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시험 9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산림기능사 필기시험 9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조림 및 육림 작업 (Tending and Silviculture)


1-1. 갱신 및 벌채 작업

  • 교호대상 개벌작업: 숲을 띠 모양으로 구획하여 번갈아 가며 개벌하며, 2번의 개벌로 갱신이 완료되는 방식입니다.

  • 중림작업 (Coppice with Standards): 하목은 연료 생산, 상목은 용재 생산을 목적으로 한 구역에서 동시에 실시하는 작업입니다.

  • 왜림작업 (Coppice): 활엽수림에서 근주에서 나오는 맹아(싹)를 이용하여 후계림을 만드는 갱신 방법입니다.

  • 산벌작업 (Shelterwood) 순서: 예비벌 → 하종벌 → 후벌

    • 예비벌: 작업 환경 개선 및 준비

    • 하종벌: 숲을 개방하여 새로운 나무가 자랄 환경 조성

    • 후벌: 새로운 숲의 성장을 돕는 마지막 벌채

  • 모수작업법 모수의 조건: 우세목 중에서 고르고, 유전적 형질이 우수하며, 종자를 많이 생산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야 합니다.

  • 벌채 금지 구역 (잔존 수림대): 벌채 구역과 벌채 구역 사이의 폭 20m 이상의 수림대는 수확을 위한 벌채 금지 구역입니다.

  • 임분 구조 비교 (동령림 vs. 이령림):

    • 동령림 (Even-aged stand) 특징: 갱신이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집니다.

    • 혼효림 (Mixed forest): 숲을 구성하는 수종이 두 가지 이상일 때를 말하며, 생물학적으로 건전한 산림입니다.


1-2. 묘목 및 입목 관리

  • 어린나무 가꾸기 (Tending of Young Stands): 1차 작업 시기는 풀베기가 끝난 3~5년 후가 가장 적당합니다.

  • 제벌작업 (Cleaning): 조림목과 경쟁하는 목적 외 수종 및 형질 불량목 등을 제거하여 조림목의 성장을 돕는 무육 작업입니다.

  • 간벌작업 (Thinning): 잔존시키는 임목의 성장 및 형질 향상을 위하여 임목 간의 경쟁을 완화시키는 작업입니다.

  • 데라사끼식 간벌: 간벌량이 가장 적은 방식은 초기 맹아림 단계에서 실시되는 A종 간벌입니다.

  • 가지치기 (Pruning):

    • 목재의 질적 개선 (옹이 없는 완만재 생산)을 위한 육림 작업입니다.

    • 큰 생가지를 잘라도 위험성이 작은 수종: 소나무류, 낙엽송, 포플러류, 편백 등

    • 큰 생가지를 잘라도 위험성이 높은 수종: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벚나무, 느릅나무 등

  • 수하식재 (Underplanting): 주임목 아래에 작은 나무를 심는 것으로, 음수 수종 (그늘에서 잘 자라는 나무)이 더 적합합니다. 표토 건조 방지, 지력 증진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1-3. 밀도 계산 및 공식

  • 소요 묘목 본수 계산:

    • 면적: 2ha (20,000 m²)

    • 식재 간격: 2m x 2m (4 m²)

    • 공식: 소요 본수 = (총 면적 m²) / (식재 간격 m²)

    • 계산: (20,000 m²) / (4 m²) = 5,000 본

  • 종자의 효율 계산:

    • 발아율 90%, 순량률 80%, 고사율 20% 일 때

    • 공식: 종자의 효율 (%) = (발아율 x 순량률) / 100

    • 계산: (90 x 80) / 100 = 72%



2. 종자 및 묘목 (Seeds and Seedlings)


2-1. 종자 특성 및 처리

  • 발아율이 높은 수종 (예시): 곰솔(해송) 92%, 비자나무 61%, 주목 55%, 전나무 25%

  • 발아에 가장 오랜 시일이 필요한 수종 (약 42일): 목련, 전나무, 느티나무, 옻나무 등

    • (참고: 사시나무, 느릅나무 등은 14일 정도 소요)

  • 3~4년마다 결실하는 수종: 가문비나무, 전나무, 녹나무 등

  • 로지폴소나무: 구과가 성숙한 후에 10년 이상 모수에 부착되어 있다가 산불의 고열을 받아야 인편이 열리는 수종입니다 (밀폐형 구과).

  • 실중 (Absolute Weight): 소립종자의 경우 종자 1,000립의 4회 평균중량을 나타냅니다.

  • 득묘율 (Seedling Yield Rate): 파종된 종자 입수에 대한 잔존 묘목수의 비율입니다.

  • 종자 정선 후 곧바로 노천매장해야 할 수종: 잣나무, 들메나무, 단풍나무류, 벚나무류, 은행나무, 목련류 등


2-2. 묘목 및 삽목

  • 삽목묘 연령 표기: 뿌리년생 / 줄기년생 으로 표기합니다.

    • 예: 뿌리 2년생, 줄기 1년생은 2/1묘

  • 삽수의 발근이 비교적 잘되는 수종: 은행나무, 측백나무, 포플러류, 버드나무류, 사철나무, 삼나무 등

  • 발근 촉진제 (호르몬): 인돌부틸산 (IBA), 나프탈렌초산 (NAA), 인돌초산 (IAA)

    • 주의: 2,4-D는 발근 촉진제가 아닌 제초제로 사용됩니다.



