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텅스텐/CO2가스 아크용접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가스텅스텐/CO2가스 아크용접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용접 결함 및 품질 관리


1.1. 주요 용접 결함의 원인과 대책

  • 기공 (Porosity): 기공은 용착 금속 내부에 가스가 갇혀 생기는 구멍 형태의 결함입니다. 주요 발생 원인으로는 용접봉의 습기 (가장 흔한 원인), 용착부의 급랭, 부적절한 아크 길이 및 용접 전류 등이 있습니다.

  • 비드 밑 균열 (Underbead Crack): 모재의 용융선 근처 열영향부(HAZ)에서 발생하며, 고탄소강이나 저합금강 용접 시 열경화, 변태 응력, 그리고 확산성 수소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예방을 위해 예열 및 후열 처리가 중요합니다.

  • 언더컷 (Undercut) 보수: 언더컷은 모재가 깊이 파인 결함으로, 보수 시에는 **가는 용접봉(직경이 작은 용접봉)**을 사용하여 재용접하고 그라인더로 표면을 정리합니다.

  • 구조상의 결함이 아닌 것: 용접 후 발생하는 변형은 용접물의 치수상 결함으로 분류되며, 기공, 용입 불량, 슬래그 섞임 등은 구조상의 결함에 속합니다.



2. 용접 프로세스별 특징


2.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SAW)

  • 와이어 돌출 길이: SAW에서 와이어 돌출 길이는 보통 와이어 지름의 약 8배가 가장 적당합니다.

  • 횡직렬식 (Transverse Method): 두 전극을 나란히 배열하고, 이들 전극 사이의 복사열을 활용하여 용접하는 방식입니다.


2.2. 플라스마 아크 용접 (PAW)

  • 특징: 용접 속도가 빠르고 비드 폭이 좁으며, 용접 변형이 작아 능률적입니다.

  • 핀치 효과: 핀치 효과(전자기력에 의한 아크 수축)에 의해 전류 밀도가 크고 아크가 안정되어 용입이 깊습니다. (용입이 얕다는 설명은 틀립니다.)


2.3. 저항 용접 (Resistance Welding)

  • 특징: 용접봉이나 용제가 불필요하고, 작업 속도가 빠르며 대량 생산에 적합합니다.

  • 열 관리: 열 손실이 적고, 용접부에 집중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습니다.

  • 종류: 프로젝션 용접은 겹치기 저항 용접법에 속하며, 아크 용접이 아닙니다.


2.4. TIG/MIG 용접 (GMAW/GTAW)

  • 사용 가스: TIG 용접 및 MIG 용접 시 주로 사용되는 불활성 보호 가스는 아르곤 (Ar) 가스입니다. 헬륨(He)도 사용되나, 아르곤이 가장 흔합니다.



3. 용접 장치 및 안전


3.1. 아크 용접기 사용 시 안전

  • 무부하 전압 (OCV): 전격 방지를 위해 무부하 전압이 낮은 용접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높은 무부하 전압은 감전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안전 조치: 전격방지기가 부착된 용접기를 사용하고, 용접기 케이스는 반드시 **접지(Earth)**를 확실히 해야 합니다. 사용률을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습니다.

  • 온도 상승: 아크 용접기는 사용 중 내부 온도 상승이 작아야 부품이 보호되고 장시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3.2. 용접봉 및 케이블

  • 2차측 케이블 (캡 타이어 전선):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는 구리선을 여러 개 꼬아 튼튼한 종이로 싸고 그 위에 고무 피복을 한 전선을 사용합니다.

  • 피복제의 역할: 피복제는 용착 금속의 탈산 정련작용을 하며, 중성 또는 환원성 분위기로 용착 금속을 보호하고, 급랭을 방지합니다.


3.3. 직류 아크 용접의 극성

  • 역극성 (DC-EP / DCEP): 용접봉에 (+) 전극, 모재에 (-) 전극이 연결됩니다.

    • 특징: 열 발생이 용접봉 쪽에서 70%로 많아 용접봉의 용융이 빠르고, 용입이 얕으며 비드 폭을 넓게 할 수 있습니다.

    • 주로 박판, 주철, 비철금속 용접에 사용됩니다.



4. 가스 및 용제(Flux)의 특성과 취급


4.1. 가스 성질 및 안전

  • 산소 용기 취급: 운반 중 충격을 주지 말아야 하며, 40ºC 이하의 온도에서 직사광선을 피하여 반드시 세워서 보관해야 합니다.

  • 불활성 가스: 다른 물질과 화학 반응을 일으키기 어려운 가스로, 헬륨 (He), 아르곤 (Ar), 네온 (Ne) 등이 있습니다.

  • 아세틸렌 (C2H2) 가스:

    • 비중: 약 0.906으로 공기보다 가볍습니다. (1.906은 틀린 설명)

    • 위험성: 구리(Cu), 은(Ag), 수은(Hg) 등과 접촉하면 폭발성 화합물(아세틸라이드)을 만듭니다.

  • 프로판 가스: 쉽게 기화하며 발열량이 높습니다. 액화하기 쉬워 수송이 편리합니다.


