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텅스텐/CO2가스 아크용접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용접 작업 및 이론 핵심 정리
1.1 용접 기본 이론
피닝(Peening)의 목적: 용접부의 잔류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특수 해머로 충격을 가하는 작업입니다.
아크 길이의 영향: 아크 길이가 길어지면 아크가 불안정해지고, 용융 금속의 산화 및 질화가 쉬워지며, 전압이 높아지고 스패터가 많아집니다. 열 집중력은 불량해집니다.
용접 입열과 냉각 속도: 용접 입열이 일정할 때, 열전도율이 큰 금속일수록 냉각 속도가 빠릅니다. (예: 구리(Cu)의 열전도율이 연강(Fe)보다 높음).
열 및 전기 전도율이 높은 순서: 은(Ag) > 구리(Cu) > 금(Au) > 알루미늄(Al) > ... > 철(Fe) > 납(Pb)
직류 용접 극성 (DCSP)
정극성 (DCSP, DC Straight Polarity): 모재에 열이 집중되어 용입이 깊습니다. 박판, 주철 등의 접합에 사용됩니다.
1.2 특수 용접 및 납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SAW):
용접 진행 시 아크가 용제에 덮여 보이지 않아 일명 잠호용접이라고 부릅니다.
동일 조건에서 와이어의 지름이 작을수록 전류 밀도가 커져 용입이 깊어집니다.
논 가스 아크 용접:
별도의 보호 가스나 용제가 필요 없습니다.
용접 장치가 간단하고 운반이 편리하며, 바람이 있는 옥외에서도 작업이 가능합니다.
플라스마 아크의 종류: 이행형 아크, 비이행형 아크, 중간형 아크가 있습니다.
테르밋 용접: 용접열원을 외부에서 가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 분말의 화학반응열을 사용하여 용접합니다.
납땜의 구분
연납 (Soft Solder): 주석-납계 합금이 주로 사용되며, 기계적 강도가 낮아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에 사용됩니다. (용제: 염산)
경납 (Hard Solder): 은납, 황동납 등이 이에 속하며, 물리적 강도가 크게 요구될 때 사용됩니다. (용제: 붕사, 붕산, 알칼리)
가스 용접 전진법: 토치(오른손)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용접봉(왼손)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행하여 용접하는 방식입니다.
2. 용접 장비 및 안전 수칙
2.1 용접기 특성 및 규격
용접기의 특성:
정전압 특성: 부하 전류가 변하여도 단자 전압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 특성입니다. CO2 용접기나 MIG 용접기에 주로 사용됩니다.
용접기 규격 (AW 500):
AW는 교류 아크 용접기를 의미합니다.
500은 정격 2차 전류값 (A)을 의미합니다.
소비 전력 공식:
소비 전력 = 아크 전력 + 내부 손실CO2 용접 가스 유량 (L/min):
저전류 (250A 이하): 10 ~ 15 L/min
고전류 (250A 이상): 20 ~ 25 L/min
가변압식 팁 (200호):
팁 번호는 시간당 아세틸렌가스 소비량 (L/h)을 의미합니다.
예: 200호 팁으로 10시간 사용 시 소비량은 200 L/h x 10 시간 = 2,000 L 입니다.
2.2 안전 및 점검
전격 방지 대책 (필수):
홀더나 용접봉은 맨손으로 취급하지 않습니다.
젖은 작업복, 장갑, 신발 등을 착용하지 않습니다.
CO2 용접이나 MIG 용접 작업 도중 와이어를 교체할 때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해야 합니다.
용접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기 스위치를 차단해야 합니다.
용접기 점검:
2차측 단자의 한쪽 면과 용접기 케이스는 **반드시 접지(Earth)**해야 합니다.
2차측 케이블이 길어 전압 강하가 우려될 경우, 가능한 지름이 큰 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기타 장치:
원격 제어 장치: 용접기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수중 절단 연료가스: 수소 (H2) 가스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3. 용접 결함 및 비파괴 검사
3.1 주요 용접 결함
선상조직: 용착 금속의 냉각 속도가 빠르거나, 모재의 재질이 불량(인(P) 함유)할 때 나타나는 편석 조직입니다.
