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비보전기능사 필기시험 8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설비보전 개론 및 활동
설비보전은 단순한 수리를 넘어 생산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업 체질 개선 활동입니다. 특히, TPM(종합생산보전)의 핵심 목표인 '고장 제로'와 '불량 제로' 달성을 위해 다양한 보전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보전의 종류 및 목표
보전예방 (Maintenance Prevention, MP): 신설비 설계 시 고장이 없고 보전이 필요 없는 설비를 목표로 설계, 제작, 구입하는 활동입니다. 특정 운전 조건 유지를 위한 계획 보전 활동이 아닙니다.
상태기준보전 (Condition Based Maintenance, CBM): 설비의 잠재적인 열화 현상에 대한 정확한 상태를 예측하기 위해 직접 설비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일상보전 (Daily Maintenance): 설비의 고장을 방지하고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매일 또는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활동입니다. 급유, 청소, 조정, 부품 교체 등이 포함됩니다.
자주보전 (Autonomous Maintenance): 운전자(생산작업자) 스스로 자신의 설비에 대한 기본적인 보전 활동(점검, 청소, 주유 등)을 전개하는 활동입니다. 전원 참가가 기본 사고입니다.
종합생산보전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TPM): 최고 책임자부터 현장 작업자까지 모두가 보전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설비 효율 극대화를 추구하고 모든 손실/낭비를 극소화하는 활동입니다.
설비관리 시스템 및 로스
설비관리 시스템 구성 요소:
투입: 원료
처리 기구: 설비, 기계장치
관리: 운전 조작, 운전 조건 (운전 조작은 '관리'에 해당)
산출: 제품
피드백: 제품 특성의 측정치
설비의 라이프 사이클: 조사/연구 -> 설계 -> 제작/설치 -> 운전/보전 -> 폐기 순으로 진행됩니다.
설비의 6대 로스 중 고장 로스: 돌발적 또는 만성적으로 발생하는 고장으로 인해 생산이 중단되거나 속도가 저하되어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2. 기계 요소 및 정비 실무
급유 및 베어링
가장 이상적인 급유법: 강제순환급유법입니다. 고압, 고속의 베어링에 윤활유를 펌프로 강제적으로 순환 공급하여 윤활 및 냉각 효과를 높입니다.
깊은 홈 볼 베어링 조립:
내륜과 축: 단단한 끼워맞춤(억지 끼워맞춤)을 사용합니다.
외륜과 하우징: 헐거운 끼워맞춤을 사용합니다.
열박음 작업: 베어링 가열 온도는 보통 100°C 정도로 합니다.
가열 끼움 작업 공구: 풀러, 수평 프레스, 체인블록, 서모미터(온도계) 등이 사용됩니다. 유압잭은 일반적으로 가열 끼움 작업보다는 분해 및 인발에 주로 사용됩니다.
동력 전달 및 펌프/송풍기
나사의 이동 거리: 리드(Lead) x 회전수 입니다. 두 줄 나사인 경우, 1 리드는 피치의 2배입니다.
(예) 피치 2mm인 두 줄 나사를 2회전 시키면 이동거리는 2 x 2 x 2 = 8mm 입니다.
동력 전달용 체인: 저속회전에서 고속회전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체인은 롤러 체인입니다.
원심펌프의 추력 저감 대책: 임펠러에 **밸런스 홀(평형 구멍)**을 뚫어 축 스러스트를 저감시킵니다.
송풍기 축 온도 신장 대책: 전동기 측 베어링(고정측)은 고정하고, 반전동기 측(자유측)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설치합니다.
송풍기 축 센터링: 양쪽 지지형 송풍기 축의 좌/우 구배 차이는 0.05 mm 이하가 되도록 조정합니다.
임펠러 진동 교정: 임펠러에 시편을 붙여 진동을 교정하는 작업은 밸런싱 작업입니다.
송풍기 축 센터링 검사 공구: 다이얼게이지, 틈새게이지, 테이퍼게이지를 사용하며, 센터게이지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3. 기계 제도 및 측정
기계 제도 (KS B 0001)
선 종류와 용도:
가는 1점쇄선: 중심선, 피치선, 기준선 등.
