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강기기능사 필기시험 8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전기 이론 및 회로의 핵심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회로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유입되는 전류의 총합은 전류의 총합 = 0 (Sum I = 0) 입니다. 이는 유입 전류의 총합은 유출되는 전류의 총합과 같다는 법칙입니다.
R, L, C 직렬 회로의 최대 전류 조건: 최대 전류가 흐르기 위한 조건은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어야 하는 공진 조건이며, 이때 유도 리액턴스와 용량 리액턴스가 같아져야 합니다. 즉, wL - 1/wC = 0 이 되어야 합니다.
자기 저항의 단위: 자기 저항의 단위는 기자력의 단위와 자속의 단위의 비로, AT/Wb 입니다.
규소강판을 성층하는 주된 이유: 직류기의 전기자 철심에 규소강판을 성층하는 것은 철손 (맴돌이 전류손 및 히스테리시스손)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옴의 법칙과 전압: 저항
R=120 옴에 전류I=6A 가 흐를 때 필요한 전압V 는V = IR = 120 × 6 = 720V 입니다.전선의 저항 변화: 전선의 길이를 2배로 늘리고 단면적이 1/2로 줄면, 저항은 처음의 4배가 됩니다. 저항은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합니다.
직렬 코일의 합성 인덕턴스: 직렬로 접속된 2개 코일의 자속 방향이 동일할 경우(가동 결합), 합성 인덕턴스
L 은L = L_1 + L_2 + 2M 입니다.시퀀스 회로의 기억 회로: 일종의 기억 기능을 수행하여 이전 상태를 유지하는 회로는 자기 유지 회로입니다.
2. 승강기 기계 및 안전 기준
승강기 구조 및 안전 기준
과속조절기(조속기) 로프 안전율: 최소 안전율은 8 이상이어야 합니다.
균형추의 중량 계산식: 균형추의 중량은 카 자체하중 + 정격적재하중(L) * 오버밸런스율(F) 입니다.
카와 승강로 벽 수평거리: 카 바닥 앞부분과 승강로 벽 사이의 수평 거리는 승강로 전체 높이에 걸쳐 150mm 이하이어야 합니다.
제동기 제동력 기준: 승객용 엘리베이터는 정격하중의 125% 까지 적재하고 정격속도로 하강 시 안전하게 정지 가능해야 합니다. (화물용은 120%)
완충기(Buffer)의 역할: 카가 최하층을 통과하여 피트에 떨어질 때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장치입니다. 자유 낙하를 완충하기 위한 장치는 아닙니다.
가이드 레일의 목적: 카와 균형추의 승강로 평면 내 위치를 규제하고, 비상정지장치 작동 시 수직 하중을 유지해 줍니다.
비상구출문의 크기: 카 천장에 설치된 비상구출문의 유효 개구부 크기는 0.4m x 0.5m 이상이어야 합니다.
고속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고속 운전에 적합한 조속기는 플라이 볼형 조속기입니다. (저속은 롤 세이프티형)
점검 및 유지보수
카 상부 검사 항목: 비상구출구 스위치, 도어 개폐 장치, 조속기 로프 설치 상태 등입니다. 조속기 로프 인장 장치의 작동 상태는 피트 내에서 점검합니다.
파이널 리밋 스위치 요건: 이 스위치는 카가 승강로의 완충기에 충돌된 후가 아니라 전에 작동되어야 합니다. 작동 시 권상 전동기 및 브레이크 전원이 차단됩니다.
비상 통화 장치: 카 내에 갇힌 사람들이 외부와 연락할 수 있는 장치는 인터폰입니다.
비상 전원 장치: 정전 시 카 내의 비상 조명은 정전 시 자동으로 점등되어야 합니다.
3. 구동 및 제어 시스템 및 기타 기계 요소
직류기 권선법: 중권의 경우 전기자 내부 병렬 회로수
a 와 극수p 의 관계는a = p 입니다.3상 유도 전동기 회전 방향 변경: 3상 유도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방법은 3상 전원 중 임의의 2상의 접속을 바꾸는 것입니다.
유도 전동기의 슬립 s=1의 의미: 슬립이 1인 상태는 유도 전동기가 정지 상태일 때를 의미합니다.
직류 엘리베이터 속도 제어: 직류 엘리베이터에서 발전기의 계자 전류를 제어하는 방식은 워드-레오나드 방식입니다.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 1차 주파수 제어법, 1차 전압 제어법, 2차 저항 제어법, 2차 여자 제어법 등이 있으며, 1차 계자 제어법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슬라이딩 베어링 접촉: 슬라이딩 베어링은 면 접촉을 하는 베어링입니다.
베벨 기어: 두 축이 교차하는 경우 운동을 전달하는 원추형 기어입니다.
블리드 오프 유압회로 방식의 특징: 정확한 속도 제어가 어렵고, 작동유의 온도 및 압력 변화에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카의 기동 시 유량 조정이 어렵다는 설명은 특징과 거리가 멉니다.
4.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안전 기준
에스컬레이터 경사도: 경사도는 주로 30도 이하입니다.
무빙워크 경사도: 경사도는 12도 이하이어야 합니다.
스커트 가드 안전장치: 스커트 가드판과 스텝 사이에 인체 일부나 물건의 끼임을 감지하여 정지시키는 장치입니다.
스텝 체인 안전장치: 스텝 체인의 늘어남 또는 파단을 감지하여 정지시키는 장치입니다.
이용자 준수 사항: 에스컬레이터에서는 화물 운반을 금지합니다. (화물을 디딤판 위에 올려놓고 타는 것은 부적합)
에스컬레이터의 특징: 연속적인 승객 수송이 가능하며, 하중이 각 층에 분담됩니다. 연속 운전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에 비해 전동기 구동 횟수가 극히 적지는 않습니다.
5. 산업 안전 및 재해 대책
안전 색채 (경고/주의): 경고나 주의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색채는 노랑입니다. (파랑: 지시, 녹색: 안내, 보라: 방사능)
안전모의 목적: 감전 방지, 추락에 의한 부상 방지, 비산물로 인한 부상 방지 등이 목적이며, 종업원의 표시는 주된 목적과 거리가 멥니다.
안전 사고의 심리적 요인: 감정이 심리적 요인에 해당합니다. (피로감, 육체적 능력 초과 등은 생리적 요인)
작업자의 재해 예방 대책: 엄격한 작업 감독은 일반적인 대책으로 맞지 않으며, 위험 요인의 발굴 대처 및 위험 예지 실시 등이 중요합니다.
재해 발생 순서: 이상 상태 -> 불안전 행동 및 상태 -> 사고 -> 재해 순서로 발생합니다.
재해 발생 후 조치 순서: 긴급처리 -> 재해조사 -> 원인강구 -> 대책수립 -> 실시 -> 평가 순으로 이루어집니다. (화살표를 표준 ASCII 문자로 대체)
화재 시 조치 사항: 빌딩 내에서 화재 발생 시 절대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비상 탈출을 시켜서는 안 됩니다.
안전 점검 시 유의 사항: 과거의 재해 발생 부분은 반드시 고려하여 원인이 완전히 제거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감전 사고 환자 조치: 감전 사고로 의식불명이 된 환자가 물을 요구할 경우, 물을 천에 묻혀 입술에 적시어만 주어야 합니다.
안전 관리자의 직무가 아닌 것: 안전보건관리규정 직무, 산업 재해 원인 조사 및 대책, 안전 교육 계획 수립 및 조사가 직무이며, 근로 환경 보건에 관한 연구 및 조사는 주된 직무가 아닙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