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7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전처리, 세정 및 연마 작업의 핵심


A. 세정 및 탈지 작업

세정 작업은 도장 공정의 기초이며, 도료의 밀착력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 세정 시점과 원칙: 세정은 연마 작업 전후, 전처리 공정 시작 전후에 필수적으로 실시합니다. 탈지제를 사용할 때는 탈지제가 마르기 전에 깨끗한 마른 타월로 닦아내어 유분 및 왁스 성분을 제거해야 합니다.

  • 세정제 사용: 타르 및 광택용 왁스는 전용 세정제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하며, 강용제 사용은 부적합합니다.

  • 마스킹의 목적: 도장 부위 이외에 도료나 도료 분말의 부착을 방지하고 오염을 방지합니다. 도료의 부착성을 좋게 하는 것은 연마와 탈지의 역할입니다.


B. 연마 (샌딩) 작업

도막을 제거하고 표면의 조도를 형성하여 후속 도막과의 부착성을 향상시킵니다.

  • 구도막 제거 각도: 샌더와 도막 표면의 유지 각도는 일반적으로 **15°~20°**입니다.

  • 연마 순서: 연마 작업은 거친 연마지에서 시작하여 점차 고운 연마지로 전환하며 마무리합니다. (예: P320 → P400 → P800 → P1200)

  • 표면 조정 목적: 피도면의 오염물질 제거 및 조도를 형성시켜 후속 도장 도막의 부착성 향상이 주 목적입니다.

  • 샌더 종류별 특징:

    • 오비탈 샌더 (Orbital Sander): 타원형의 궤도 운동을 하며, 사각 패드를 사용하고 면적이 넓은 경우와 굴곡을 제거하는 데 적합합니다.

    • 싱글 액션 샌더: 연마면 쪽으로 힘을 주면 회전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 블렌딩 전 최종 연마: 베이스 코트 숨김 (블렌딩) 도장 전 최종 연마지는 P1200 정도가 적합합니다.



2. 도료의 종류 및 특성


A. 도료 구성 요소 및 용제

  • 전착 도료: 신차용 하도 도료로 에폭시 수지를 원료로 하며 방청 및 부착성 향상을 위해 사용됩니다.

  • 도막 경도: 도막이 가장 단단한 구조를 갖는 건조 방식은 열 중합 건조 방식입니다.

  • 용제의 역할: 수지를 용해시켜 유동성을 부여하고 도료의 점도를 조절합니다. 도료의 특정 기능 (예: 내후성,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은 첨가제입니다.

  • 용제 영향: 도료가 완전 건조된 후에도 용제의 영향을 받아 재용해되는 것은 NC 래커입니다.

  • 가사시간 (Pot Life): 2액형 도료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 후 정상적인 도장에 사용 가능한 시간을 말합니다.


B. 프라이머-서페이서의 특성

  • 워시 프라이머: 건조 도막이 내후성 및 내수성이 약하므로 도장 후 8시간 이내에 후속 도장을 해야 합니다.

  • 건조 방식: 프라이머-서페이서는 자연건조강제건조 두 가지 모두 가능합니다.

  • 래커계 프라이머-서페이서 (1액형): 건조가 빠르고 연마 작업성이 좋으나, 우레탄계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내수성과 실 (Seal) 효과는 떨어집니다.

  • 우레탄계 프라이머-서페이서 (2액형): 내수성이나 실 (Seal) 효과는 래커계보다 우수하며, 1회 분무로 양호한 도막 두께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마스킹, 조색 및 상도 작업


A. 조색 (색상 맞추기)

  • 메탈릭 입자: 혼합 시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여 색상의 미려함을 더합니다.

  • 보색 혼합: 보색 관계에 있는 색을 혼합하면 무채색으로 변화합니다.

  • 건조에 의한 색상 변화:

    • 메탈릭 색상: 건조 후 밝아지므로 투명 건조 후 색상을 비교해야 합니다.

    • 솔리드 색상: 건조 후 어두워집니다.

  • 펄 조색 시편: 펄 색상 조색용 시편으로는 철 시편이 가장 적합합니다.


B. 상도 도장

  • 상도 작업의 목적: 자동차 도장에서 색상과 광택을 부여하여 외관을 향상시켜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합니다.

  • 강제 건조 온도: 자동차 보수도장의 상도 도료 도장 후 강제 건조 온도 범위는 60~80°C가 적절합니다.

  • 도장 주의사항: 초벌 도장은 크레터링 등 결함을 줄이기 위해 가급적 얇게 날림 (Dry) 도장을 해야 합니다. 도료 컵의 숨구멍은 위쪽으로 향해야 합니다.

  • 희석제 분류: 동절형 희석제는 10℃ 이하의 환경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4. 블렌딩 도장 및 플라스틱 도장


A. 블렌딩 (숨김) 도장

  • 정의: 부분 도장하여 분무된 색상과 원 색상의 차이 (이색)가 육안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최소화하는 작업을 **숨김 도장 (블렌딩 코트)**이라 합니다.

  • 블렌딩 마스킹: 블렌딩 도장 시 상도작업을 할 때 터널 마스킹을 주로 사용합니다.

  • 결함 발생: 도막의 결함인 메탈릭 얼룩 현상상도 공정 (베이스 코트 도장 시)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얇은 도막 형성 방법: 블렌딩 전용 시너 사용, 패턴을 넓게, 도장 거리를 멀게 해야 도막이 얇게 형성됩니다. 도료의 분출량을 많게 하는 것은 도막을 두껍게 하여 층을 만들 수 있습니다.


B. 플라스틱 부품 도장

  • 도료 요구 조건: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상 100℃가 넘어가면 유동성이 생기므로 저온 경화형 도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 상도 도장의 목적: 색상 부여, 내광성 부여, 소재 보호입니다. 부착성 부여는 하도 (프라이머)의 역할입니다.

  • 색상 차이 원인: 자동차 부품이 서로 다른 도장 라인에서 도장되는 경우 색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장비, 안전 및 도막 결함


A. 장비 및 안전

  • HVLP건: 많은 양의 공기를 저압으로 분무하여 도료의 **높은 흡착율 (평균 65% 이상)**을 갖는 환경 친화적인 스프레이건입니다.

  • 안전 밸브: 공기 압축기의 안전장치 중 배관 중간에 설치되어 규정 이상의 압축에 달하면 작동하여 배출시키는 장치입니다.

  • 인화성: 일반적으로 신너가 알코올, 경유, 솔벤트보다 인화성이 가장 큽니다.

  • 방독 마스크 관리: 사용 후 분진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보관해야 합니다.


B. 도막 결함 및 광택

  • 백화현상 (블러싱): 고온다습한 환경, 속건성 시너 사용, 스프레이 공기압이 높을 경우 발생합니다.

  • 초킹 (Chalking): 클리어층이 분해되어 날아가고 광택이 손실되며 도막이 분말화되는 결함입니다.

  • 크랙 현상 (Cracking): 보수 도장 후 클리어 층에 균열이 생기고 갈라져 있는 현상입니다.

  • 광택 작업용 버프: 타월 버프, 양모 버프, 스펀지 버프 등이 사용되며, 샌딩 버프는 없습니다.

  • 전기 광택기 관리: 작업 후 보관 시 특별히 신경 쓸 필요 없이 찾기 쉬운 곳에 두는 것은 틀린 설명이며, 정기적인 점검 및 주의 깊은 보관이 필요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