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강기기능사 필기시험 9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승강기 안전 장치 및 규격
승강기 기능사 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안전 관련 규정입니다. 수치나 작동 순서를 정확히 암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1 도어 및 인터로크 규정
도어 인터로크 작동 순서: 도어가 닫힐 때에는 반드시 기계적인 시건 장치가 먼저 걸린 후 도어 스위치가 작동되어야 합니다.
카/승강장 문턱 수평 거리: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의 수평 거리는 완성 검사 시 35mm 이하여야 합니다.
1.2 완충기 및 피트 규정
스프링 완충기 규정: 카가 최상층에 정지 시 균형추와 완충기 사이의 최대 거리는 900mm 이하입니다. 카 측은 600mm 이하입니다.
유입 완충기 복귀 시험: 완전히 압축된 상태에서 완전 복귀까지의 시간은 120초 이하여야 합니다.
유압 엘리베이터 가요성 호스 내압: 전 부하 압력의 5배 압력을 손상 없이 견뎌야 합니다.
1.3 조속기 및 제동력
조속기 로프 인장력: 조속기가 작동될 때의 인장력은 다음 두 값 중 큰 값 이상이어야 합니다.
최소한 비상정지장치 물림에 필요한 힘의 2배
300N 이상
제동기 제동력 (정격 속도 하강 시):
승객용: 적재 하중의 **125%**까지 정지 가능.
화물용: 적재 하중의 **120%**까지 정지 가능.
1.4 비상용 엘리베이터 규정
운행 속도: 60m/min 이상이어야 합니다. (90m/min 이상은 틀린 설명)
예비 전원 기능: 정전 시 60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력을 발생하여 2시간 이상 작동 가능해야 합니다.
1.5 에스컬레이터 안전 규정
스텝 체인의 안전율: 5 이상이어야 합니다.
경사도 및 속도:
경사도 30도 이하: 속도 0.75m/s 이하.
경사도 30도 초과, 35도 이하: 속도 0.5m/s 이하.
인렛 스위치: 핸드레일이 난간 하부로 들어가는 인입구에 설치하여 물체가 끼었을 경우 정지시키는 안전 장치입니다.
2. 승강기 구성 요소 및 운전
2.1 주요 부품의 역할
균형 로프 (Compensating Rope): 카의 위치에 따라 변하는 주 로프 및 이동 케이블의 하중 불균형을 보상하는 역할입니다.
스트레이너: 펌프의 흡입측에 설치하여 작동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입니다. (펌프 출구 쪽은 필터)
유압식 스톱 밸브: 유압 파워 유닛과 실린더 사이의 압력 배관에 설치되며, 닫으면 실린더의 기름이 파워 유닛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권상 도르래/로프 공칭직경 비: 스트랜드 수와 관계없이 40 이상이어야 합니다.
카 프레임 (카틀): 상부틀, 하부틀, 브레이스 로드 등으로 구성되며, 카 바닥은 카 프레임의 주요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레일 윤활유 기름통: 카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레일의 녹을 방지하고 마찰 저항을 줄입니다.
2.2 운전 및 제어 방식
단식 자동 방식: 가장 먼저 누른 호출에만 응답하고, 해당 운전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호출에 응답하지 않습니다. (주로 화물용에 사용)
군 관리 방식: 엘리베이터 3대 이상 병설 시, 교통 수요 변화에 따라 카를 합리적으로 운행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가장 가까운 카만 응답하는 것은 아닙니다.
파킹 스위치: 승강장, 관리실 등 카 이외의 장소에서 엘리베이터 운행의 정지 및 재개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안전 장치입니다.
2.3 유압식 엘리베이터 특징
간접식 유압 엘리베이터: 로프의 늘어짐과 작동유의 압축성 때문에 부하에 의한 카 바닥의 빠짐이 비교적 큽니다.
작동유 온도 검출 스위치: 기름 탱크의 온도가 규정치 60도를 초과하면 카 운행을 중지시킵니다.
3. 전기 및 제어 공학
3.1 전기 설비 및 회로
기계실 조도: 기기가 배치된 바닥면에서 200lx 이상이어야 합니다.
