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8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기관(엔진) 일반 및 구조의 핵심 이론
1.1 배출가스 제어 장치 (EGR 및 증발가스)
EGR (Exhaust Gas Recirculation) 시스템
역할: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 다기관으로 재순환시킵니다.
목적: 연소실 내 온도를 낮추어 고온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 (NOx) 의 배출을 감소시킵니다.
원리: 배기가스 재순환은 혼합가스의 충진율을 낮추고 연소 온도를 낮춥니다.
증발가스 포집 장치 (EVAP 시스템과의 구별)
증발가스를 포집하였다가 연소시키는 장치는 캐니스터를 이용하는 EVAP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시스템의 역할입니다.
1.2 엔진 성능 및 계산 공식
피스톤 평균 속도
피스톤 평균 속도 (Vp) 공식:
Vp = (행정 길이(L) x 크랭크축 회전수(N)) / 30 (m/s)
예시 계산: 행정 길이 0.25m, 평균 속도 5m/s 일 때, N = (5 x 30) / 0.25 = 600 rpm
압축비와 연소실 체적
압축비 = (연소실 체적(Vc) + 행정 체적(Vh)) / 연소실 체적(Vc)
행정 체적 (Vh) = (파이 x 실린더 내경^2 / 4) x 행정 길이 (cm3)
예시 계산: 내경 10cm, 행정 13cm 일 때, Vh 약 1,020.5 cc. 압축비 21 적용 시 연소실 체적(Vc)은 약 51 cc 입니다.
지시 마력 (PS)
4행정 기관의 폭발 횟수는 엔진 회전수(rpm) / 2 입니다.
지시마력 (PS) = (평균유효압력 x 행정체적 x 폭발 횟수 x 기통 수) / (75 x 60 x 100)
예시 계산: 7.5 kgf/cm2, 200cc, 2400 rpm, 4기통 적용 시 16 PS가 됩니다.
1.3 흡기/배기 및 냉각 장치
서지 탱크 (Surge Tank)
주요 역할: 실린더 상호 간의 흡입 공기 간섭 방지, 충진 효율 증대, 균일한 공기 공급.
주의: 배기가스 흐름 제어와는 관련 없습니다.
압력식 라디에이터 캡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해 냉각수 자체의 비등점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라디에이터 소형화가 가능해집니다.
블로 다운 (Blow Down) 현상
배기 행정 초기에 배기 밸브가 열려 배기가스 자체의 압력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현상입니다.
1.4 윤활, 노킹, 착화
피스톤 종류: 슬리퍼 피스톤
측압을 받지 않는 스커트 부분의 일부를 떼어내 경량화했으며, 피스톤 슬랩을 줄여 고속 기관에 사용됩니다.
윤활 장치의 릴리프 밸브
오일 회로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유압을 조절합니다.
가솔린 노킹 방지책
압축비를 낮게 한다.
냉각수 온도를 낮게 한다.
화염 전파 거리를 짧게 한다.
착화 지연 시간을 길게 한다. (짧게 하면 안됨)
착화점 (Ignition Point)
외부 불꽃 없이, 연료에 열을 가하여 스스로 발화하여 연소되는 최저 온도를 말합니다.
2. 전자 제어 및 전기 장치 핵심 이론
2.1 엔진 제어 센서
MAP 센서 (Manifold Absolute Pressure Sensor) 점검 조건
엔진 부하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조건 (정상 웜업 온도, 각종 램프 및 전장 부하 OFF, 변속기 N 또는 P, 파워 스티어링 중립 상태)에서 점검해야 합니다.
틀린 조건: 각종 램프, 전기 냉각 팬, 부장품 모두 ON 상태 유지 (부하를 최소화해야 함)
흡입 공기량 측정 방식
카르만 와류식: 출력 신호가 전기 펄스(디지털) 형태인 직접 계측 방식입니다.
산소 센서 (Oxygen Sensor)
대기와 배기가스 중의 산소 농도 차이를 검출하여 피드백 제어를 통해 연료 분사 보정 신호로 사용됩니다.
2.2 전기 장치 회로 및 이론
교류 발전기 (Alternator)
정류: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부품은 실리콘 다이오드입니다.
출력 조정: 로터에 공급하는 계자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일정한 출력을 발생시킵니다.
