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텅스텐/CO2가스 아크용접기능사
필기시험 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용접 일반 및 설계 기준
1. 용접 설계 및 이음
연강의 안전율: 충격 하중을 받는 연강재 이음부의 안전율은 12로 설정합니다.
기본 용접 이음 형식: 맞대기 이음, 모서리 이음, T자 이음, 겹치기 이음 등이 있으며, 마찰 이음은 기본 형식에 속하지 않습니다.
용접 시공 계획 (준비): 용접 홈 가공, 부재의 조립, 모재의 가용접 등이 포함되며, 변형 교정은 용접 후에 실시하는 작업입니다.
피복 아크 용접 맞대기 홈 기준 (판 두께):
I형: 6mm 이하, 양쪽 용접.
V형: 20mm 이하, 한쪽 용접.
X형: 15mm ~ 40mm, 양쪽 용접.
U형: 16mm ~ 50mm, 한쪽 용접.
2. 용접 결함 및 변형 관리
구조상 결함: 용접 결함 중 기공(Porosity)은 구조상 결함에 속합니다.
용접 결함의 원인:
언더컷 (Undercut): 전류가 너무 높을 때 발생.
오버랩 (Overlap): 전류가 너무 낮을 때 발생.
슬래그 섞임 (Slag Inclusion): 전류가 낮을 때 발생 (과대할 때 X).
기공 (Porosity): 용접봉 흡습, 용융금속과 고체의 용해도 차, 화학반응에 의한 가스 방출 등이 원인입니다.
변형 교정법 - 역변형법: 용접에 의한 변형을 예측하여 용접하기 전에 용접 반대 방향으로 미리 변형을 주고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비파괴 검사 - 침투 검사 (PT): 용접부의 표면에 사용되는 검사법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특히 자기 탐상 검사가 되지 않는 비자성 금속재료에 주로 사용됩니다.
II. 용접법 및 관련 기술
1. TIG 및 CO2 용접
TIG 용접 - 청정 효과 (Cleaning Action): 가스 이온이 모재에 충돌하여 모재 표면의 산화물을 제거하는 현상입니다.
CO2 아크 용접 - 전진법 특징: 비드 높이가 낮고 평탄한 비드가 형성됩니다. (용입은 후진법보다 얕음).
운봉 (Weaving): 피복 아크 용접 시 용접선 상에서 용접봉을 이동시키는 조작으로, 아크의 발생, 중단, 재아크, 위빙 등이 포함됩니다.
위빙 폭: 용접봉 심선 지름의 2 ~ 3배로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2. 기타 용접법
스터드 용접 (Stud Welding): 볼트나 환봉을 피스톤형 홀더에 끼우고 모재와 볼트 사이에 순간적으로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SAW) - 용제 역할: 아크 안정, 용접부 보호, 용착금속의 재질 개선이 주 역할이며, 용락 방지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플라스마 아크 용접: 타이타늄, 니켈 합금, 구리,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등에 적합합니다. 텅스텐이나 백금과 같이 용융점이 매우 높은 재료는 전자빔 용접이 더 적합합니다.
하드 페이싱 (Hard Facing): 금속 표면에 스텔라이트, 초경합금 등의 금속을 용착시켜 표면경화층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그래비트 용접: 철분계 용접봉을 사용하며, 수평 필릿 용접을 전용으로 하는 일종의 반자동 용접입니다.
3. 용접기 및 전기
전격 방지기: 아크를 끊음과 동시에 릴레이가 차단되어 용접기의 2차 무부하 전압을 20 ~ 30 V 이하로 유지시켜 전격을 방지합니다.
교류 아크 용접기 (가변저항 이용): 가변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용접 전류를 조정하는 방식은 가포화 리액터형입니다.
용융 속도 결정 식: 용융 속도 = 아크 전류 x 용접봉 쪽 전압 강하
역률 및 효율 계산 예시 (AW-250, 무부하 전압 80V, 아크 전압 20V, 내부 손실 4kW):
아크 전력 (Pa) = 20 V x 250 A = 5,000 W
소비 전력 (Pc) = 5,000 W + 4,000 W = 9,000 W
전원 입력 (Pin) = 80 V x 250 A = 20,000 W
효율 (eta): (Pa / Pc) x 100 = (5,000 / 9,000) x 100 약 55.6%
역률 (PF): (Pc / Pin) x 100 = (9,000 / 20,000) x 100 = 45%
III. 용접 재료 및 야금학
1. 재료 특성
연신율 계산: 연신율 (epsilon) = ((변형된 길이 - 처음 길이) / 처음 길이) x 100
(예시: ((62 mm - 50 mm) / 50 mm) x 100 = 24%)
주철 조직도: 마우러 조직도는 주철 조직을 지배하는 C와 Si 함유량에 따른 조직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Fe-C 상태도: A3, A4 변태점 사이에서의 결정 구조는 면심 입방 격자(FCC)입니다.