라미네이션(Lamination) 균열: 모재의 재질 결함으로, 강괴 내 기포가 압연되어 설퍼밴드와 같은 층상으로 편재해 노치(Notch)를 형성하는 균열입니다.
오버랩(Overlap) 보수: 용접 용입부의 일부를 채우지 않고 덮은 불량입니다. 일부분을 깎아내고 재용접하여 보수합니다.
3.2 비파괴 검사
초음파 탐상법 종류: 공진법, 투과법, 펄스 반사법이 있습니다.
금속 조직 검사 (현미경): 결함, 결정 입도, 비금속 개재물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내부 응력은 조직 검사로 측정할 수 없으며, 인장 시험 등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이음 효율 공식:
이음 효율 (%) = (용접 시험편의 인장 강도 / 모재의 인장 강도) * 100
4. 재료 일반 및 야금
4.1 강재 및 합금
용접봉의 내균열성: 저수소계 용접봉 (E4316)이 내균열성이 가장 우수합니다.
예열 온도:
알루미늄 (Al) 합금: 열전도가 매우 크므로 200~400도 C 정도의 예열이 필요합니다.
탄소 당량 (CE) (주철) 공식:
CE = 탄소 함량 + (규소 함량 + 인 함량) / 3스테인리스강 (오스테나이트계):
내식성이 가장 우수합니다.
비자성이며, 염산, 황산, 염소 가스 등에 약합니다.
결정 입계 부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라우탈 (Rautal): Al-Cu-Si 계 합금으로, Si (3~8%) 첨가는 주조성을 향상시킵니다.
문쯔 메탈 (Muntz Metal): 60% Cu - 40% Zn 합금으로 아연 함유량이 높은 황동입니다.
SAP (Sintered Aluminum Powder): 알루미늄 분말 소결체로, Al-Al2O3 계 분산 강화 합금입니다.
4.2 재료의 성질 및 열처리
면심입방격자 (FCC): 비교적 연하여 전연성이 크고 가공성이 좋습니다.
자기 변태점: 자기 변태가 일어나는 온도를 퀴리점이라고 합니다.
자성 재료:
연질 자성재료: 센더스트 (Fe-Si-Al 합금)
경질 자성재료 (영구자석): 알니코, 페라이트, 네오디뮴 자석 등
금속 조직의 경도 순서 (낮음에서 높음으로):
... < 오스테나이트 < 펄라이트 < 소르바이트 < 베이나이트 < 트루스타이트 < 마텐자이트 < 시멘타이트 (표현 단순화)
제시된 보기 중 오스테나이트가 경도 값이 가장 낮습니다.
열처리:
항온 열처리: 마켄칭, 마템퍼링, 오스템퍼링
풀림 (Annealing): 재질을 연하고 균일하게 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기본 열처리입니다.
불변강 (Invar): 열팽창률이 극히 작은 합금으로, TV의 섀도 마스크 제작에 사용됩니다.
5. 도면 해독 및 제도
5.1 선의 우선순위 및 투상법
선의 우선순위 (중복 시):
외형선 > 숨은선 > 절단선 > 중심선 > 치수 보조선
단면도: 축, 핀, 볼트, 너트류는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하지 않습니다.
전체 길이 해독:
총 길이 = 피치 간격 (P) x (구멍 수 - 1) + 2 x 양 끝 여백 (Le)
제 3각법 정투상: 물체를 3상한에 놓고 투상하는 방법으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순으로 배치됩니다.
5.2 제도 기호 및 재료 기호
치수 보조 기호: 지름 기호 (Φ), 구의 지름 기호 (S), R (반지름), 네모 기호 (정사각형) 등이 사용됩니다.
나사의 감김 방향:
오른나사는 일반적으로 지시하지 않으나, 왼나사는 반드시 약호 **"LH"**를 추가하여 표시합니다.
동일 부품에 혼재 시: 오른나사 (RH)와 왼나사 (LH) 모두 표시해야 합니다.
판금 전개법: 평행선법, 방사선법, 삼각형법이 일반적입니다. (다각전개법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주요 재료 기호:
SPHC: 열간 압연 강판 및 강대
SPCC: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일반용)
STS: 스테인리스강
SPB: 주석 도금 강판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