절연 저항: 전동기 주회로 (동력 회로)가 승강로 내 신호 회로나 안전 회로보다 절연 저항이 가장 커야 합니다.
줄의 법칙: 전류의 열 작용 (발열량
H = 0.24 I² R t )과 관계있는 법칙입니다.심실 세동 전류: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심장 부분에 영향을 주어 심장이 불규칙적으로 세동하여 혈액 순환에 큰 장애를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3.2 전동기 및 제어
유도 전동기 슬립
s=1 : 유도 전동기가 정지 상태일 때입니다.유도 전동기 속도 제어법: 1차 주파수 제어법, 1차 전압 제어법, 2차 저항 제어법, 2차 여자 제어법 등이 있으며, 1차 계자 제어법은 직류 전동기 제어법입니다.
직류 발전기 용량 계산:
발전기 용량 = (전동기 출력 / 전동기 효율) X 1시간 정격 비율
계산: (20kW / 80%) X 56% = 14kW
폐루프 제어계 전달 함수:
공식: G(s) / (1 + G(s)H(s)) (단, H(s)는 귀환 요소)
논리식 Y = A + B: OR 게이트를 나타냅니다. 입력 A와 B 중 어느 하나라도 1이면 출력 Y는 1이 됩니다.
3.3 비접촉식 입력 요소
비접촉식 입력 요소: 근접 스위치, 광전 스위치 등이 있습니다. 누름 버튼 스위치나 리밋 스위치는 접촉식입니다.
4. 기계 재료 및 측정
사인 바 (Sine Bar): 기계 부품의 각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응력 (Stress): 단면적이 일정한 상태에서 하중이 증가하면 응력은 증가합니다. 응력
= P/A (하중P , 단면적A ).베어링 구비 조건: 마찰 저항이 적을 것, 강도가 클 것, 가공 수리가 쉬울 것, 열전도도가 좋을 것 (열 발산을 위해).
5. 안전 및 관리 (산업 안전)
재해 발생 시 조치 순서: 긴급 처리
→ 재해 조사→ 원인 강구→ 대책 수립→ 실시→ 평가.3E 대책 적용 단계: 사고 예방 대책 기본 원리 **5단계 (시책의 적용)**에서 적용됩니다. (Engineering, Education, Enforcement)
2종 안전대 사용법: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로 1개걸이 전용입니다.
재해의 직접 원인 중 작업 환경 결함: 과다한 소음 발산 등이 해당됩니다. 위험 장소 접근, 작업 순서 잘못 등은 불안전한 행동에 해당됩니다.
6. 추가 핵심 정리 (서술형 답변 포함)
와이어 로프 클립 체결 방법
와이어 로프 클립을 체결할 때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클립의 안장 (U볼트 아님) 부분은 반드시 로프의 **작업줄 (하중을 받는 쪽)**에 놓여야 합니다.
U볼트 부분은 반드시 로프의 **꼬리줄 (자유로운 쪽)**에 놓여야 합니다.
클립 간의 간격은 로프 지름의 6배 이상으로 하며, 클립은 최소 3개 이상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너트는 균등하게 조여야 하며, 사용 중에는 정기적으로 재조임하여 풀림을 방지해야 합니다.
직렬 회로와 병렬 회로의 합성 용량 (콘덴서 기준)
전기 회로에서 용량 (Capacitance,
직렬 회로: 1/C_T = 1/C_1 + 1/C_2 + 1/C_3 + ... (각 용량의 역수를 합한 후 역수 취함)
병렬 회로: C_T = C_1 + C_2 + C_3 + ... (각 용량을 단순히 합함)
PNP형 트랜지스터
PNP형 트랜지스터는 P형 반도체, N형 반도체, P형 반도체가 순서대로 접합된 구조 (P-N-P)를 가집니다.
구조: 이미터 (E), 베이스 (B), 컬렉터 (C)의 세 단자로 구성됩니다. 베이스는 얇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작동 원리: 이미터-베이스 접합에 순방향 전압을, 베이스-컬렉터 접합에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여 작동합니다.
전류 흐름: 캐리어는 정공 (Hole)이며, 정공이 이미터에서 베이스를 거쳐 컬렉터로 흐르면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베이스 전류는 이미터 전류와 컬렉터 전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