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8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컨테이너 크레인 및 터미널 기본 용어
컨테이너 크레인 및 터미널 운영에 필요한 기본 용어와 정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크레인 구성 및 용어
감속기 (Reducer): 치차(기어)를 이용하여 속도를 변환시키는 장치입니다.
스팬 (Span): 바다 측 레일 중심에서 육지 측 레일 중심까지의 수평 거리를 의미합니다.
스프레더 (Spreader): 컨테이너를 집어서 이동하는 핵심 구조물로, 컨테이너크레인이 BTC(Bridge Type Crane)나 언로더(Unloader)와 구별되는 장치입니다.
버퍼 (Buffer): 컨테이너크레인이 주행 중 충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완화시켜주는 장치입니다.
열(Row)과 아웃리치: 컨테이너크레인이 작업할 수 있는 최대 컨테이너 열과 아웃리치 기준으로 **16열에 45[m]**가 대표적인 규격입니다.
TEU (Twenty-foot Equivalent Units): 20피트 컨테이너 1개 단위를 의미하며, 5,000[TEU]는 20피트 컨테이너 5,000개 또는 40피트 컨테이너 2,500개를 처리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터미널 운영 및 작업 방식
마샬링 야드 (Marshaling Yard): 선적할 컨테이너를 목적지별 또는 선내 적치 계획에 따라 미리 정렬해 두는 넓은 공간입니다.
컨트롤 센터 (Control Center):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본선 및 장치장 작업 흐름을 조정, 통제, 운영하는 업무를 총괄 수행하는 곳입니다.
플래너 (Planner): 컨테이너 화물의 양화(하역) 작업 전반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LO/LO 방식: 육상의 크레인(컨테이너크레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적재(Lift On) 및 양하(Lift Off)하는 작업 방식입니다.
적재방식: 야드 바닥에 컨테이너를 여러 단으로 쌓아 보관하고 장치하는 방식입니다.
2. 크레인 구조 및 주요 장치
크레인의 안정성과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기계 장치들입니다.
안전 및 고정 장치
타이 다운 (Tie Down): 태풍 및 강풍 시 컨테이너크레인이 수직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전도방지장치)
앵커 (Anchor): 작업 종료 또는 장시간 대기 중일 때 기상이변으로 인한 크레인 폭주를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구름방지장치, 폭주방지장치)
레일 클램프 (Rail Clamp): 폭주 방지장치에 해당하며, 크레인 제동 시 레일을 잡아 고정합니다. 유압에 의해 해제되고 스프링의 힘으로 작동(제동)됩니다.
붐 래치 (Boom Latch): 붐을 올린 후 붐 와이어로프에 긴장을 주지 않고 보호하기 위해 붐을 걸어두는 장치이며, 아펙스 빔 위에 설치됩니다.
동작: 자체중량으로 내려오고, 유압에 의하여 올라갑니다.
주행 충돌방지 센서: 옆에 있는 다른 컨테이너크레인과의 근접 이동을 감지하여 충돌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입니다.
와이어로프
보통꼬임 와이어로프: 로프 자체의 변형이 작으며, 킹크(Kink)가 잘 발생하지 않아 취급이 용이합니다. 외부 소선의 마모가 큰 편입니다.
안전계수: 선박안전법에서 규정하는 와이어로프의 최소 안전계수는 5입니다.
3. 전기 및 유압 제어 시스템
크레인의 동력과 동작을 제어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전기 제어 및 동력
주동력 케이블 릴: 크레인 주행 동작을 따라 움직이며 고압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인크리멘탈 엔코더 펄스 수: 펄스 수의 차이는 분해능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분해능은 엔코더 축이 1회전할 때 나오는 펄스의 수입니다.
트렌딩 (Trending): 크레인의 실시간 속도 및 전류 변화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기능입니다.
인터록 (Inter Lock) 회로: 2개의 입력 중 먼저 동작한 쪽이 우선이고 다른 쪽의 동작을 금지하여 시스템 안전을 확보하는 회로입니다.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전류와 관련된 법칙으로, 전류가 흐르는 길에서 들어오는 전류의 합과 나가는 전류의 합이 같다는 내용입니다. (제2법칙은 전압 관련)
직류전동기 주요 구성요소: 전기자, 계자, 정류자, 브러시 등이 있으며, 토크는 구성요소가 아닌 작동 결과입니다.
유압 장치 및 밸브
유압 모터: 유체 에너지를 연속적인 회전운동(기계적 일)으로 바꾸어 주는 기기입니다.
틸팅 디바이스 밸브: 스프레더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밸브는 방향제어밸브입니다 (솔레노이드 밸브).
압력제어밸브가 아닌 것: 체크밸브는 방향제어밸브에 속합니다. (압력제어밸브의 예: 릴리프밸브, 리듀싱밸브, 시퀀스밸브)
카운터밸런스밸브 (Counter Balance Valve): 유압 실린더 등이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압을 유지하는 압력제어밸브입니다.
축압기 (Accumulator): 유압 에너지를 저장하고, 충격 압력을 흡수하며, 유압 펌프의 맥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합니다.
캐비테이션 (Cavitation): 유압 장치 내부에 국부적으로 높은 압력이 발생하여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유압유 과열 영향: 오일의 점도가 저하되어 누유되기 쉬우며, 열화를 촉진하고, 유압 펌프의 효율이 저하됩니다.
4. 안전 및 운전 규칙
안전한 작업 환경을 위한 필수적인 규칙과 조작법입니다.
운전 및 안전 기준
하역 작업 가능 풍속 한계: 최대 **16[m/sec]**입니다. (계류 시 최대 풍속은 70[m/sec]입니다.)
정격하중: 정격하중 이상의 작업을 하는 것은 절대로 금지됩니다. (성능검사는 125[%]까지 점검하지만, 운전은 정격하중 이내에서만 해야 합니다.)
마스터 컨트롤러 (우측): 우측 컨트롤러를 앞으로 밀면 호이스트 하강, 뒤로 당기면 호이스트 상승이 됩니다.
일상점검: 컨테이너크레인 가동 전 일상점검에는 크레인 주변 확인, 윤활 상태 점검, 각종 스위치 확인, 와이어로프 점검, 시운전 등이 포함됩니다. 갠트리 레일 손상 여부 확인은 일일 점검보다 주기적인 점검 항목에 가깝습니다.
사고 및 응급 조치
하역 작업 중 인명사고 발생 시 조치: 부상자의 위급 상태를 알아보는 조치로는 숨, 기도, 심박 및 출혈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안전장구 착용상태 확인은 응급처치와 거리가 멉니다.
사고로 인한 손실: 작업 지연, 수리 비용 증가, 행정적인 업무 증가 등이 있으며, 보험 비용은 증가하게 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