굵은 1점쇄선: 특수 지정선 (열처리 등 특별한 요구 사항 지정).
가상선: 도형에 나타나지 않으나 편의상 필요한 모양을 표시합니다.
기어 도시 방법:
이뿌리원: 가는 실선
피치원: 가는 1점쇄선
이끝원: 굵은 실선
잇줄의 방향: 보통 3개의 가는 실선으로 표시합니다.
ISO 관용 나사 표시 기호:
R: 관용 테이퍼 수나사 (파이프 나사)
G: 관용 평행나사
M: 미터보통나사
측정 및 재료
정밀 측정 기구:
마이크로미터: 나사의 회전각과 심블(Thimble)의 직경 눈금으로 길이를 확대하여 측정하는 기구입니다.
버니어캘리퍼스: 마이크로미터보다 정밀도가 낮습니다.
한계 측정 방법: 블록 게이지, 한계 게이지를 사용하여 다량의 제품에 대해 양호/불량 판정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측정기로 측정하는 데 숙련과 경험이 필요한 것은 직접 측정 방법의 단점입니다.
접착제: 유화액형 접착제는 용매 또는 분산매의 증발에 의하여 경화되는 접착제입니다.
4. 유압 및 공압 일반
유압 작동유 및 장치
유압 작동유의 구비 조건: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방열성이 좋을 것
적절한 점도가 유지될 것
비압축성일 것 (압축성이 좋을 것은 틀린 설명)
작동유 점도가 높을 때 현상: 장치의 관내 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이 크다 (압력 저하가 아닙니다), 동력 손실이 커진다, 열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응답성이 저하됩니다.
유압 회로: 어큐뮬레이터 회로는 유압 회로에 발생하는 서지(Surge) 압력을 흡수할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유압 실린더: 탠덤 실린더는 내부적으로 두 개의 피스톤이 연결되어 있어 단계적인 출력 제어가 가능합니다.
공동현상(Cavitation) 발생 원인: 펌프를 규정 속도 이상으로 고속 회전, 흡입 필터 막힘, 유온 상승, 과부하, 패킹부의 공기 흡입.
교축: 관로의 면적을 줄인 길이가 단면 치수에 비하여 비교적 긴 경우의 교축은 초크입니다.
공압 장치 및 밸브
실린더 지지 방식: 로드 중심선에 직각으로 실린더의 양측으로 뻗은 원통상의 피봇으로 지탱하는 설치 형식은 트러니언형입니다.
공압 모터 사용 주의사항: 윤활기는 저속회전 시에도 생략하지 않고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빙결 방지를 위해 고속회전이나 저온에서는 에어 드라이어를 사용합니다.
공압 도면 기호 (ISO):
파선: 파일럿 조작 관로, 드레인 관, 필터, 밸브의 과도 위치에 사용됩니다.
실선: 주관로, 파일럿 밸브 공급 관로.
방향제어밸브 연결구 (ISO 기준):
공급라인: 1 <-> P
작업라인: 2, 4, 6 <-> A, B, C
배기구: 3, 5, 7 <-> R, S, T
누출라인: L 포트를 사용하며 숫자 포트는 없습니다.
5. 안전 관리 및 기타
산업 안전
매슬로(Maslow)의 욕구 5단계: 1단계(생리적 욕구) -> 2단계(안전의 욕구) -> 3단계(사회적 욕구) -> 4단계(존경의 욕구) -> 5단계(자아실현의 욕구) 순서입니다.
폭발 한계: 인화성 기체에 불활성 기체를 첨가하면 폭발 한계는 좁아집니다. 온도 상승, 압력 증가, 산소 농도 증가는 폭발 한계를 넓힙니다.
안전 조명: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통로의 조명은 75 럭스 이상입니다.
와이어로프 사용 금지 기준: 와이어로프의 지름 감소가 공칭 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은 사용이 금지됩니다.
상해 vs 사고:
상해: 골절, 동상, 타박상 등 사람이 다친 종류.
사고: 추락, 낙하, 협착 등 상해를 발생시킨 사건의 종류.
누전 발화: 함석판 이음부, 고압선이 접촉한 목재, 금속관 또는 파이프의 접속부 등에서 발화하기 쉽습니다. 사기 재질인 애자 사용 전선은 누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