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시험 8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산림기능사 필기시험 8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수목 병해충 및 생리


1. 주요 병해 및 매개충

  • 파이토플라스마 병: 담배장님노린재가 오동나무 빗자루병을 매개합니다. (뽕나무 오갈병의 병원균도 파이토플라스마입니다.)

  • 녹병 (이종기생성):

    • 향나무 녹병은 배나무를 중간 기주로 합니다.

    • 잣나무 털녹병은 까치밥나무를 중간 기주로 합니다.

    • 소나무 혹병의 중간 기주는 졸참나무, 신갈나무 등 참나무류입니다.

  • 바이러스 병: 포플러 모자이크병.

  • 세균 병: 뿌리혹병.

  • 생리적 현상: 대나무류 개화병.


2. 해충 및 변태

  • 월동 형태: 미국흰불나방은 번데기 상태로 월동합니다.

  • 용화(蛹化): 유충이 먹는 것을 멈추고 번데기가 되는 현상.

  • 곤충의 다리: 3쌍의 다리가 가슴 부분에 붙어 있습니다.



II. 묘목 및 조림 기술


1. 종자 처리 및 파종

  • 저장 및 발아 촉진 겸용: 노천매장법.

  • 대립종자 파종: 밤나무 등은 점파 (점찍듯 하나씩 심기) 또는 취파를 주로 사용합니다.

  • 묘포 토양 산도: 침엽수 묘포에 알맞은 토양 산도는 pH 5.0~6.5입니다.

  • 매년 결실 수종: 오리나무. (소나무, 자작나무, 아까시나무는 격년 결실)


2. 묘포 관리 및 규격

  • 해가림 제거 시기: 묘목 성장이 왕성한 시기가 지난 7월 하순 ~ 8월 중순에 제거를 시작합니다.

  • 뿌리끊기 시기: 삼나무, 낙엽송 등 웃자라기 쉬운 수종은 8월 ~ 9월에 실시합니다.

  • T/R률 (지상부/지하부 비율):

    T/R률 = 지상부 무게 / 지하부 무게
    
  • 서릿발 피해 방지: 점토질 토양에서 잘 생기므로, 모래나 유기물을 섞어 토질을 개량해야 합니다.


3. 식재 수량 계산

  • 1ha당 묘목 수 계산 공식 (1ha = 10,000 m²):

    묘목수 = 10,000 (m²) / (열간거리 * 묘간거리)
    
  • 예시: 10ha에 2m 간격 정방형 식재 시

    (10 * 10,000) / (2 * 2) = 25,000주
    



III. 산림 경영 및 무육 작업


1. 갱신 및 벌채

  • 인공조림에 가장 용이한 작업종: 개벌작업 (모든 임목을 일시에 벌채하고 새로 심음).

  • 임목 밀도 조절: 간벌작업 (남아있는 나무의 생장 촉진 목적).

  • 중림작업: 상층목은 양수종(참나무류), 하층목은 내음력이 강한 수종이 유리합니다.

  • 천연갱신의 특징: 갱신 기간이 길고, 수종과 수령이 다양하여 취급이 복잡합니다.


2. 무육 작업 순서 및 가지치기

  • 무육 작업 순서:

    1. 풀베기 (식재 후 가장 먼저)

    2. 덩굴제거

    3. 제벌

    4. 가지치기

    5. 간벌

  • 풀베기 적합 시기: 풀이 왕성하게 자라는 6월 상순 ~ 8월 상순 (1년 2회 시 6월과 8월)

  • 가지치기의 효과: 옹이가 없는 완만재 생산 가능.


3. 산불 및 환경

  • 내화력이 강한 수종: 은행나무 (두껍고 단단한 수피).

  • 산불 비화 현상: 바람에 의해 불씨가 날리는 비화수관화에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 산불 피해: 산불이 경사지를 올라갈 경우가 내려올 경우보다 피해가 크며, 단순림이 혼효림보다 피해가 큽니다.

  • 난대림: 평균기온 14℃ 이상 지역의 산림대입니다.



IV. 임업 기계 및 안전


1. 임업 기계 및 구성

  • 다공정 작업 장비: **하베스터(Harvester)**는 벌도, 가지치기, 조재작업 기능을 모두 가집니다.

  • 집재 장비: 소집재작업이나 간벌재 집재에는 소형 윈치가 적절합니다.

  • 내연기관 부품: **연접봉(Connecting Rod)**은 크랭크와 피스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기계톱 출력 단위: HP (Horse Power).


2. 체인톱 및 안전

  • 체인톱 톱날 모양: 치퍼형, 치젤형, 안전형 등이 있으며, 리벳형(Rivet)은 톱날 모양이 아닙니다.

  • 지레발톱(Bumper Spike): 정확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지 역할 및 지레 받침대 역할을 합니다.

  • 체인톱 안전장치: 체인 브레이크, 전방 보호판, 체인잡이 등. (안내판 코는 안전장치가 아닙니다.)

  • 도끼 자루 길이: 사용자 팔 길이가 가장 적합합니다.


3. 윤활유 및 약제

  • 윤활유 혼합비 계산 (50:1):

    • 휘발유 20L에 필요한 윤활유 (x):

    50 : 1 = 20 L : x
    x = 0.4 L
    
  • 윤활유 등급: 번호가 높을수록 점도가 높습니다.

  • 농약 LD50: 시험동물의 50%가 죽는 농약의 양mg/kg으로 표시합니다.

  • 예불기 안전 거리: 작업원 간 상호 10m 이상 떨어져 작업해야 합니다.

  • 덩굴 제거약제 사용 시 유의사항: 24시간 이내 강우 예상 시 약제 처리를 중지해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