단계 (순서): 기본식물 → 원원종 → 원종 → 보급종 (마지막 채종 단계).
원종포: 원원종 종자를 재배하는 포장.
IV. 재배 기술 및 환경 요인
1. 생육 환경 및 생리
화아 유도 요인: 온도, 일장, 식물 호르몬, 식물의 영양 상태 (C/N율 등).
화아 분화 (배추): 저온 (0~10ºC)이 필수적이다.
춘파성/추파성 (파성): 추파성 종자는 저온/단일 후 일정한 장일 조건을 거쳐야 이삭이 핀다.
발근 촉진 호르몬: 옥신 (Auxin).
바람의 영향: 풍속 3~4m/s의 연한 바람은 증산 및 양분 흡수를 촉진하고 광 투과를 원활하게 한다. (생육 건실)
수발아 (穗發芽): 맥류 성숙기에 저온 다습 상태가 지속될 때 이삭에 달린 채 발아하는 현상.
2. 농작업 및 관리
볍씨 뿌리기 순서: 씨가리기 → 종자 소독 → 씨 담그기 (침종) → 싹 틔우기 (최아)
볍씨를 소금물에 담그는 목적: 충실한 종자를 고르기 위해서 (비중에 의한 선별).
연작 장애가 적은 작물: 벼, 고구마, 맥류, 수수, 옥수수, 양파.
연작 장애가 심한 작물 (휴작 필요): 수박, 인삼, 아마, 가지, 고추, 토마토.
생력 기계화 재배 전제 조건: 농경지 정리, 집단 재배, 제초제 이용 (이식 재배는 해당 없음).
멀칭 재배 효과: 지온 상승, 잡초 발생 감소, 수분 증발 억제 (촉진이 아님), 토양 유실 방지.
3. 병해충 방제
이화명나방 방제: 살충제 사용.
방제 방법 분류:
물리적 방제: 둑 태우기, 포살, 등화 유살, 온도/습도 조절
화학적 방제: 농약 살포
농약 취급: 농약 살포기는 사용 전후 반드시 깨끗이 씻고, 바람을 등지고 살포해야 한다.
V. 중요 공식 및 계산 (텍스트 기반)
1. 시비량 계산 (요소 비료 기준)
필요 성분량을 얻기 위해 실제 시비해야 할 비료의 양 (X)을 계산합니다.
공식: X (kg) * 비료의 성분량 (%) = 필요 성분량 (kg)
예시 (질소 10kg, 요소 46%):
X * 46/100 = 10kg
X = 10 / 0.46 = 약 21.7kg
2. 재식 주수 계산
단위 면적당 포기수는 재식 간격의 역수를 취하여 계산합니다.
공식: 1 제곱미터당 포기수 = 1 m2 / (세로 간격 (m) x 가로 간격 (m))
예시 (24cm x 20cm 간격):
1 제곱미터당 포기수 = 1 m² / (0.24 m x 0.20 m)
계산 결과: 1 / 0.048 = 약 20.83포기 (반올림하여 20포기)
3. 발아율 및 발아세
발아율 (發芽率):
(발아한 총 종자 수 / 파종된 총 종자 수) x 100
발아세 (發芽勢):
(한정된 시일 내 발아립수 / 파종된 총 종자 수) x 100
참고: 발아세는 정해진 시일 내의 발아율을 의미하며, 종자의 활력을 나타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