재결정 온도: 주석 (Sn)은 재결정 온도가 상온 이하로 보기 중 가장 낮습니다.
금속 순도 단위: 금 (Au)의 순도는 K (Carat) 단위로 표시합니다.
2. 합금 종류
7-3 황동 (Cartridge Brass): Cu 70% + Zn 30% 합금으로, 연신율이 비교적 크고 인장 강도가 매우 높습니다.
Al-Cu-Si계 합금: 라우탈 (Lautal).
해드필드강 (Hadfield Steel):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Mn강 (Mn 10 ~ 14%, C 0.9 ~ 1.3%). 내마멸성, 내충격성, 인성이 우수하며, 약 1,000°C에서 담금질(급랭)하여 사용합니다.
3. 피복 아크 용접봉
피복제 (Flux) 성분: 아크 안정제, 가스 발생제, 슬래그 생성제가 포함되며, 피복 이탈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연강용 용접봉의 시험편 처리 (KS D 7005):
SR (Stress Relief): 625 ± 25°C에서 1시간 동안 응력 제거 풀림을 한 것입니다.
NSR: 용접한 상태 그대로 응력을 제거하지 않은 것입니다.
IV. 용접 안전 및 가스 취급
1. 가스의 특성
불활성 가스: Ar (아르곤), Ne (네온), He (헬륨). 아세틸렌 가스 (C2H2)는 폭발성 물질을 생성할 수 있어 불활성 가스가 아닙니다.
가연성 가스 구비조건: 발열량이 클 것, 불꽃 온도가 높을 것, 용융 금속과 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것, 연소 속도가 빠를 것 (느릴 것 X).
불꽃 온도 (가장 높음): 산소-아세틸렌 불꽃 (O2-C2H2)으로 약 3,430°C입니다.
2. 안전 수칙
화재 분류: D급 화재는 금속 화재입니다.
가스 누설 검사: 용접 전, 중, 후에 수시로 비눗물을 이용하여 체크해야 하며, 수돗물이나 필요할 때만 체크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산소 용기 취급: 밸브 조정기, 도관, 취부구 등에는 기름이 묻은 천을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폭발 위험). 마른 걸레로 깨끗이 닦아야 합니다.
압력 조정기 취급: 조정기를 설치한 후 밸브를 천천히 열어야 합니다 (빠르게 열면 배관 손상).
V. 기계 제도 (Mechanical Drawing)
1. 선의 종류 및 기입
가는 2점 쇄선: 피치선, 가상선. (중심선은 가는 1점 쇄선)
모따기 치수 기입: 모따기 각도가 45°이고 길이가 2mm인 경우 C2와 같이 기입합니다.
2. 기호 및 도시법
나사 표시 기호:
M: 미터 보통나사
UNC: 유니파이 보통나사
Rc: 관용 테이퍼 암나사
G: 관용 평행나사
배관용 탄소 강관 기호:
SPPS: 압력 배관용 탄소 강관
SPPH: 고압 배관용 탄소 강관
SPLT: 저온 배관용 탄소 강관
도형의 생략 (대칭): 대칭 중심선의 한쪽 도형을 중심선을 조금 넘는 부분까지 그려서 나타낼 경우, 중심선 양 끝에 대칭 그림 기호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VI. 주요 용어 설명
액상선 (Liquid Line): Fe-C 상태도 등에서 액체 (Liquid) 상을 접하고 있는 경계선을 의미합니다.
제3각 정투상도 (Third Angle Projection): 물체를 투상면과 관찰자 사이에 놓고 투상하여 얻는 도법으로, 우리나라와 미국, 캐나다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국제 표준 도법입니다.
게이트 밸브 (Gate Valve): 관로에 직각으로 설치된 판 (Gate)을 상하로 움직여 유체의 흐름을 열거나 닫는 (개폐용) 밸브입니다.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데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필릿 용접 (Fillet Weld): 서로 직교하거나 경사지게 만나는 두 부재의 모서리나 T자 이음, 겹치기 이음 등에 삼각형 모양으로 용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이메탈 재료 (Bimetal): 열팽창 계수가 다른 두 종류의 판을 붙여서 하나의 판으로 만든 것으로, 온도 변화에 따라 휘거나 변형을 구속하는 힘을 발생하며 온도 감응 소자 등에 이용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