4.2. 가스 용접 관련

  • 용제(Flux) 사용 이유: 용접 중에 생기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비금속 개재물을 용해하여, 용착 금속의 성질을 양호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 경납땜 용제: 은납땜이나 황동납땜에 사용되는 용제는 붕사입니다.

  • 용접봉 선택 조건: 용접봉의 용융 온도는 모재와 같거나 비슷해야 합니다. (모재보다 낮으면 용접봉만 먼저 녹아 결합이 불량해집니다.)

  • 산소-프로판 절단 비율: 연소에 필요한 산소 : 프로판 가스의 비율은 약 4.5 : 1입니다.

  • 절단 속도 영향 요인: 모재의 온도, 산소의 압력, 산소의 순도는 절단 속도에 영향을 주지만, 아세틸렌 압력 (또는 프로판 압력)은 관련이 적습니다.



5. 용접 설계 및 계산


5.1. 용접 순서 원칙

  • 수축 관리: 수축이 큰 이음을 먼저 용접하고, 수축이 작은 이음은 나중에 용접해야 변형이나 잔류 응력의 누적을 피할 수 있습니다.

  • 대칭 및 자유단: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용접하며, 수축은 가능한 자유단으로 보내도록 합니다.


5.2. 용접 계산 공식

  • 맞대기 용접부 하중 계산 (인장 응력 sigma):

    하중 (N) = 인장응력 (N/mm2) * 판 두께 (mm) * 용접선 길이 (mm)
    
    
    • 예시 문제 풀이: 9.5 N/mm2 x 6 mm x 120 mm = 6,840 N

  • 가스 용접봉 지름 D 계산: (판 두께가 얇은 연강판 V형 맞대기 기준)

    D (mm) = (판 두께 (mm) / 2) + 1
    
    
    • 예시 문제 풀이: (3.2 / 2) + 1 = 1.6 + 1 = 2.6 mm

  • 인장 강도 sigma_TS 계산:

    인장 강도 (kgf/mm²) = 최대 하중 (kgf) / 단면적 (mm²)
    
    
    • 예시 문제 풀이: 500 kgf / 50 mm2 = 10 kgf/mm²



6. 재료 과학 및 금속 재료


6.1. 금속의 특성 및 합금

  • 열 및 전기 전도율: 금속 중 **구리 (Cu)**가 연강,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보다 전도율이 가장 높아 냉각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Ag > Cu > Au > Al 순)

  • 금속의 공통 특성: 열과 전기의 양도체, 고유의 광택, 소성 변형성. 이온화하면 양(+) 이온이 됩니다.

  • Y합금: 4% Cu, 2% Ni, 1.5% Mg 등을 첨가한 Al 합금으로, 고온에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주로 자동차 피스톤에 사용됩니다.

  • 초소성 합금: 미세한 결정립을 가지며, 특정 조건 하에서 수백 % 이상의 높은 연신율을 나타내는 재료입니다.


6.2. 격자 구조 및 열처리

  • 체심입방격자 (BCC): 격자의 모서리와 중심에 원자가 배치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모든 시각 자료는 텍스트로 대체되었습니다.)

  • Fe-C 평형 상태도: 가장 낮은 온도(723ºC)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공석 반응입니다.

  • 뜨임 (Tempering) 목적: 담금질한 강을 A1 변태점(723ºC) 이하로 가열 후 서랭하는 열처리로, 담금질로 증가한 취성을 감소시키고 **연성 (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함입니다.

  • 게이지용 강 조건: 경도는 HRC 55 이상을 가져야 하며, 팽창 계수가 작고, 담금질 변형 및 치수 변화가 없어야 합니다.



7. 기계 제도 (KS A 0005, KS B 0001)


7.1. 치수 기입법 및 척도

  • 누진 치수 기입법: 하나의 연속된 치수선으로 간편하게 치수를 기입하는 방법입니다. 기준이 되는 한 점에서부터 각 위치까지의 치수를 누적하여 표시합니다.

  • 척도: 도면의 크기는 대상물과 도면의 크기로 정해집니다. 한 장의 도면에 여러 척도를 사용할 경우, 주된 척도는 표제란에 기입하고,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척도는 해당 부품 근처에 따로 표시합니다. (모든 척도를 표제란에 기입하는 것은 틀림)


7.2. 선의 종류와 용도

  • 아주 굵은 실선: 주로 얇은 부분의 단면 도시를 명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 나사의 표시:

    • 수나사골지름가는 실선으로 표시합니다.

    •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골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립니다.

    •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립니다.


7.3. 도면 및 기호

  • 전개도: 판을 접어서 만든 물체를 펼친 모양으로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리는 도면입니다.

  • 재료 기호 (SPHC):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를 의미합니다.

  • 배관 도시 기호:

    • F (Flow Rate): 유량계

    • P (Pressure): 압력계

    • T (Temperature): 온도계

    • LG (Level Gage): 수위 계측 계기

  • 용접 보조 기호: [사각형] 모양 기호는 **"제거 가능한 이면 판재 사용"**을 나타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