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시험 8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조경기능사 필기시험 8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조경 계획 및 디자인 핵심 정리


1-1. 디자인 원리와 시각 효과

  • 점이 (Gradation): 형태, 크기, 색상 등 조경 요소들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현상.

  • 운율 (Rhythm): 각 요소들이 주기성이나 규칙성을 가지면서 연속적인 운동감을 형성하는 것.

  • 랜드마크 (Landmark): 주변에서 식별성이 높고 상징적인 지형이나 시설물.

  • 비스타 (Vista, 통경선): 시선을 제한하여 전방의 일정 지점으로 시선을 집중시키는 경관 기법.

  • 푸르키니에 현상 (Purkinje Effect): 밝기 변화에 따라 물체색의 명도가 변해 보이는 현상. 어두운 곳에서 빨간색은 검게, 파란색/청록색은 상대적으로 밝게 보임.

  • 면적대비 효과: 면적이 커지면 명도와 채도가 높아져 더 밝고 선명하게 느껴짐.

  • 먼셀 표색계 표기법: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의 순서로 H V/C 형태로 표기 (예: 5R 4/14).


1-2. 도면 작성 및 표현

  • 도면의 정위치: 도면의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에 놓는 위치를 정위치로 함.

  • 배치도 주요 표시 사항: 축척, 건물 위치, 대지경계선, 진북 방향, 도로의 위치와 폭, 기준선의 높이 등.

  • 캐스케이드 (Cascade): 고저차가 있는 지형에서 단(계단)을 지어 흐르는 인공 폭포.



2. 조경 재료 및 시공 지식


2-1. 재료 특성 및 구조

  • 목재의 강도와 비중: 비중이 증가할수록 목재의 강도와 탄성계수가 증가함.

  • 목재의 강도 방향: 섬유방향에 평행할 때 최대가 됨 (전단강도 제외).

  • 목재 치수 표시: 제재치수, 제재정치수, 마무리치수.

  • 클리어래커: 안료를 가하지 않아 목재의 무늬를 아름답게 살릴 수 있는 도장 재료.

  • 석질재료 특성: 내구성과 강도가 크나, 무겁고 가공이 어려우며 가격이 비쌈.

  • 재료의 변형 성질:

    • 취성: 작은 변형만 나타내도 파괴되는 성질.

    • 인성: 크게 변형되지만 파괴되지 않는 성질.

    • 전성: 파괴되지 않고 얇게 펴지며 영구변형되는 성질.

  • 돌쌓기 방법: 허튼층쌓기 - 불규칙한 돌을 사용하여 가로/세로 줄눈이 일정하지 않게 흐르도록 쌓는 방법.


2-2. 콘크리트 및 시멘트

  • 시멘트 품질 지표: 강열감량은 시멘트의 풍화도 또는 탄산화작용을 받은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

  • 인공 경량골재: 팽창점토, 팽창혈암, 소성플라이애시 등 (화산재는 천연).

  • 골재 공극률 공식 (순수 텍스트 표기):

    공극률 (%) = (1 - 겉보기 단위용적중량 / 진비중) x 100

  • 콘크리트 시공연도 (워커빌리티) 영향 요인: 물-시멘트비, 단위수량, 골재의 입형 및 입도, 잔골재율 등.

  • 유동화 콘크리트 슬럼프 증가량: 표준값 5~8cm (원칙 10cm 이하).

  • 콘크리트 배합 종류: 시방배합, 현장배합, 중량배합, 용적배합.


2-3. 공사 관리 및 측량

  • 입찰계약 순서: 입찰공고 → 현장설명 → 입찰 → 개찰 → 낙찰 → 계약.

  • 공사원가 경비: 공사원가 중 재료비와 노무비를 제외한 비용.

  • 주요 건설재료 할증률: 조경용 수목 10%, 붉은 벽돌 3%, 이형철근 3%.

  • 공사 관리 목적: 경제속도에 맞는 품질을 확보하여 공사를 경제적으로 시행하는 것.

  • 측량의 3대 요소: 거리측량, 각측량, 고저측량.

  • 경사도와 수평거리 관계 (순수 텍스트 표기):

    경사거리² (L²) = 수평거리² (x²) + 수직거리² (y²)



3. 조경 식재 및 관리 지식


3-1. 식재 계획 및 수목 특성

  • 식재 주수 계산 (순수 텍스트 표기):

    필요 주수 = 식재 길이 (m) / 수관폭 (W) (m/주)

  • 방사/방진용 수목: 빠른 생장력, 깊은 뿌리뻗음, 가지와 잎이 바람에 상하지 않는 수목.

  • 월동 상록다년생: 맥문동.

  • 공해 (아황산가스) 저항성 수종: 화백, 은행나무, 편백, 향나무 등.

  • 비탈면 녹화 식물: 적응력, 빠른 생장, 파종/식재 시기의 폭이 넓은 식물 (시비 요구도가 큰 식물은 부적합).

  • 가을 흑색 열매: 생강나무.


3-2. 식재 시공 및 관리

  • 이식 시 뿌리분 크기: 근원직경의 4~6배가 기준 (운반을 위해 작게 만들면 안 됨).

  • 식재 작업 준비: 식재지역에 대한 사전조사는 필수.

  • 전정 (가지치기):

    • 세력 갱신 전정: 늙어서 꽃맺음이 나빠진 나무의 줄기/가지를 잘라 새 순으로 갱신 (과일나무, 장미 등).

    • 소나무 순지르기: 5~6월에 실시하며, 1~2개의 순을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

  • 잔디깎기 목적: 이용 편리, 잡초 방제, 통풍 양호, 병충해 예방, 그리고 잔디의 분얼(가지치기) 촉진.

  • 천공시비의 위험성: 비료를 과다 투입하면 염류장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 목재 시설물 유지관리: 통풍을 좋게 하고 빗물 고임을 방지. 높은 온습도 (20~40°C, 80% 이상)는 피해야 함.


3-3. 병충해 및 접목

  • 파이토플라스마 병: 붉나무, 오동나무, 대추나무의 빗자루병. (벚나무 빗자루병은 곰팡이병)

  • 코흐의 4원칙: 접종에 사용한 미생물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 미생물이 재분리되어야 함.

  • 토양 경도와 생육: 야마나카 경도계 측정 시 5.8 kgf/cm² 이상에서 나지화가 시작.


3-4. 시설물 설치 규격

  • 벤치 앉음면 높이 (겸용): 35~40cm.



4. 한국 및 서양 조경사

  • 한국 정원:

    • 담양 정자원림: 소쇄원, 명옥헌, 식영정 원림. (임대정 원림은 화순)

    • 고려 시대 정원: 자연풍경식 조경, 정자 건축, 연지(연못) 조성.

    • 창덕궁 후원 명칭: 후원, 북원, 금원, 비원.

  • 중국 조경: 송 - 만세산, 청 - 이화원, 한 - 태액지.

  • 서양 조경 양식:

    • 이탈리아: 노단건축식 정원.

    • 프랑스: 평면기하학식 정원.

    • 영국: 자연풍경식 정원.

    • 이탈리아 바로크 정원 특징: 미원(Maze), 토피어리, 다양한 물의 기교 등 (타일 포장은 특징 아님).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