3. 병충해 관리 및 방제 (Pest and Disease Management)


3-1. 해충 특성

  • 솔잎혹파리: 1년에 1회 발생하며, 지피물 밑의 흙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합니다. 솔잎의 기부에서 즙액을 빨아 먹습니다.

  • 솔나방: 주로 솔잎 사이에 알을 낳아 산란합니다.

  • 어스렝이나방: 유충이 잎을 식해하며 (열매 X), 플라타너스, 호두나무 등을 가해합니다. 1년에 1회 발생하고 알로 월동합니다.

  • 소나무재선충: 매개충은 솔수염하늘소이며, 피해 고사목은 철저히 벌채하여 잔가지까지 소각하고 임지 외 반출을 금지합니다.


3-2. 병원균 및 방제법

  • 세균에 의한 병이 아닌 것: 잎떨림병 (자낭균에 의한 곰팡이병)

    • (참고: 뿌리혹병, 불마름병, 세균성구멍병은 세균성 질병입니다.)

  • 소나무류 잎녹병균의 중간 기주: 황벽나무, 잔대, 등골나물 등이 있습니다.

    • 주의: 현호색은 포플러 잎녹병의 중간 기주입니다.

  • 농약 분류 (물리적 형태가 아닌 것): 전착제 (농약의 부착을 돕는 보조제로, 작용 특성에 따른 분류입니다.)

    • (참고: 분제, 유제, 수화제 등은 물리적 형태에 따른 분류입니다.)

  • 항생물질 살균제가 아닌 것: 석회유황합제 (보호 살균제)

    • (참고: 스트렙토마이신, 폴리옥신 B 등은 항생물질 살균제입니다.)

  • 천적 보호에 유리한 방제약제: 침투성 살충제 (식물체에 흡수되어 흡즙성 해충만 제거하므로 천적 피해가 적습니다.)

  • 등화유살 (Light Trap) 구제 해충: 어스랭이나방, 풍뎅이 등 밤에 빛에 유인되는 해충 구제에 효과적입니다.



4. 임업 기계 및 안전 (Forestry Machinery and Safety)


4-1. 체인톱 및 예불기

  • 체인톱 안전장치 (아닌 것): 스프로킷 (동력 전달 장치)

    • (참고: 체인 브레이크, 핸드가드, 체인잡이는 안전장치입니다.)

  • 체인톱 절단면 파상무늬 원인: 창날각이 고르지 못하거나 너무 작을 때 발생하며, 체인이 한쪽으로 기우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 벌목작업 작업로 간격 (안전 거리): 벌도될 나무 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영역입니다.

  • 예불기 날의 안전성: 정원목 주변 작업 시 가장 안전한 날 형태는 나일론코드식입니다.

  • 예불기 연료 소모량: 시간당 약 0.5L가 소모되는 것으로 보고 준비합니다.

  • 윤활유 (SAE 20W): W는 Winter (겨울)를 의미하며, 윤활유의 점액도 표시는 사용 외기온도로 구분됩니다.


4-2. 내연기관 및 기계 비교

  • 2행정 내연기관 공기 유입 원리: 크랭크실과 외부와의 기압차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됩니다.

  • 연접봉 (커넥팅 로드): 크랭크와 피스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2행정 기관 특징 (4행정 대비): 연료 소모량이 크고, 저속 운전이 곤란하며, 동일 배기량 대비 출력이 큽니다.

  • 펠러번처 (Feller Buncher): 벌도와 벌도목을 모아 쌓는 기능이 주목적이며, 가지제거나 절단 기능은 없습니다.

  • 힐블록 (Hill Block): 스카이라인을 집재기로 직접 견인하기 어려울 때, 견인력을 높이기 위한 가선 장비입니다.


4-3. 작업 도구 및 효율

  • 작업 도구와 능률:

    • 도구의 날 끝 각도가 클수록 나무가 잘 빠개집니다.

    • 도구의 날은 날카로워야 잘 파거나 자를 수 있습니다.

    • 도구는 무거울수록, 내려치는 속도가 빠를수록 힘이 세집니다.

  • 벌목작업 도구 (지렛대): 벌목 중 나무에 걸린 나무의 방향 전환이나 벌도목을 돌릴 때 사용됩니다.



5. 기타 임업 상식

  • 내음성이 가장 강한 수종 (음수): 너도밤나무, 주목, 금송, 비자나무, 편백, 가문비나무류 등

  • 우리나라가 원산인 수종: 잣나무

    • (참고: 연필향나무는 북미, 삼나무는 일본, 백송은 중국 원산입니다.)

  • 풀베기 시기: 일반적으로 조림 후 6~8월에 실시합니다. 9월 이후의 풀베기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만상 (Late frost): 이른 봄에 수목의 발육이 시작된 후에 갑자기 내린 서리에 의해 어린 잎이 받는 피해입니다.

  • 잡초/관목이 무성한 경우의 영향: 병충해 중간 기주, 양수 어린나무 생장 저해, 임지 갱신 방해 요인 등이 되지만, 지표의 수분을 보존하여 지표를 건조하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 곤충의 피부 구조 (가장 바깥쪽): 표피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