축전지 (Battery) 화학식
충/방전 화학식: PbO2 + 2 H2SO4 + Pb <-> 2 PbSO4 + 2 H2O
(H2SO4 (황산)가 정답)
퓨즈 (Fuse)
역할: 과대 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차단하여 전기 장치를 보호합니다.
컨덴서 (축전기) 관련 식
전기량 (Q), 전압 (E), 정전 용량 (C)의 관계:
Q = C x E 또는 C = Q / E 또는 E = Q / C
병렬 합성 저항
예열 플러그 4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의 합성 저항 RT 공식:
1 / RT = 1 / R1 + 1 / R2 + 1 / R3 + 1 / R4
예시 계산: 0.8 Ohm(Ω) 저항 4개 병렬 연결 시 0.2 Ohm(Ω) 입니다.
플레밍의 법칙
왼손 법칙: 전동기 (모터) 의 원리에 이용됩니다.
오른손 법칙: 발전기 (다이나모)의 원리에 이용됩니다.
2.3 제어 시스템 및 기타 장치
인젝터 분사량 제어
솔레노이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통전 시간 (Pulse Width) 을 제어하여 연료 분사량을 조절합니다.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도난 방지 시스템으로, 도난 상황에서 키는 회전 가능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ECU가 제어합니다.
AC (에어컨) 장치 순환 과정
압축기 -> 응축기 -> 건조기 -> 팽창 밸브 -> 증발기 순으로 순환합니다.
전자 제어 현가 장치 (ECS) 입력 센서
차속 센서, 조향 휠 각속도 센서, 차고 센서, G 센서 (중력 센서) 등이 사용됩니다.
임팩트 센서는 에어백 시스템 부품입니다.
3. 섀시 (동력 전달 및 제동/조향) 핵심 이론
3.1 변속기 및 동력 전달
토크 컨버터의 록업 클러치 (댐퍼 클러치)
미작동 조건: 토크 변환이 필요한 발진 시 및 후진 시에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동기 물림 기구 (싱크로 메시)
변속하려는 기어와 메인 스플라인 (주축)의 회전 속도를 마찰력을 이용해 일치시켜 원활한 변속을 돕습니다.
클러치 미끄러짐의 원인
압력 스프링의 장력 약화, 페이싱 마모, 이물질 및 오일 부착, 클러치 유격이 작은 경우 등입니다.
3.2 제동 장치 (브레이크)
베이퍼 로크 (Vapor Lock)
브레이크액이 고열로 인해 증발하여 유압 전달이 안 되어 제동력을 상실하는 현상입니다.
유압 계산
유압 (P) = 힘(kgf) / 단면적(cm2)
예시 계산: 150 kgf / 3 cm2 = 50 kgf/cm2
슬립비 (Slip Ratio)
슬립비 (%) = (자동차 속도 - 바퀴 속도) / 자동차 속도 x 100
드럼 브레이크의 특성
자기 작동 효과 (Self-Actuation Effect) 가 커서 작은 힘으로 큰 제동력을 얻습니다.
진공 배력 장치 (하이드로 백) 고장 진단
시동 OFF 상태에서 페달을 수차례 밟아 진공을 제거한 후,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 ON 시 페달이 내려가지 않으면 고장이 예상됩니다.
3.3 조향 및 현가 장치
토인 (Toe-in) 필요성
주행 중 토아웃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타이어의 슬립과 마멸을 방지하며, 캠버와 더불어 바퀴를 평행하게 회전시킵니다.
조향 바퀴에 복원성을 주는 것은 토인의 역할이 아닙니다.
오버 스티어링 (Oversteering)
선회 시 조향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해도 선회 반경이 점점 작아지는 현상입니다.
차속 계산
차속 (km/h) = (2 x 파이 x 타이어 반지름(m) x 엔진 회전수(rpm) / 총 감속비) x (60 / 1000)
예시 계산: 감속비 7.2, 3500 rpm, 반지름 0.3m 적용 시 약 55 km/h 입니다.
4. 안전 및 작업 수칙 핵심 요약
작업장 안전 수칙
중량물 운반: 적재 중심은 가능한 한 아래로 오도록 합니다.
기계 작업: 정전 발생 시 기계 스위치를 OFF로 해야 합니다.
정 작업: 정의 날은 몸의 바깥쪽으로 향하게 작업하며, 보안경을 착용합니다.
급속 충전 시 주의사항
충전 시간을 가능한 짧게 하고, 전해액 온도가 45°C가 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