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9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크레인 주요 장치 및 구조 (RMGC, STS/QC)
컨테이너 크레인의 주요 구성 요소와 각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1.1 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 주요 구조물
RMGC는 레일 위를 주행하는 갠트리 크레인입니다.
주요 구조물: 거더 (Girder), 레그 (Leg), 실빔 (Sill Beam), 주행장치, 트롤리, 헤드블록, 스프레더 등.
주의: 지브(Jib)는 RMGC의 주요 구조물이 아닙니다.
1.2 컨테이너크레인의 3대 주요 장치
컨테이너크레인은 화물을 옮기는 세 가지 기본 동작을 수행합니다.
권상장치 (Hoisting): 화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장치.
횡행장치 (Trolley): 트롤리가 거더 위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장치.
주행장치 (Gantry): 크레인 전체가 레일을 따라 길게 이동하는 장치.
1.3 스프레더 및 제어 장치
스프레더 기능: 트위스트록/언록, 플리퍼 업/다운, 컨테이너 크기에 맞춘 텔레스코픽 신축 기능 (20피트, 40피트, 45피트 조정 가능).
틸팅 디바이스 (Tilting Device): 선박의 기울기(트림)나 화물 편중 등으로 인해 스프레더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조정하는 장치입니다.
트랜스퍼크레인 역할: 야드 내에서 트레일러 섀시 위에 상·하차작업을 하거나 컨테이너를 적재합니다. 컨테이너를 본선 크레인까지 운송하는 역할은 아닙니다.
2. 안전장치, 와이어로프 및 운전 수칙
안전한 작업을 위해 크레인에 설치된 안전장치와 와이어로프의 폐기 기준을 숙지해야 합니다.
2.1 주요 안전장치 및 계류장치
안티스내그 장치 (Anti-snag): 호이스트 와이어로프에 순간적으로 큰 장력이 걸렸을 때 자동으로 작동하여 와이어로프를 보호합니다.
레일 클램프 (Rail Clamp): 크레인이 작업 중 바람에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동작 방식: 잠김은 스프링 힘, 풀림은 유압으로 작동합니다.
타이 다운 (Tie Down): 크레인이 계류 중일 때 폭풍이나 태풍으로 인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붐 호이스트 과속방지스위치: 작동 시 비상 디스크 브레이크가 동작하여 전동기를 정지시킵니다.
2.2 와이어로프 취급 및 폐기 기준
와이어로프 폐기 기준: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일 때.
마모로 인해 로프의 직경이 공칭 지름의 7% 이상 감소했을 때.
킹크가 생기거나 현저하게 부식되거나 변형된 것.
보통 꼬임 특성: 소선의 마모가 쉽지만, 로프 자체의 변형이 적고 킹크 발생이 적습니다.
2.3 운전 및 조작 수칙
트림 조정 (스프레더 오른쪽 낮춤): A, B 와이어로프는 상승, C, D 와이어로프는 하강해야 합니다.
3. 전기, 제어 및 유압 장치 핵심
크레인 제어의 기본이 되는 전기, 제어, 유압 장치 지식을 숙지해야 합니다.
3.1 전기 및 시퀀스 제어
도전율: 고유 저항의 역수로, 전류가 잘 흐르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금속의 전기저항: 온도가 상승하면 전기 저항이 증가합니다.
배선용 차단기: 과부하 및 단락 발생 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합니다.
직류 전동기 속도제어: 계자제어법, 저항제어법, 전압제어법이 있습니다.
아날로그양: 전압, 온도, 속도, 압력, 유량 등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입니다.
PLC 입/출력 장치:
입력: 스위치, 리밋 스위치, 센서, 누름 버튼 스위치.
출력: 솔레노이드 밸브, 전자접촉기 코일, 표시등(램프).
인터록 회로: 2개의 입력 중 먼저 동작한 쪽이 우선하고 다른 쪽의 동작을 금지하는 회로입니다.
한시동작 접점: 입력 신호를 받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회로를 개폐하는 접점입니다.
3.2 유압 장치
릴리프 밸브 (Relief Valve): 유압 장치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최고 압력을 제한하여 회로를 보호합니다.
디셀러레이션 밸브 (Deceleration Valve): 유압 모터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오일쿨러 (Oil Cooler): 유압유의 온도를 알맞게 유지하기 위해 오일을 냉각하는 부품입니다.
유압실린더 교환 후 조치: 엔진을 저속 공회전시킨 후 공기빼기 작업을 우선적으로 실시합니다.
유압 작동부 오일 누설 점검: 가장 먼저 **실(Seal)**의 마모 및 파손 여부를 점검해야 합니다.
숨돌리기 현상: 공기가 실린더에 혼입되어 작동 지연 현상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오일 공급이 과대해지는 현상은 아닙니다.)
유압유 점도: 점성계수를 밀도로 나눈 값은 동점성 계수입니다. (점도는 온도가 상승하면 낮아집니다.)
4. 컨테이너 및 터미널 운영 지식
컨테이너터미널의 구조, 하역 방식, 그리고 안전 규정을 이해합니다.
4.1 터미널 시설 및 장비 역할
에이프런 (Apron): 안벽에 접한 부분으로, 하역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곳입니다.
셀 가이드 (Cell Guide): 적화 시 컨테이너가 선박에 잘 들어갈 수 있도록 안내판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섀시 시스템 (Chassis System): 컨테이너를 섀시 트레일러 위에 적재된 상태로 대기시켜 필요할 때 바로 수송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4.2 하역 계획 및 안전 수칙
컨테이너 양화 작업 계획 원칙:
작업은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컨테이너 크레인을 기준으로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 작업 진행을 계획합니다.
컨테이너선 하역 서류 (수입 양화): 본선 적부계획도, G/C 작업계획도, 작업진행표 등. (컨테이너 선적목록은 적화(수출) 관련 서류입니다.)
컨테이너 마킹에 없는 내용: 하역회사명은 컨테이너 마킹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터미널 위치 선정 요건: 컨테이너선의 접안이 용이하도록 수심이 깊은 곳이어야 합니다.
위험물 분류: IMDG Class 7 물질은 방사선 물질입니다.
양화장구용 와이어로프 안전계수: 선박안전법상 파괴강도에 대한 안전계수는 5 이상입니다.
표지 부착 불가 벌크화물 조치: 선하증권 등을 확인한 후 작업합니다. (체크디지트 확인이 아닙니다.)
고박장치 해체자: 컨테이너 고박장치를 해체하는 사람을 **라싱맨 (Lashing Man)**이라고 합니다.
터미널 사고 손실: 보험비용의 증가는 항만/터미널의 손실(조직 손실)이며, 개인적 손실이 아닙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